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쟁 수종들의 잎 추출 수용액이 가문비나무 종자발아 및 유묘생장에 미치는 타감효과
Allelopathic Effect against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Picea jezoensis of Leaf Aqueous Extracts from Competition Specie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1, 2016년, pp.86 - 92  

김길남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한심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신수정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  김두현 (동아대학교 생명자원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문비나무 집단 내 치수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를 찾고자 실시하였다. 가문비나무 집단 내 치수형성을 방해하는 타감물질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고, 타감작용을 일으키는 수종을 확인하기 위해서 타감물질을 추출하여 종자발아 및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용성 추출액은 GC/MS를 사용하여 수용성 페놀화합물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가문비나무 집단에서 채취한 주변 경쟁수종 잎의 수용성 추출물은 가문비나무 종자의 발아를 감소시켰으며, 유묘의 생장을 저해하였다. 추출액의 수용성 페놀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borneol, Camphor, Longifolen, Longifolenaldehyde, Norbornene, Ketobornane, 1,8-Cineole, ${\alpha}$-Cadinol이 검출되었는데, 이들은 monoterpenoids 화합물로서, 타감물질로 잘 알려진 화합물들이다. 결론적으로, 가문비나무 집단 내 치수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중의 하나가 주변 경쟁식생들의 타감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llelopathic effect against the regeneration of the seedling and to identify the presence of allelochemicals in Picea jezoensis natural population in Jirisan. Water-soluble extracts from leaves of different competition plants were collected to test their ef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문비나무 집단 내 치수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 중의 하나가 타감작용에 의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가문비나무 집단 내 주요 경쟁 식생들 잎의 수용성 추출액을 이용하여 종자발아 및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타감물질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가문비나무 집단의 현지내 보전을 위한 쇠퇴 원인에 대한 구명 연구의 일부분으로서, 가문비나무 집단내 치수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를 찾고자 실시하였다. 가문비나무 자생지의 경쟁 수종의 잎으로부터 타감물질을 추출하여 가문비나무의 종자발아 및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가문비나무의 치수형성을 방해하는 타감물질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였다.
  • Pellissier(1993)의 연구에서, 타감물질로 알려져 있는 p-hydroxybenzoic acid는 10−3M 수준에서 블루베리의 종자발아는 저해되지 않았지만, Gallet(1994)의 연구에서는 p-hydroxybenzoic acid가 10−3M 수준에서 블루베리의 유근신장과 유묘의 생장을 저해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종자발아에 대한 타감효과 뿐만 아니라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타감효과도 함께 조사하였다. 경쟁 수종들 잎의 수용성 추출액을 주기적으로 처리한 결과 가문비나무 유묘의 생장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문비나무의 국내 분포는? ) Carrière.] 는 우리나라 계방산, 덕유산, 지리산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산림청 권장 주요 용재수로서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등과 함께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수종 중의 하나이다(Nikolov and Helmisaari, 1992). 최근 우리나라 가문비나무 집단은 서서히 쇠퇴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그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Han et al.
일반적으로 산림에서 치수의 종 구성과 분포를 통해 예측할수 있는 것은? 일반적으로 산림에서 치수의 종 구성과 분포에 따라 임분의 유지 및 발달이 예측 가능하며, 하층에서 발달하고 있는 치수는 향후 개체군 유지와 임분 갱신에 중요한 요소이다(Greene et al., 1999; Parent et al.
기존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때 가문비나무의 쇠퇴원인은 무엇인가? (2012)은 가문비나무의 쇠퇴원인을 밝히고자 집단별 가문비나무 침엽의 생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였다.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현재 가문비나무는 집단 내에서 치수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자연적으로 후계림 조성이어려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 H.C., Kim, G.T., Choo, G.C., Um, T.W., Park, S.B., and Park, E.H. 2010. A study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of Picea jezoensis stands at cheonwangbong area, Jirisan (Mt.).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9: 590-5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eadle, C.L. 1993. Growth analysis. In Hann, D.O., Scurlock, J.M.O, Bolhar-Nordenkampf, H.R., Leegood, R.C. and Long, P(eds.). Photosynthesis and production in a changing environment a filed and laboratory manual. Chapman Hall, London, pp. 36-46. 

  3. Bonner, F.T. and Karrfalt, R.P. 2008. The woody plant seed manual.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 service, Agriculture handbook 727, April. Available at: http://www.nsl.fs.fed.us/nsl_wpsm.html. 

