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주노동자의 의료서비스 이용실태 및 삶의 질
Quality of Life and Health Service Utilization of the Migrant Worker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7, 2014년, pp.4370 - 4379  

이은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이정미 (포항선린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이주노동자들의 의료서비스 이용실태와 삶의 질에 영향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이주노동자 135명을 대상으로 2012년 9월 10일부터 11월 15일까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Scheff' test,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이주노동자들은 의료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고, 삶의 질은 평균 $14.25{\pm}2.01$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삶의 질에 영향요인으로는 국내 거주기간, 거주지역,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감으로 나타났다. 최종 회귀분석 모델에서는 삶의 질이 16.7%의 변화를 보였다.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감이 이주노동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주노동자들의 국내 의료서비스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utilization of health service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QOL) of migrant workers. The participants were 135 migrant workers in Korea.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10th 2012 to November 15th 2012.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들의 의료서비스 이용실태 및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 연구이다. 이주노동자들은 의료기관을 선택할 때는 의료진의 경력, 지인들의 소개, 교통이 편리한 곳 순으로 선택하였고, 질병의 초기에는 절반 이상이 근처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급상황에서는 한국 친구에게 연락하거나, 스스로 병원을 찾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들의 의료서비스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이주노동자들의 의료서비스 이용실태와 삶의 질 수준을 알아보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를 통해 이주노동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주노동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주노동자들이 겪는 사회적 문제는 무엇인가? 그러나 이주노동자들은 한국 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사회와 직장에서 수많은 문제들과 부딪히며 갈등을 경험하고 있고, 위험한 환경에서 힘든 작업을 장시간 수행하여 안전과 건강에 위협을 받고 있다[2]. 또한,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언어와 문화 차이를 경험하며, 고용 불안정과 저임금, 산업현장에서의 학대와 착취, 불법적인 신분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로 부적응을 경험하게 된다[4]. 실제, 이주노동자들은 이민국으로 이주한 후 많은 스트레스로 인해 건강문제를 경험하게 된다고 한다[5,6].
이주노동자들은 언제 유입되기 시작하였는가? 4%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이 중 이주노동자의 수는 1/3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1]. 이주노동자들은 국내 산업현장에서 노동력이 부족하여 1980년 중반 이후부터 유입되기 시작하였으며, 지금은 국내 노동시장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2]. 또한 국내 경제성장과 더불어 이주노동자들의 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3].
삶의 질이란? 이주노동자의 삶의 질은 우리나라에서의 삶에 대한 적응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8]. 삶의 질이란 한 개인이 살고 있는 문화권과 가치체계의 맥락에서 자신의 목표, 기대, 규범, 관심과 관련하여 개인이 지각하는 것으로[9], 각 개인이 경험하고 지각하는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것으로 행복, 안녕, 만족 등과 동의로 사용되거나 혼용되어 사용된다[10]. 그리고 삶의 질은 양적, 경제·물질적 생활여건뿐만 아니라 주관적 생활만족의 정도를 포함하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으로서[11], 이주노동자에 관한 행복 및 생의 목표 달성과 직접 연결되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inistry of Justice, "Korea immigration service statistics", Ministry of Justice, 2013. 

  2. W. S. Shin, Y. J. Jeong,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foreign workers concerning the adaptation to life in Korea", Journal of Social Science, 36(3), pp213-232, 2010. 

  3. S. W. Hong, D. H. Shul, H. J. Suh, C. W. Hong, M. J. Kim, M. S. Shul, "Health status appraisal and systemic surveillance program for migrant workers in Korea" Seoul, Korea: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06. 

  4. J. Benach, C. Muntaner, H. Chung, F. G. Benavides, "Immigration, employment relations, and health: Developing a research agenda",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53(4), pp338-343, 2010. DOI: http://dx.doi.org/10.1002/ajim.20717 

  5. L. Ward, A. Tanner, R. S. Officer, "Psychosocial stres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Latino migrant farmworkers", Southern Online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0, pp1-15, 2010. 

  6. H. Nygren-Krug, "International migration, health and human right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7. Y. Nesterko, E. Braehler, G. Grande, H. Glaesmer, "Life satisfac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immigrants and native-born Germans: the role of immigration-related factors', Quality of Life Research, 22(5), pp1005-1013, 2013. DOI: http://dx.doi.org/10.1007/s11136-012-0239-y 

  8. S. J. Kim, S. H. Lee, S. Y. Kim, A. L. Kim, H. T. Park, Y. J. Lee, "Migrant workers' quality of life related to heal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5), pp791-803, 2008. 

