$\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am water quality of TN (total nitrogen), TP (total phosphorus), and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and TDI (Trophic Diatom Index) score determined by physico-chemical factors, biomass, and standing crops of epilithic diatom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조사로 산정된 전국 TDI 등급과 수질오염 (TN, TP, BOD)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수질오염성분중 상관성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성분에 따른 TDI의 범위를 산정하고 충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SWAT 모델의 TN 모델링 결과로부터 TDI 등급을 개선하기 위한 생태유량 부족량을 분석하여 유역 수생태 등급을 평가하고자 한다. 기존의 유량분석 연구에서는 연단위 유황분석을 실시한 후 최저유량에 대해 필요유량을 산정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생태등급 실측자료로부터 해당하는 4월, 9월의 일단위 유량의 공급유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조사로 산정된 전국 TDI 등급과 수질오염 (TN, TP, BOD)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수질오염성분중 상관성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성분에 따른 TDI의 범위를 산정하고 충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SWAT 모델의 TN 모델링 결과로부터 TDI 등급을 개선하기 위한 생태유량 부족량을 분석하여 유역 수생태 등급을 평가하고자 한다. 기존의 유량분석 연구에서는 연단위 유황분석을 실시한 후 최저유량에 대해 필요유량을 산정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생태등급 실측자료로부터 해당하는 4월, 9월의 일단위 유량의 공급유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다양한 인자를 고려한 수생태계 등급 실측자료로부터 유역 모델링을 연계하여 과거 및 현재 유역단위의 수생태계 등급을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미래 기후변화로 인한 수생태계 악화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생태유량 산정 표준 방법으로 미래 수생태계의 개선을 위한 생태유량을 제도적으로 정립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조사로 산정된 전국 TDI 등급과 수질오염 (TN, TP, BOD)과의 상관성 분석 및 수질오염성분중 상관성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성분에 따른 TDI의 범위를 산정하고 SWAT 모델을 이용하여 충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TDI 등급을 개선하기 위한 생태유량 부족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그 지역 혹은 국가의 물 환경에 부합하는 표준화된 조사·분석방법이 필요하다. 서식하는 생물의 구조와 기능에 근거한 생물학적 평가는 이화학적 평가에 비하여 물 환경에 대해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영향을 파악할 수 있게 하며 교란된 환경이 궁극적으로 회복하여야 할 생물학적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 생태계가 위협 받고 있는 이유는? 하천 생태계에서 어류를 포함한 모든 동식물들은 생존과 번식을 위해 일정한 조건의 서식처 환경이 필요하다. 하지만 하천 생태계는 유량변화 또는 수질변화와 같은 환경조건의 변화로 인하여 크게 위협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생태계 서식환경을 평가하고 유지하고자하는 노력이 최근 많이 진행되어 왔다.
부착조류를 통해 인위적 영향에 대한 빠른 반응을 볼 수 있는 이유는? 하천 수생태계에서 집중강우와 같은 교란에 영향을 받은 생물의 반응은 수환경의 변화를 유추하는 좋은 자료가 된다. 특히, 하천에 서식하는 부착조류는 수생태계의 1차 생산자로서 먹이망에 기본이 되며 (Hotzel and Croome, 1999), 짧은 생활사와 생식주기를 가짐으로 인해 인위적 영향에 대해 빠른 반응을 볼 수 있다 (Domingues and Galvao, 2007; Cabecinha et al., 2009).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에서 지역 혹은 국가의 물 환경에 부합하는 조사/분석 방법이 필요한 이유는?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는 기본적으로 생물학적인 지표와 평가방법을 요구하며, 궁극적으로는 국가적 혹은 지역적 차원에서의 지속적인 생물모니터링의 과정을 통해 실현된다. 따라서 그 지역 혹은 국가의 물 환경에 부합하는 표준화된 조사․분석방법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ovee, K.D., 1982. A guide to stream habitat analysis using the 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 Instream Flow Information 12,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Office of Biological Services, FWS/OBS-82/26, Fort Collins, Colorado. 

  2. Cabecinha, E., R. Cortes, J. Cabral, T. Ferreira, M. Lourenco, and M. Pardal. 2009. Multiscale approach using phytoplankton as a first step towards the definition of the ecological status of reservoirs. Ecological Indicators 9(2): 240-255. 

  3. Choi, H.S., 2008. Effect on water quality and fish habitat improvement of Wonju Cheon by instream flow increasing.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0(3): 57-68 (in Korean). 

  4. Choi H.S., and S.M. Kim. 2013. Optimization of channel structure for fish habitat suitability enhancemen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3): 267-276 (in Korean). 

  5. Domingues, R., and H. Galvao. 2007.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variability in a dam regulated temperate estuary. Hydrobiologia 586(1): 117-134. 

  6. Galloway, J.N., F.J. Dentener, D.G. Capone, E.W. Boyer, R.W. Howarth, S.P. Seitzinger, G.P. Asner, C.C. Cleveland, P.A. Green, E.A. Holland, D.M. Karl, A.F. Michaels, J.H. Porter, A.R. Townsend, and C.J. Vorosmarty. 2004. Nitrogen cycle: past, present and future. Biogeochemistry 70: 153-226. 

  7. Hotzel, G., and R. Croome. 1999. A phytoplankton methods manual for australian freshwaters. LWRRDC Occasional paper 22/99. 

  8. Hwang, S.J., N.Y. Kim, D.H. Won, K.K. An, J.K. Lee, and C.S. Kim. 2009. Biological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using e[ilithic diatoms in major river systems (Geum, Youngsan, Seomjin river),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2(5): 784-795 (in Korean). 