  4. Evans, L.E. and Bhatt, G.M. 1977. Influence of seed size, protein content and cultivar on early seedling vigor in wheat. Canadian Journal of Plant Science 57: 929-935. 

  5. Gallet, C. 1994. Allelopathic potential in Bilberry-spruce forests: Influence of phenolic compounds on spruce seedlings. Journal of Chemical Exology 20: 1009-1024. 

  6. Greens, D.F., Zasada, J.C., Sirois, L., Kneeshaw, D., Morin, H., Charron, I., and Simard, M.J. 1999. A review of the regeneration dynamics of North American boreal forest tree specie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9: 824-839. 

  7. Han, A.R. 2008. Effects of seed production and forest floor on seedling establishment of Picea jezoensis in Mt. Jiri, Mt. Deogyu, and Mt. Kyebang. Master thesi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Han, S.H., Kim, D.H., Kim, G.N., and Yun, C.W. 2012. Needle life span, photosynthetic pigment and nitrogen allocation of Picea jezoensi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1: 62-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Inderjit and Dakshini, K.M.M. 1995. On laboratory bioassays in allelopathy. Botannical 61: 28-44. 

  10. Kang, H.N. and Kim, J.H. 1997. The monoterpenoids in Pinus rigida and Pinus densiflor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0: 323-3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l, B.S. 2005. Basic and prospective aspects on allelopathic research.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005: 3-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l, B.S., Kim, D.Y., Kim, Y.S., and Lee, S.Y. 1991. Phytotoxic effects of naturally occurring chemicals from Pinus koraiensis on experimental species.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4: 149-1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l, B.S., Oh, S.H., and Kim, Y.S. 1989. Effects of growth inhibitors from Pinus thunbergii.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2: 21-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G.B., Lee, K.J. and Hyun, J.O. 1998. Regeneration of seedlings under different vegetation types and effects of allelopathy on seedling establishment of Abies koreana in the Banyabong peak, Mt. Chiri.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7: 230-2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o, S.Y., Han, S.H., and Yun, C.W. 2013. Popul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icea jezoensis stand in Mt. Gyebangsan.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2: 355-3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M.H., Kim, Y.S., Kim, D.G., Park, S.G., and Shin, H.T.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seed bank and actual vegetatio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4: 638-6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Moral, R.D. and Cates, R.G. 1971. Allelopathic potential of the dominant vegetation of western washington.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52: 1030-1037. 

  18. Mutlu, S. and Atici, O. 2009. Allelopathic effect of Nepeta meyeri Benth. extract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some crop plants. Acta Physiologiae Plantarum 31: 89-93. 

  19. Nakagawa, M., Kurahashi, A., and Hogetsu, T. 2003. The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Picea jezoensis and Abies sachalinensis on cut stumps in the sub-boreal forests of Hokkaido Tokyo University Fores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80: 353-359. 

  20. Nikolov, N. and Helmisaari, H. 1992. Silvics of the circumpolar boreal fores tree species. In: H.H. Shugart, Leemans, R. and Bonan, G.B. (ed.), A Systems Analysis of the Global Boreal Fore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13-84. 

  21. Parent, S., Simard, M.J., Morin, H. and Messier, C. 2003. Establishment and dynamics of the balsam fir seedling bank in old forests of northeastern Quebec.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3: 597-603. 

  22. Pellissier, F. 1993. Allelopathic effect of phenolic acids from humic solutions on two spruce mycorrhizal fungi: Cenococcum graniforme and Laccaria laccata. Journal of Chemical Ecology 19: 2105-2114. 

  23. Scott, S.J., Jones, R.A., and Williams, W.A. 1984. Review of data analysis methods for seed germination. Crop Science 24: 1160-1162. 

  24. Tiffany, L.W., Park, S.W., and Vivanco, J.M. 2004.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mechanisms mediated by allelochemicals. Plant Biology 7: 472-479. 

  25. Vertucci, C.W. and Leopold, A.C. 1987. Oxidative processes in soybean and pea seeds. Plant Physiology 84: 1038-1043. 

  26. Wu, L., Guo, X. and Harivandi, M.A. 1998. Allelopathic effects of phenolic acids detected in buffalograss (Buchloe dactyloides) clippings on growth of annual bluegrass (Poa annua) and buffalograss seedlings.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Botany 39: 159-167. 

  27. Zackrisson, O. and M.C. Nilsson. 1992. Allelopathic effects by Empetrum hermaphroditum on seed germination of two boreal tree specie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2: 1310-13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