  9.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 study protocol", WHO (MNH7PSF/93.9), 1993. 

  10. M. Sihn, "Adolescent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validity and reliability study",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4(1), pp163-194, 2012. 

  11. S. H. Oh, D. S. Yoon, "A comparative study on quality of life on the elderly among urban, farm and island area",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2, pp119-147, 2006. 

  12. Migrant Health Association in Korea, Migrant workers'medical negligence, The Daegjeon Ilbo, 2008. DOI: http://happylog.naver.com/mwhak.do. Retrived Feburary 22, 2014 

  13. M. J. Anthony, E. G. Martin, A. M. Avery, J. M. Williams, "Self care and health-seeking behavior of migrant farm workers" Journal of Immigrant and Minority Health, 12(5), pp634-639, 2010. DOI: http://dx.doi.org/10.1007/s10903-009-9252-9 

  14. S. H. Lee, S. J. Kim, Y. J. Lee, S. Y. Kim,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n migrant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0), pp67-74, 2009. 

  15. S. H. Lee, Y. J. Lee, S. Y. Kim, S. J. Kim,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in migrant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6), pp899-910, 2009. DOI: http://dx.doi.org/10.4040/jkan.2009.39.6.899 

  16. J. Jung, Y. H. Park, "Acculturation,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behavior among foreign worker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32, pp29-52, 2012. 

  17.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Introduction, administration, scoring and generic version of the assessment: field trial version, December 1996. 

  18. S. K. Min, C. I. Lee, K. I. Kim, S. Y. Suh, D. K. Kim,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3), pp571-579, 2000. 

  19. Y. J. Park, M. Jun, "Comparison of Marital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International Married Woman Migrants and Korean Ma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3), pp383-392, 2012.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3.383 

  20. H. Lee, "Medical information and satisfaction of medical service for native english teachers in Daegu"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011. 

  21. H. T. Jo, "A study of actual conditions of the health for the foreign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7(2), pp224-229, 2008. 

  22. J. I. Ahn, "Factora associated with utillization of medical care services by migrant workers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ty, Pusan, 2011. 

  23. J. E. Kim, "The medical utillization of alien immigrants in Pusan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ty, Pusan, 2010. 

  24. K. Preibisch, J. Hennebry, "Temporary migration, chronic effects: the health of international migrant workers in Canada"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83(9), pp1033-1038, 2011. DOI: http://dx.doi.org/10.1503/cmaj.090736 

  25. J. Y. Choi, "Research on the condition of free medical treatment and secondary treatment for foreign workers.-focus on the Ansan city-",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10, pp301-339, 2011. 

  26. J. Wolff, C. Ellis, "A brief survey of awareness of common health conditions, access to health services, and utilization of health services in limited-Englishproficiency Hispanic/Latino adults" Journal of allied health, 38(2), pp43E-46E, 2009. 

  27. H. Cho, "The reality of Korean languge education for immigrant labors and tasks for its development"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6(1), pp299-316, 2008. 

  28. D. P. Williams, A. Hampton, "Barriers to health services perceived by Marshallese immigrants", Journal of Immigrant and Minority Health, 7(4), pp317-326, 2005. DOI: http://dx.doi.org/10.1007/s10903-005-5129-8 

  29. E. Z. Kontos, K. M. Emmons, E. Puleo, K. Viswanath, "Determinants and beliefs of health information mavens among a lower- socioeconomic position and minority population" Social Science & Medicine, 73(1), pp22-32, 2011. DOI: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11.04.024 

  30. J. M. Lee, E. Lee, "Factors Influencing Level of Health Literacy of Migrant Work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3), pp269-277, 2013. DOI: http://dx.doi.org/10.7739/jkafn.2013.20.3.269 

  31. J. M. Li, S. K. Min, H. Ohrr, "A study on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illegal status Korean-Chinse in Korea"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3(2), pp219-228, 2004. 

  32. I. Kang, "Elderly's satisfaction of long-term care services and quality of life-focused on in home care services", Unpublished masters'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2011. 

  33. Y. J. Ro, C., G. Kim, Y. S. Lee, "An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to quality of life reported in Korea from 1987 to 1996"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1(4), pp743-757,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