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특성과 산정식 변화를 고려한 시군단위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Implications of Guideline Improvements for Regional GHGs Changes on Livestock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9 no.4, 2017년, pp.53 - 64  

정찬훈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Agricultural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진선 (Institute of Green Bio Science &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종식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NIAS), RDA) ,  김건엽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NIAS), RDA) ,  정현철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NIAS), RDA) ,  서교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Agricultural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Green Bio Science &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quations and emission factors for estimating national GHGs are developed based on IPCC guidelines. The GHGs on livestock sector has been calculated using methodologies following 1996 IPCC guideline in South Korea although 2006 IPCC guideline was announced in 200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IPCC 가이드라인의 산정방법 개선에 따른 시군단위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정방법 개선이 배출량 산정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동일한 시계열 활동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별 축종과 연평균 기온을 이용하여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와 축종별 배출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IPCC 가이드라인의 산정방법 개선에 따른 시군단위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정방법 개선이 배출량 산정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동일한 시계열 활동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별 축종과 연평균 기온을 이용하여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와 축종별 배출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산정기준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변화를 시계열 활동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시군단위로 배출량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996 IPCC 가이드라인에서 2006 IPCC 가이드라인으로 산정기준이 변화함에 따라 1990~2014년 장내발효 배출량은 8~10 % 증가하였고 경상북도 장내발효 배출량이 78천 톤 CO2eq.

가설 설정

  • O를 고려하기 위해 1996 IPCC 가이드라인에서는 액비화시설, 퇴비화시설, 기타시설 등으로 나누어 배출계수를 Tier1 수준에서 제시하였지만 2006 IPCC 가이드라인에서는 퇴비화시설을 고체 저장, 건조 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고 기타시설을 덮개 유무, 가금류 분뇨 처리 시설 등으로 구체화한다. 우리나라의 젖소, 한육우, 돼지 및 가금류의 퇴비화시설 이용 비율은 산정이 가능하지만 고체 저장, 건조 부지의 이용비율의 자료가 구비되어있지 않음에 따라 각각 퇴비화시설 이용 비율의 50 %씩 이용한다고 가정한다.
  • 가축분뇨처리시설 이용 비율은 농림어업조사보고서에서 가축 분뇨 처리방법별 농가 자료를 이용해 산출한다. 조사 결과가 없는 1990~2010년 활동자료는 가장 근접한 2011년도 값을 일괄 적용하고, 염소, 양, 말, 사슴 등기타 가축의 분뇨는 따로 수거하는 시설이 없어 토지에 방치되기 때문에 전량 퇴비로 활용된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어떻게 산정하는가? 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IPC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산정방법론과 배출계수를 적용해 산정한다. IPCC는 보다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해 GPG 2000, 2006 IPCC 등 개선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축산부문 배출량을 산정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Caro et al.
파리협정이 갖는 의미와 영향은 무엇인가? , 2014). 전 세계 196개 당사국이 합의한 파리협정은 2020년 이후 교토의정서 (Kyoto Protocol)를 대체할 신기후체제의 출범을 의미하고, 단순한 감축목표 제시를 넘어서 기후변화 대응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요구한다 (Park, 2016). 이에 따라 정부는 에너지, 산업, 농업 등의 부문에서 2030년 배출전망치 (BAU) 대비 37 % 감축 목표를 이행해야 하는 실정이다 (Kim and Lee, 2016).
파리협정으로 인해 생긴 우리나라가 해야할 일은 무엇인가? 전 세계 196개 당사국이 합의한 파리협정은 2020년 이후 교토의정서 (Kyoto Protocol)를 대체할 신기후체제의 출범을 의미하고, 단순한 감축목표 제시를 넘어서 기후변화 대응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요구한다 (Park, 2016). 이에 따라 정부는 에너지, 산업, 농업 등의 부문에서 2030년 배출전망치 (BAU) 대비 37 % 감축 목표를 이행해야 하는 실정이다 (Kim and Lee, 2016). 우리나라는 2013년 총 6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e, J. and H. Kang, 2014. An Empirical Study on Impacts of Overlapping Climate and Energy Policies on Mitig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23(4): 747-784. 

  2. Bae, Y., S. Bae, I. Seo, K. Seo, J. Lee, and G. Kim, 2013. Estimation of Uncertainty on Greenhouse Gas Emission in the Agriculture Secto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9(4): 125-135. 

  3. Bellarby, J., R. Tirado, A. Leip, F. Weiss, J. Lesschen, and P. Smith, 2013. Livestock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Mitigation Potential in Europe, Global Change Biology 19: 3-18. 

  4. Bhatta, R., O. Enishi, and M. Kurihara, 2007. Measurement of Methane Production from Ruminants,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20(8): 1305-1318. 

  5. Caro, D., S. Davis, S. Bastianoni, and K. Caldeira, 2014. Global and Regional Trends in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Livestock, Climatic Change 126: 203-216. 

  6. Chung, H., 2009. A Comparative Study on IPCC Guidelines through GHG Emission Assessment (Focused on Dangjin-gun), Ms., Hoseo University. 

  7. Hwang, J. and C. Oh, 2014. A Study on the Spread of the Foot-and-Mouth Disease in Korea in 2010/2011,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2): 271-280. 

  8. IPCC, 199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9. IPCC, 2000. Good Practice Guidance and Uncertainty Management in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10. IPCC,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11. Jeong, H. and C. Kim, 2015.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s and Response Strategies in Agricultural Sector,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15: 1-19. 

  12. Jeong, H., G. Kim, S. Lee, J. Lee, J. Lee, and K. So, 2012. Evalu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Cropland Sector on Local Government Levels based on 2006 IPCC Guideline,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5(5): 842-847. 

  13. Ji, E., S. Yang, S. Cho, O. Hwang, and K. Park, 2012. Application of 2006 IPCC Guideline to Improve Greenhouse Gas Emission Estimation for Livestock Agriculture, The Korean Society for Livestock Housing and Environment 18(2): 75-84. 

  14. Kim, H., 2009.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System, Statistical Research Institute. 

  15. Kim, H., 2010. Improving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and Management System,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6. Kim, H., D. Kim, H. Kim, and S. Yi, 2008. Sensitivity and Uncertainty Analysis of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Landfills in Korea,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57-262. 

  17. Kim, M., S. Yang, Y. Oh, and K. Park, 2016.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Korean Livestock During the Period 1990-2013,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7(4): 383-390. 

  18. Kim, S. and J. Lee, 2016. The Inter-Regional Economic Effect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Reduction Policies: Focusing on Carbon Taxes, Korea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Society 24(2): 137-171. 

  19. Ministry of Environment,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GIR), 2015. 2015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 of Korea. 

  20. O'Mara, F., 2011. The Significance of Livestock as a Contributor to Global Greenhouse Gas Emissions Today and in the Near Future, Animal Feed Science and Technology 166: 7-15. 

  21. Park, S., 2016. Post-2020 Climate Regime and Paris Agreement,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16: 285-322. 

  22. Yang, S., D. Choi, S. Cho, O. Hwang, and K. Park, 2014.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from Livestock Agriculture in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Livestock Housing and Environment 20(4): 139-146. 

  23. Yi, I., 2009. The Strategy and Tasks of Green Growth in Agriculture and Rural Sector as a Countermeasure of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1(4): 41-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