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북 일부지역 중학교 점심급식의 소금 및 나트륨 함량 분석 - 삼삼급식소 적용을 위한 기초조사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Salt and Sodium Content of Middle School Lunch Meals in Gyeongsangbuk-do Area - Focus on Application of 'SamSam Foodservice' -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5, 2016년, pp.757 - 764  

박소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경아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본 연구는 경북지역 남녀공학 중학교에서 제공된 점심급식의 소금 및 나트륨 함량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칠곡지역 4개 중학교를 대상으로 한 끼당 총 소금 및 나트륨 함량과 한끼 소금 함량 기여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학교의 한 끼당 전체 평균 소금 함량은 4.41g이며, 전체 평균 나트륨 함량은 1,736.02 mg이다. 4개 학교에서 제공한 총 40개의 식단 중 1개 식단을 제외한 39개(97.5%) 식단이 식약처에서 권고하는 중학교 '삼삼급식소' 나트륨 함량 기준(1,000 mg)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사기간 동안 제공된 점심급식 중 나트륨 함량이 가장 높은 식단은 2,827.56 mg으로 나타났다. 점심급식에서 제공된 메뉴를 총 16개 군으로 분류하여 음식군별로 제공량, 염도, 소금 및 나트륨 함량을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 염도는 1.06%이며, 전체 평균 소금 함량은 0.74 g이다. 조사대상 학교에서 점심급식으로 제공된 음식을 밥류, 일품밥 면류, 국 탕 찌개류, 주찬, 부찬, 김치류, 후식류 등의 7개 메뉴 유형별로 구분하여 한 끼 소금 함량 기여도를 조사한 결과 일품밥 면류(40.56%), 국 찌개류(23.23%), 김치류(20.30%), 주찬류(18.13%), 부찬류(11.36%)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제공된 학교별 국 탕 찌개류의 염도는 전체 평균 0.75%이며, 38개 국 탕 찌개 중 12개(32.0%)가 식약처 국염도 권고기준 0.8%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품밥 면류와 주찬류 중 나트륨 함량이 높은 메뉴를 살펴본 결과 일품밥 면류는 쌀잔치국수(1,056.49 mg), 자장볶음밥(976.48 mg), 오므라이스(821.33 mg), 굴소스야채볶음밥(791.00 mg), 비빔밥(744.46 mg)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주찬류는 오징어미더덕찜(1,120.88 mg), 돈육버섯볶음(626.84 mg), 김치돈육볶음(563.28 mg), 매운어묵조림(498.01 mg), 떡볶이(497.45 mg)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중학교 급식 이용자의 중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 감소를 위해서는 한 끼 총나트륨 함량을 1,000 mg 이하 수준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삼삼급식소' 사업에 학교급식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교급식에 나트륨 저감화가 정착되도록 힘써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lt and sodium content of lunch meals served at middle schools in Gyeongsangbuk-do. Four middle schools were investigated for their salt and sodium content and salt content contributing rate per meal. Average salt content of every lunch meal was 4.4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북 칠곡지역 중학교에서 제공된 점심급식의 소금 및 나트륨 함량을 조사하여 학교급식 나트륨 저감화 실천을 위한 올바른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경북지역 남녀공학 중학교에서 제공된 점심급식의 소금 및 나트륨 함량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칠곡지역 4개 중학교를 대상으로 한 끼당 총 소금 및 나트륨 함량과 한끼 소금 함량 기여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학교의 한 끼당 전체 평균 소금 함량은 4.