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이환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변화에 미치는 영향: 장기요양 재가 서비스와 시설 서비스를 중심으로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Older Adults with Stroke: A Comparison of Home Care and Institutional Care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7 no.4, 2016년, pp.388 - 398  

정운숙 (경동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임은실 (대구보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compare the change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in older adults with stroke in different modalities of long term care (LTC) services, which include home care and institutional care. Methods: This is a comparative study using secondary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LTC insura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 연구는 최초로 장기요양 1, 2등급 뇌졸중 이환 노인을 대상으로 2년간의 장기요양 재가 서비스 이용자와 시설서비스 이용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뇌졸중 이환 노인의 장기요양 서비스를 통한 일상생활수행능력 유지 및 향상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데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시설 서비스와 재가 서비스에 대한 효과가 일관되지 않고, 선행연구대상이 장기요양보험 전체 이용자를 대상으로 재가 서비스와 시설 서비스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으로 제한되어 있다[7]. 따라서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험의 주요 대상인 뇌졸중 이환 노인을 대상으로 장기요양 서비스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재가 서비스와 시설 서비스 제공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고, 일상생활수행능력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은 장기요양보험의 주요 정책 대상인 뇌졸중 이환 노인에 대한 장기요양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정책 수립 방향의 근거자료로 의미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2009년, 2010년, 2011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인정조사 자료와 장기요양 서비스 급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서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기요양보험 자료를 활용한 2차 분석연구로 뇌졸중 이환 노인을 대상으로 장기요양 재가 서비스 및 시설 서비스 이용 전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변화를 파악하였다. 2008년 7월 장기요양보험 도입 이후, 2009년, 2010년 2년간 재가 서비스와 시설 서비스 이용자 전수 분석을 통해 모집단의 대표성을 확보함에 따라 뇌졸중 이환 노인의 장기요양 서비스 효과를 일반화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장기요양 1, 2등급인 뇌졸중 이환 노인을 대상으로 장기요양 서비스 종류에 따른 2년간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변화 및 일상생활수행능력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하였다.
  • 본 연구는 장기요양 1, 2등급인 뇌졸중 이환 노인을 대상으로 재가 서비스와 시설 서비스 이용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변화를 파악하여 양질의 장기요양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안 및 뇌졸중 이환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효과 평가 지표는 무엇이며 장기 요양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표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와 같이 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후 재가 및 시설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된 현 시점에서 뇌졸중을 지닌 노인들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효과 평가 지표는 서비스를 제공한 후의 환자의 건강상태나 기능상태를 측정하여 해당 서비스의 질을 평가하는 것으로[10], 장기 요양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표에는 일상생활수행능력, 요 실금, 욕창, 신체적 구속, 우울과 불안 등의 영역에서 해당 기능 상태의 변화 또는 부정적 상황의 발생 빈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들이 있다[10]. 뇌졸중 이환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은 기능적 회복과 재활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이는 환자의 독립적 생활을 위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다.
뇌졸중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급작스런 뇌혈류의 장해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 및 징후가 24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사망하는 경우를 총칭한다[4]. 뇌졸중 환자는 장애 발생률이 높으며, 신경학적 손상에 따라 운동 및 감각마비, 실어증, 인지기능 장애, 보행 장애, 시지각 기능 장애와 같이 일차적인 뇌기능 장애와 함께 이에 따른 독립적일상생활 수행이 어렵게 되어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의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한다[4].
뇌졸중 환자는 신경학적 손상에 따라 어떤 문제를 갖는가? 뇌졸중은 급작스런 뇌혈류의 장해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 및 징후가 24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사망하는 경우를 총칭한다[4]. 뇌졸중 환자는 장애 발생률이 높으며, 신경학적 손상에 따라 운동 및 감각마비, 실어증, 인지기능 장애, 보행 장애, 시지각 기능 장애와 같이 일차적인 뇌기능 장애와 함께 이에 따른 독립적일상생활 수행이 어렵게 되어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의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한다[4]. 호주에서 뇌졸중 생존자들을 추적한 연구에 의하면 뇌졸중 발생 후 3개월 후 74%가 일상생활에 도움을 필요로 하였고 가족 등으로부터 수발을 받고 있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Trend of stroke prevalence.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6 July 20]. Available from: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2. Kim MH, Jung YH, Lee DH. Cardiovascular diseases prevention and control campaign, 2015.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15;8(39):925-928. 

