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이주노동자 정주화방지원칙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Prevention Principle for Permanent Migration of Migrant Work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5, 2016년, pp.117 - 123  

이향수 (건국대학교 공공인재대학 행정학전공) ,  이성훈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문화사회가 되면서 과연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의 정주화방지 원칙을 고수하는 것이 옳은 판단인가 하는 질문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었다. 외국인이주노동자들의 정주화방지 원칙은 비단 이주노동자들의 인권이나 정서적 측면에서의 고려가 아니라, 우리가 좀 더 냉정하게 정주화방지 원칙에 대해서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산업수요를 개선하여 3D업종의 비중을 낮추어가야 한다는 반론도 있을 수 있으나, 3D산업을 완전히 없애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우리사회가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주노동자는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정주화방지원칙은 우선, 다문화사회의 흐름과 배치될 뿐 아니라, 이주노동자들이 우리나라에서 연마한 관련기술이 전파되거나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고령화사회가 되면서 이주노동자의 정주화는 부족한 젊은 노동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적절한 채널이 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실용적인 측면에서의 이유 외에도 정주화방지원칙은 모든 인간은 평등하고 인격적으로 존엄한 존재라는 인권의 측면에서 볼 때, 정주화방지로 인해 발생하는 이주노동자들이 겪게되는 불평등한 상황을 좀 더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도 수정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multicultural society, is it right to adhere to the prevention principle of permanent migration of migrant workers? We need to try to do a little more calm consideration on the prevention principle for permanent migration rather than in terms of human right and emotional aspect. Even though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고령화사회로 진전되면서 우리는 출산율이나 국가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정주화 방지를 고수하는 것이 의미가 없게 된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인권측면에서도 정주화방지가 유효하지 않음을 논의하고자 한다.
  • 둘째, 정주화방지 원칙에 대해서 살펴보고, 셋째, 정주화방지 원칙에 대한 반론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우리나라 이주노동자에 대한 정주화방지 원칙에 대한 앞으로의 발전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다문화사회가 되면서 과연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의 정주화방지 원칙을 고수하는 것이 옳은 판단인가 하는 질문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과연 이주노동자들의 정주를 불허하는 정책이 과연 앞으로도 유효한가에 대해서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가지고 이주노동자들의 정주화방지 원칙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다문화사회가 되면서 과연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의 정주화방지 원칙을 고수하는 것이 옳은 판단인가 하는 질문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과연 이주노동자들의 정주를 불허하는 정책이 과연 앞으로도 유효한가에 대해서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가지고 이주노동자들의 정주화방지 원칙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우리나라에의 이주노동자 유입 현황에 대해서 검토를 하였다. 둘째, 정주화방지 원칙에 대해서 살펴보고, 셋째, 정주화방지 원칙에 대한 반론을 제시하였다.
  • 바야흐로 다문화사회, 다문화국가에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전환점에 서서 과연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의 정주화방지 원칙을 고수하는 것이 옳은 판단인가 하는 질문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었다.
  • 이는 이주노동자들이 우리나라 국민이 되므로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회적인 비용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 원칙 중에서도 특히 정주화 원칙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 정주화방지 원칙에 대한 논의를 하는 데 있어서는 정주화방지 원칙이 우리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정주화방지 원칙을 고수 하므로서 우리 사회가 지불하게 될 비용은 향후 늘어나게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년 말 현재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주민은? 2015년 말 현재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주민은 174만명을 넘어서 전체 우리나라 인구 대비 약 3.4%에 달하고 있다. 이를 17개 시ㆍ도 인구와 비교하면 11번째에 해당하는 규모로 충북(158만), 대전(153만), 광주(148만) 보다 많은 수준이다[1].
외국인주민이 늘어난 이유는? 이렇게 외국인주민이 늘어난 것은 결혼이주여성과 이주노동자들이 늘어난 변화라고 볼 수 있다[2]. 1980년 이후 우리내수시장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질 좋은 일자리가 많이 창출되고, 열악한 근로조건을 가진 일자리들이 외면 받으면서 소위 말하는 3D업종에의 노동력 부족 현상을 겪게 된다.
산업연수생 제도는 어떠한 문제점을 발생시켰나?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정부에서는 산업연수생 제도를 도입하게 된다[5, 6]. 그러나 산업연수생제도는 외국 인력을 근로자 신분이 아닌 연수생 신분으로 외국인을 고용함으로써 외국 인력의 편법활용, 사업체 이탈, 임금체불, 외국인근로자의 인권 침해 등의 문제를 야기하였다. 또한 편법적인 제도라는 비판을 의식한 한국정부는 연수생 도입규모를 매우 제한적으로 운용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합법적인 외국인력 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외국인의 불법체류와 불법취업을 양산하는 주요 이유가 되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2015 Foreign Resident Survey Results", 2015. 

  2. A. E. Chung & J. H. Chun, "A Study on multi-cultural policies in Korea and Japan",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Vol. 11, No.10, pp.133-139, 2013. 

  3. Chosunilbo, 2015. 7. 5. 

  4. H. B. Lim.S. W. Lee, D. W. Kang, & M. Y. Kim, "A Study on the Traits of Multicultural Society of Rural Areas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ol. 16, No. 4, 2009. 

  5. B. J. Chun,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Acculturation Stress on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10, No.11, pp.29-38, 2012. 

  6. C. J. Yoo, G. T. Kim, & S. H. Lim,," The Study on welfare service of multicultural families youth",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0, No. 5, pp.19-26, 2012. 

  7. K. S. Yoo,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Employment Permit System",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1. 

  8. Y. H. Lee,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Electoral Eligibility for Permanent Alien Resident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3, pp.13-22, 2013. 

  9. J. W. Oh & I. S. Park, "Verification Effect of Family Resilience Model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5, pp.355-377, 2013. 

  10. S. Y. Hong, "The Effect of Multi-cultural TV Program on the Viewers' Perception of Migrant Women : 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Centered on University Students' Viewing of the 'Love in Asia' Program",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7, pp.19-26, 2013. 

  1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Multicultural demographics, KNSO, 2015. 

  12. http://withmigrants.org/xe/data_01/28598 

  13. KOREA IMMIGRATION SERVICE, Statistics Reports 2015. 06 

  14. S. W. Byun, "Difficulties of Health Behavior of the Migrant Inter-marriage Women",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12, pp.631-637, 2013. 

  15. H. J. Ko, "Language use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A case study of Korea",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0, No. 10, pp.47-53, 2012. 

  16. Y. S. Moon, J. S. Han, & I. S. Park. "Transition in Life of Immigrant Women through Experience of Pregnancy and Deliver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0, No. 11, pp.477-484, 2012. 

  17. http://withmigrants.org/xe/data_01/28598 

  18. D. H. Seol, & J. D. Skrentny "South Korea: Importing Undocumented Workers." Pp. 481-513 in Controlling Immigration: A Global Perspective, 2nd Edition, edited by Wayne A. Cornelius, Takeyuki Tsuda, Philip L. Martin and James F. Hollifield.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4. 

  19. D. H. Seol, & J. D. Skrentny, "Ethnic returnmigration and hierarchical nationhood: KoreanChinese foreign workers in South Korea." Ethnicities, Vol. 9, No. 2, pp. 147-174, 2009. 

  20. D. H. Seol, & Y. J. Lee, "Recent Developments and Implications of Policies on Ethnic Return Migration in Korea." Asian and Pacific Migration Journal, Vol.20, No. 2, pp. 215-231,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