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북 일부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에서 제공된 점심급식 메뉴를 전량 수거하여 실제 제공하는 점심급식 한 끼당 함유된 소금 및 나트륨 함량을 조사함으로써 학교급식에서의 나트륨 저감화 실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성인의 나트륨 최소 필요량은 어느정도인가? 나트륨은 체내 세포외액의 대표적인 양이온으로서 삼투압과 수분 함량 조절, 정상 근육의 자극반응 조절, 산・염기 평형유지, 신경자극 전달 등의 역할을 하는 무기질이다(1).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성인의 나트륨 최소 필요량은 일일 500 mg으로 매우 소량이며, 세계보건기구(WHO)와 한국인 영양섭취기준(KDRIs)에서는 나트륨 하루 목표 섭취량을 2,000 mg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2012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19세 이상 한국인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4,884.
칠곡지역 4개 중학교의 한끼 소금 함량 기여도를 조사한 결과는 어떤가? 본 연구는 경북지역 남녀공학 중학교에서 제공된 점심급식의 소금 및 나트륨 함량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칠곡지역 4개 중학교를 대상으로 한 끼당 총 소금 및 나트륨 함량과 한끼 소금 함량 기여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학교의 한 끼당 전체 평균 소금 함량은 4.41g이며, 전체 평균 나트륨 함량은 1,736.02 mg이다. 4개 학교에서 제공한 총 40개의 식단 중 1개 식단을 제외한 39개(97.5%) 식단이 식약처에서 권고하는 중학교 '삼삼급식소' 나트륨 함량 기준(1,000 mg)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사기간 동안 제공된 점심급식 중 나트륨 함량이 가장 높은 식단은 2,827.56 mg으로 나타났다. 점심급식에서 제공된 메뉴를 총 16개 군으로 분류하여 음식군별로 제공량, 염도, 소금 및 나트륨 함량을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 염도는 1.06%이며, 전체 평균 소금 함량은 0.74 g이다. 조사대상 학교에서 점심급식으로 제공된 음식을 밥류, 일품밥 면류, 국 탕 찌개류, 주찬, 부찬, 김치류, 후식류 등의 7개 메뉴 유형별로 구분하여 한 끼 소금 함량 기여도를 조사한 결과 일품밥 면류(40.56%), 국 찌개류(23.23%), 김치류(20.30%), 주찬류(18.13%), 부찬류(11.36%)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제공된 학교별 국 탕 찌개류의 염도는 전체 평균 0.75%이며, 38개 국 탕 찌개 중 12개(32.0%)가 식약처 국염도 권고기준 0.8%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품밥 면류와 주찬류 중 나트륨 함량이 높은 메뉴를 살펴본 결과 일품밥 면류는 쌀잔치국수(1,056.49 mg), 자장볶음밥(976.48 mg), 오므라이스(821.33 mg), 굴소스야채볶음밥(791.00 mg), 비빔밥(744.46 mg)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주찬류는 오징어미더덕찜(1,120.88 mg), 돈육버섯볶음(626.84 mg), 김치돈육볶음(563.28 mg), 매운어묵조림(498.01 mg), 떡볶이(497.45 mg)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중학교 급식 이용자의 중식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 감소를 위해서는 한 끼 총나트륨 함량을 1,000 mg 이하 수준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삼삼급식소' 사업에 학교급식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교급식에 나트륨 저감화가 정착되도록 힘써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나트륨은 어떤 무기질인가? 나트륨은 체내 세포외액의 대표적인 양이온으로서 삼투압과 수분 함량 조절, 정상 근육의 자극반응 조절, 산・염기 평형유지, 신경자극 전달 등의 역할을 하는 무기질이다(1).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성인의 나트륨 최소 필요량은 일일 500 mg으로 매우 소량이며, 세계보건기구(WHO)와 한국인 영양섭취기준(KDRIs)에서는 나트륨 하루 목표 섭취량을 2,000 mg으로 제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i HM, Kim JH, Lee JH, Kim CI, Song KH, Chang KJ, Min HS, Yim KS, Byun KW, Song ES, Yeo EJ, Lee HM, Kim KW, Kim HS, Kim CI, Yoon EY, Kim HA. 2006. Nutrition in the 21st century. 3th ed. Gyomoon Publishers, Gyeonggi, Korea. p 316-320. 