  9. Jeong, S.M., J.H. Lee, D.H. Kim, and K.R. Oh. 2007. Estimation of optimum flow needed for fish habitat by application of one and two dimensional physical habitat simulation model focused on Zacco Platypu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8(1): 117-123 (in Korean). 

  10. Jung, C.G., S.R. Ahn, S.J. Kim, H.J. Yang, H.J. Lee, and G.A. Park. 2013. HSPF and SWAT modelling for identifying runoff reduction effect of nonpoint soruce pollution by rice straw mulching on upland cro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5(2): 57-57 (in Korean). 

  11. Jung, J.W., 2005. Assessmenf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s from a subwatershed in Juam lake using SWAT model. Master's. 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12. Jung, S.W., S.H. Park, and J.H. Lee. 2008. Environmental studies in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IIX. assessment for water qualtiy using epilithic diatom assemblage index to organic water pollution (DAIpo) in dry season. Korean J. Envirn. Biol. 26(3): 233-239 (in Korean). 

  13. Kelly, M.G., and B.A. Whitton. 1995. The trophic diatom index: a new index for monitoring eutrophication in rivers.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7(1): 433-444. 

  14. Kim, K.H., S.M. Kim, S.H. Lee, and H. Woo. 1996b. Developmen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instream flow and its application : II. Application and Resul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9(5): 185-202 (in Korean). 

  15. Kim, K.H., J.W. Lee, I.P. Hong, and H. Woo. 1996a. Developmen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instream flow and its application : I. Estimation Meth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9(4): 161-176 (in Korean). 

  16. Kim, S.J., H.S. Nor, S.J. Hong, J.W. Kwak, and H.S. Kim. 2013. Impact of climate change on habitat of the Rhynchocypris Kumgangensis in Pyungchang river.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4): 289-297 (in Korean). 

  17. Kim, T.J., and O.M. Lee. 2009.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 the Sum-river and the Dal-stream using epilithic diatom-based indi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5(4): 606-614 (in Korean). 

  18. Kim, Y.J. 2009. Structure of epiphytic diatom communities at the Banwol high and low wetlands in the Shiwha constructed wetland. Korean J. Limnol. 42(1): 95-106 (in Korean). 

  19. Kim, Y.J., K.A. Shin, and O,M, Lee. 2009. Water quality assessed by DAIpo and TDI of Bokha stream and Dal stream in South-Han river. Korean J.Environ. Biol. 27(4): 414-242 (in Korean). 

  20. K-water, 1995. Development of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Instream Flow and Its Application. Research Report IPD-95-2 (in Korean). 

  21. Lee J.H., S.M., Jeong, M.H. Lee, and Y.S. Lee. 2006. Estimation of instream flow for fish habitat using 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 (IFIM) for major tributaries in Han river bas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6(2B): 153-160 (in Korean). 

  22. Lee, J.H., and Y.J. Kim. 1996. Epilithic diatoms and trophic states of dam lakes in the Naktong river system. Korean J. Environ. Biol. 14(1): 18-28 (in Korean). 

  23. Nash, J.E., and Sutcliffe, J.E.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10(3): 282-290. 

  2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Nitrogen budget of South Korea and management plan (in Korean). 

  2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Nationwide aquatic ecological monitoring program (in Korean). 

  26. Neitsch, S.L., J.G. Arnold, J.R. Kiniry, and J.R. Williams. 2001.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0: Draft-April 2001. Temple, TX, USA: Grassland, Soil and Water Research Laboratory,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Blackland Research Center, Texas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Texas. 

  27. Park B.J., K.H. Kang, and K.S. Jung. 2008. Hydrologic regime alteration analysis of the multi-purpose dam by indicators of hydrologic alteration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1(7): 711-723 (in Korean). 

  28. Park, J.Y., 2009. Assessment of future climate change impact on hydrological behavior and stream water quality using SWAT model. Master's. D. thesis, Konkuk University (in Korean). 

  29. Park, J.Y., M.S. Lee, Y.J. Lee, and S.J. Kim. 2008. The analysis of future land use change impact on hydrology and water quality using SWAT model.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8(2b): 187-197 (in Korean). 

  30. Park S., J. Kim and I.H. Ko. 2009. Evaluation of ecohydrological changes in the Geum river considering dam operations : II. Hydraulic Fish Habitat Condition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2(5): 407-414 (in Korean). 

  31. Saxton, K.E., W.J. Rawls, J.S. Romberger, and R.I. Papendick. 1986. Estimating generalized soil-water characteristics from texture.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50(4): 1031-1036. 

  32. Choi, J.Y., 2002. Management of nonpoint pollution by reducing storm runoff, RE03. Korea Environment Institute (in Korean). 

  33. Sung, Y.D., B.J. Park, K.J. Koo, and K.S. Jung. 2005. The estimation of ecological flow recommendations for fish habita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8(7): 545-554 (in Korean). 

  34. U.S. EPA. 2002. Biological Assessments and Criteria: Crucial Components of Water Quality Programs. 

  35. Watanabe, T., K. Asai, and A. Houki. 1990. Numerical simulation of organic pollution in flowing water. Hazardous Waste Containment and Treatment 4: 251-281. 

  36. Watanabe, T., K. Asai, A. Houki, S. Tanaka, and T. Hizka. 1986. Saprophilous and eurysaprobic diatom taxa to organic water pollution and diatom assemblage index (DAIpo). Diatom 2: 23-73. 

  37. Watanabe, T., T. Ohtzsuka, A. Tuji, and A. Houki. 2005. Picture book and ecology of the freshwater diatoms. Uchida rokako, Tokyo. 

  38. Woo, H., J.W. Lee, and K.H. Kim. 1998. Development of a method for determination of instream flow needs required for fish habitat conservation -application to the Keum riv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8(2-4): 339-35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