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긍정심리기반 성격강점 통합활동 프로그램이 농촌 독거노인의 우울, 활력,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a Positive Psychology-based and Character Strengths-integrated Activity Program on Depression, Vitality,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7 no.4, 2016년, pp.299 - 308  

한상미 (거창군보건소) ,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ositive psychology-based and character strengths-integrated activity program for elders living alone in rural areas, and then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ethods: A quasi-experimental pre- and post-test design with a nonequival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4가지 성격강점(활력, 감사, 사랑, 낙관성)에 초점을 둔 긍정심리기반 성격강점 통합활동 프로그램(건강활동, 미술활동, 놀이활동)을 개발하여 농촌 독거노인의 우울 감소 및 활력과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평균 연령 77.
  • 본 연구는 농촌 독거노인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성격강점 통합활동 프로그램(건강활동, 미술활동, 놀이활동)이 우울, 활력,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긍정심리기반 성격강점 통합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긍정심리기반 성격강점 통합활동 프로그램(건강활동, 미술활동, 놀이활동)이 농촌 독거노인의 우울, 활력,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노인의 신체적, 심리 • 사회적 기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거노인의 특징은? 2%로 높게 나타났다[3]. 특히 독거노인은 빈곤과 더불어 가족 및 사회로부터 단절됨으로 인해서 심리적으로 우울한 경향이 있으며, 노년기에 가족의 보호와 지원을 받지 못하는 독거노인의 환경적 영향에서 오는 좌절감은 독거노인의 우울 성향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4]. 이처럼 농촌 독거노인들이 우울의 위험 요인을 내포하고 있고, 의료서비스기관 부족 및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지역 내 노인복지시설이 부족함을 고려할 때, 농촌 지역 독거노인의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
생활 만족도란? 생활 만족도는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측면에서 인생목표나 욕구의 달성 정도 및 만족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인 평가를 말한다[12]. 노인은 고독과 고립 상태를 지속적으로 경험하게 되면 우울상태에 이르게 되고, 이는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13].
노인의 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선행 연구 사례는? 노인은 고독과 고립 상태를 지속적으로 경험하게 되면 우울상태에 이르게 되고, 이는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13].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선행연구에서 문화예술참여형태의 여가활동(놀이,미술, 음악, 기타 활동)과 종교 및 사회활동(종교활동, 자원봉사활동, 지역사회참여활동 등) 참여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과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4]. 그러나 ‘2014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노인들의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tatistics Korea. Elderly statistic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5 December 2].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1/index.board?bmoderead&aSeq348565 

  2. Jeong KH, Oh YH, Kang EN, Kim JH, Son WD, Oh MA, et al. 2014 Survey for elderly. Research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December. Report No.: 11-13520000-00142612. 

  3. Son JA, Suh SR, Kim MH.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of rural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5;17(1):56-64. http://dx.doi.org/10.17079/jkgn.2015.17.1.56 

  4. Jeong SS, Kim JS.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s and health level between elders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a spouse. Global Health & Nursing. 2014;4(1):27-36. 

  5. Kwon SM. Positive personality of human. Seoul: Hakjisa; 2011. 702 p. 

  6. Peterson C, Seligman MEP.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and Washington, DC; 2004. 816 p. 

  7. Seligman MEP, Steen TA, Park N, Peterson C.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2005;60(5):410-421. 

  8. Proyer RT, Gander F, Wellenzohn S, Ruch W.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in people aged 50-79 years: Long-term effects of placebo-controlled online interventions on well-being and depression. Aging & Mental Health. 2014;18(8):997-1005. http://dx.doi.org/10.1080/13607863.2014.899978 

  9. Niemiec RM. VIA character strengths: Research and practice (The first 10 years). In: Knoop HH, Delle Fave A, editors. Wellbeing and cultures: Perspectives on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Springer; 2013. p. 11-30. 

  10. Song K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health belief, vitality and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14;58(1):751-761. 

  11. Jung MR, Hwang MS. Factors affecting vitality in persons using elderly welf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4;21(1):5-13. 

  12. Choi SJ.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asuring scale of the concep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Culture Research Institution. 1986;49:233-258. 

  13. Lee MS.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the elderly living alon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4;16(1):17-26. 

  14. Jeon MS. The effects of social activity and leisure activity on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Korea Contents Association Journal. 2014;14(9):298-310.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9.298 

  15. Kim KM, Kim HY. The systemic contemplation of sadness mediation program applied to internal senior citize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12):391-400. http://dx.doi.org/10.14400/JDC.2015.13.12.391 

  16. Lee HJ. Developing and testing the effects of a group program for the low income depressed elderly women living alone which integrated positive psychology and solution-focused therapy [dissertation]. [Seoul]:Sungkyunkwan University; 2013. 186 p. 

  17. Kim SH.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based group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happiness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master's thesis]. [Iksan]: Wonkwang University; 2013. 19 p. 

  18. Han SM. Effectiveness of a character strengths-based positive psychotherapy on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depressed elderly [dissertation]. [Cheongju]: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12. 77 p. 

  19. Lee JA. Effect of group positive psychotherapy program on depressed older adults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2. 63 p. 

  20. Ryan RM, Frederick C. On energy, personality, and health: Subjective vitality as a dynamic reflection of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1997;65(3):529-565. 

  21. Kee B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6;35(2):298-307. 

  22. Sheldon KM, Lyubomirsky S. How to increase and sustain positive emotion: the effects of expressing gratitude and visualizing best possible selve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2006;1(2);73-82. http://dx.doi.org/10.1080/17439760500510676 

  23. Happiness Research Center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appiness textbook. Seoul: Kimyoungsa; 2013. 164 p. 

  24. Kim SI.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vitality and happiness in elderly participating physical activity program.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12;49(1):617-629. 

  25. Lee MY, Kim SI. Effect of therapeutic exercise program on vitality and optimism in elderly.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13;51(1):465-476. 

  26. Oh HO. The relationship among self-regulation, vitality and optimism in elderly leisure sport participan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11;45(1):637-646. 

  27. Seligman MEP. Authentic happiness. New York: Free Press; 2002. 177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