  2. MOHW. 2013.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jong, Korea. 

  3. Kim SJ, Cho MH, Lee KH. 2009.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salinities of soups preferred by customers and provided at institutional foodservice establishmen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19: 444-450. 

  4. Son SM, Heo KY. 2002. Salt intake and nutritional problems in Korean. Korean J Community Nutr 7: 381-390. 

  5. Chang SO. 2010. Effect of a 6-month low sodium diet on the salt taste perception and pleasantness, blood pressure and the urinary sodium excre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43: 433-442. 

  6. KOSTAT. 2014. Statistics on causes of death for the year 2013. Statistics Korea, Daejeon, Korea. p 6. 

  7. Kim BR. 2009.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 and food habit by fast food intake frequ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Wonju area. J Korean Home Econo Edu Assoc 21(4): 19-33. 

  8. Lyu ES, Lee KA, Yoon JY. 2006. The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Bu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448-455. 

  9. Kim KN, Park EJ. 2005. Nutrition density of fast-food consumed by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Cheongju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10: 271-280. 

  10. Shin EK, Kim SY, Lee SH, Bae IY, Lee HG. 2008.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eating habits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Seoul. J East Asian Soc Diet Life 18: 662-674. 

  11. Lim HJ. 2001. A study on the calcium and sodium intakes and urinary calcium excretion of preschool children in Busan. Korean J Nutr 34: 786-796. 

  12. An GS, Shin DS. 2001. A comparison of the food and nutrient intake of adolescents between urban areas and islands in South Kyungnam. Korean J Community Nutr 6: 271-281. 

  13. Lee HJ, Lee CH, Lee KS, Jung YJ, Ha SH, Jung YY, Kim DS. 2010. Survey on sodium contents in meals of school foodservice and sodium intakes of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buk-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85-91. 

  14. Lee EM, Park YG, Jung WY, Kim MR, Seo EC, Jung RS, Na MA, Lee JH, Heo OS. 2010. Survey on sodium and potassium content of school meals as well as sodium and potassium intake by students in the Daejeon and Chungcheong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 853-862. 

  15. Lee SK, Chang EJ, Choi JC, Bahn KN, Kim MH. 2010. Current assessment of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school me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78-585. 

  16. MOE. 2014. Guidance on sodium reduction for school foodservice. Ministry of Education, Sejong, Korea. p 3-11. 

  17.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2016. 2016 Basic direction of school foodservice. Gyeongbuk, Korea. p 47. 

  18. Lee KS. 2013. Use of salimeters and sodium reduction education in school foodservice in the Gyeonggi area. J Korean Diet Assoc 19: 173-181. 

  19. MFDS. 2014. Food is on a sodium die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ejong, Korea. p 1-2. 

  20. MFDS. 2014. Eating out and school foodservice, choose a low sodium food.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ejong, Korea. p 1-2. 

  21. KNS. 2011.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CAN-Pro4.0).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Korea. 

  22. Korean Food Foundation. Korean menu in English. Available from: http://www.hansik.org/kr/board.do?cmdlist&bbs_id017&menuPKR4040000&langkr (accessed Mar 2016). 

  23. Kim JA, Kim YH, Ann MY, Lee YK. 2012. Measurements of salinity and salt content by menu types served at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in Daegu. Korean J Community Nutr 17: 637-651. 

  24. MFDS. 2016. The guideline for the operation management of 'Samsam foodservic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ejong, Korea. p 1. 

  25. Kim HA, No SY, Lee KH. 2008. A study on the salt contents in foods served by institutional foodservice establishment. J East Asian Soc Diet Life 18: 739-745. 

  26. Kim JN, Park SY, Ahn SH, Kim HK. 2013. A survey on the salt content of kindergarten lunch meals and meal providers' dietary attitude to sodium intake in Gyeonggi-do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8: 478-490. 

  27. Cho MH, Kim SJ, Lee KH. 2008. A study on preference of salinity and temperature of soups served in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establishment. J East Asian Soc Diet Life 18: 601-6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