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심지 토사재해 고위험지역 극치강우 시간분포 시나리오 분석
Analysis of Extreme Rainfall Distribution Scenarios over the Landslide High Risk Zones in Urban Areas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8 no.3, 2016년, pp.57 - 69  

윤선권 (Climate Research Department, APEC Climate Center) ,  장상민 (Climate Research Department, APEC Climate Center) ,  이진영 (Climate Research Department, APEC Climate Center)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xtreme rainfall distribution scenarios based on probable rainfall calculation and applying various time distribution models over the landslide high risk zones in urban areas. We used observed rainfall data form total 71 ASOS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st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서 살펴본바와 같이, 토사재해가 발생되는 여러 인자 중 강우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여러 문헌 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나, 폭우 발생 위험도 개념에서 강우의 시간분포 적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토사재해 고위험지역을 대상으로 과거 관측 시간강수량 자료를 수집하여 연최대치계열 추출을 통한 강우빈도해석 수행으로 강우강도-지속시간-빈도의 관계를 규명하고, 재현기간과 지속시간에 따른 확률강우량을 적정시간분포 모형에 적용하여 위험도 기반 토사재해 유발 극치강우의 시간분포 시나리오 작성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하지만 확률론적 관점에서 폭우 발생 위험도 해석과 선행강우, 강우강도, 강우지속시간, 누적강우량, 그리고 강우의 시간분포와 관련한 등 강우관련 토사재해위험 인자들을 정량화하여 활용한 사례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사재해 시뮬레이션을 위한 위험도 개념의 강우강도 시간분포 적용의 방법론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도심지를 대상으로 토사재해 고위험지역을 선정하고 인근 기상관측소로부터 과거 관측 강우량 자료를 수집하여 연최대치계열 (Annual Maximum Series)을 추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토사재해 고위험지역을 대상으로 과거 관측 시간강수량 자료로부터, 확률강우량을 산정 한 후 IDF곡선을 작성하고 이를 다양한 시간분포 모형에 적용하여 토사재해유발 강우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사재해 발생의 주요 요인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토사재해 발생의 주요 요인은 내적요인과 외적원인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내적요인으로는 지질구조, 지형, 토질, 임상 등의 자연적 요인을 들 수 있으며, 외적원인으로는 강우, 하천 및 해안의 침식, 지진 등과 같은 자연적 요인과 절성토, 벌목, 단지조성, 채석개발 등의 인위적 요인을 들 수 있다.
티센방법은 어떤 방법인가? 티센방법은 우량관측소별로 다각형 삼각망을 구축하여 각 우량계에 대표되는 면적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이 면적은 총면적에 대한 비로 나타내게 되며, ai = Ai /A로 가중인자가 된다.
토사재해 발생의 내적요인과 외적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토사재해 발생의 주요 요인은 내적요인과 외적원인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내적요인으로는 지질구조, 지형, 토질, 임상 등의 자연적 요인을 들 수 있으며, 외적원인으로는 강우, 하천 및 해안의 침식, 지진 등과 같은 자연적 요인과 절성토, 벌목, 단지조성, 채석개발 등의 인위적 요인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토사재해는 우기에 집중적으로 발생되므로 우리나라 토사재해 발생요인 중 가장 큰 요인은 강우임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orner, W. M., and S. W. Jens, 1942. Surface runoff determination from rainfall without using coefficients Transaction ASCE, 107: 1039-1075. 

  2. Huff, F. A., 1967.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in Heavy Storm Water Resources Research, 3(4): 1007-1019. 

  3. Hwang, H. G., K. M. Cho, S. W. Lee, K. H. Kim, and C. Y. Yune, 2013. Site Investigation on 2012 Slope Hazard in Korea and its Triggering Factors 2013 KGS Spring National Conference 117-120. 

  4. Jang, S. H., J. Y. Yoon, and Y. N. Yoon, 2007.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uff's method in Korea: I. Review of applicability of Huff's method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9(9): 767-777 (in Korean). 

  5. Joo, J. G., J. H. Lee, D. J. Jo, H. D. Jun, and J. H. Kim, 2007. Development of a rainfall time distiribution model for urban watersheds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0(8): 655-663 (in Korean). 

  6. Kim, J. H., S. S. Jeong, Y. M. Kim, K. W. Lee, 2013. Proposal of Design Method for Landslides Considering Antecedent Rainfall and In-situ Matric Suc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29(12): 11-24. 

  7. KMA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Korea Climate Change Prediction Report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153. 

  8. Moon, Y. H., S. E. Lee, M. S. Kim, and J. R. Baek, 2016. Analyzing type of urban areas at high risk to landslide hazard based on the GIS approac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to be published in June. (in Korean). 

  9. Oh, J. R., and H. J. Park. (2014). Analysis of Landslide Triggering Rainfall Threshold for Prediction of Landslide Occurr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4(2): 115-129 (in Korean). 

  10. Oh, T. S., and Y. I. Moon, 2008. Conversion Factor Calculation of Annual Maximum Precipitation in Korea Between Fixed and Sliding Dur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1): 117-133 (in Korean). 

  11. Rahardjo, H., X. E. Li, D. G. Toll, and E. C. Leong, 2001. The effect of antecedent rainfall on slope stability Geotechnical and Geological Engineering 19: 371-399. 

  12. Tan, S. B., S. L. Tan, T. L. Lim, and K. S. Yang, 1987. Landslide problems and their control in Singapore Proceedings of the 9th Southeast Asian Geotechnical Conference Bangkok, Thailand, 1: 25-36. 

  13. Wei, J., Y. S. Heng, W. C. Chow, and M. K. Chong, 1991. Landslide at Bukit Batok sports complex Proceedings of the 9th Asian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Balkema: Rotterdam; Bankok, Thailand 1: 445-448. 

  14. Yen, B. C., and V. T. Chow, 1977. Feasibility study on research of local design storms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Report No. FHWA-RD-78-65. 

  15. Yoon, S. K., and Y. L. Moon, 2014. The recent increasing trends of exceedance rainfall thresholds over the Korean major c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1): 117-133 (in Korean). 

  16. Yoon, S. K., J. S., Kim, and Y. I., Moon, 2012. A Study on Optimal Time Distribution of Extreme Rainfall Using Minutely Rainfall Data: A Case Study of Seoul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3): 275-290 (in Korean). 

  17. Yoon, Y. N., 2007. Hydrology Chungmoongak 1-1152 (in Korean). 

  18. Yune, C. Y., K. S. Kim, S. W. Lee, K. J. Jun, and G. H. Kim, 2010. Analysis of Slope Hazard-Triggering Rainfall Characteristics in Gangwon Province by Database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26(10): 27-39 (in Kore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