  3. Kwon YD, Chang HJ, Choi YJ, Yoon SS. Nationwide trends in stroke hospitalization over the past decad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2;55(10):1014-1025. http://dx.doi.org/10.5124/jkma.2012.55.10.1014 

  4. Kim HS, Kim JM, Yim HS, Hong JS, Ha DS, Kwon JB. Efficient recycling based on research generated through the use of analysis of acute care stroke patients. Goya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lsan Hospital; 2015 December. Report No.: 2015-20-023. 

  5. Dewey HM, Thrift AG, Mihalopoulos C, Carter R, Macdonell RA, McNeil JJ, et al. Informal care for stroke survivors: Results from the North East Melbourne Stroke Incidence Study (NE MESIS). Stroke. 2002;33(4):1028-1033. 

  6. Kang EJ, Kim DJ, Sun YD, Yoon SS. Development of health care system for the elderly with medical expenditure analysi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 Social Affairs; 2006 December. Report No.: 2006-05. 

  7. Hyun KR, Lee SM. Effects on the functional status changes of LTC (Long Term Care)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2;32(2):593-609. 

  8. Lee SJ, Kwak CY. Effects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on utilization of health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6;27(3):272-283. http://dx.doi.org/10.12799/jkachn.2016.27.3.272 

  9.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Statistical yearbook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5. 685 p. 

  10. Yoon JY, Lee JY. Development of outcome indicators of urinary incontinence for quality evaluation in long 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0;40(1):110-118. http://dx.doi.org/10.4040/jkan.2010.40.1.110 

  11. Mitchell JB. Patient outcomes in alternative long-term care setting. Medical Care. 1978;16(6):439-452. 

  12. Market KD, Popejoy L, Petroski G, Mehr D, Rantz M, Lin WC. Clinical outcomes of aging in place. Nursing Research. 2005;54(3):202-211. 

  13. Braun KI, Rose CL, Finch MD. Patient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in institutional and community long-term care. Gerontologist. 1991;31(5):648-656. 

  14. Lee TW, Cho EH, Yim EH, Lee HS, Ko YK, Kim BN, et 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nursing home and home care settings: A retrospective 1-year cohort study. The Journal of Post-Acute and Long-Term Care Medicine. 2015;16(2):114-119. http://dx.doi.org/10.1016/j.jamda.2014.07.013. 

  15. Park CJ. Cost-effectiveness analysis of long-term care services: care in institution vs in-home car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0, 145-172. 

  16. You HJ, Lee HY, Kim KA, Jo JH, Kim DH. Strengthening longterm care facility services expertise.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3 November 30. Report No.: 2013-12. 

  17. Kown JH, Han EJ, Lee JS. Long-term care services payroll management improvement. Research Repor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09 December. Report No.: 2009-33. 

  18. Lee TW, Yim EH, Cho EH, Chung JN. Cognitive function, behavioral problems, and physical function in long-term care insurance beneficiaries with dementia in south Korea: Comparison of home care and institutional care service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14;62(8):1467-1475. http://dx.doi.org/10.1111/jgs.1294 

  19. Lee KG, Cho EH.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ehabilitation needs for older adults with a stroke: A comparison of home care and nursing home care.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6;7:1-9. http://dx.doi.org/10.1111/jjns.12139 

  20. Kane RL, Chen Q, Finch M, Blewett L, Burns R, Moskowitz M. Functional outcomes of posthospital care for stroke and hip fracture patients under medicare.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1998;46(12):1525-1533. 

  21. Kane RL, Chem Q, Blewett LA, Sangl J. Do rehabilitative nursing homes improve the outcomes of care?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1996;44(5):545-554. 

  22. Mun BM, Lee YS, Lee B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ient's health beliefs and the implementation of functional movement rehabilitation and ability to perform ADL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7):3057-3064. http://dx.doi.org/10.5762/KAIS.2012.13.7.3057 

  23. Hwang HJ, Lee KY, Kim SH. Physical and emotional status of nursing home residents: long-term care of older people via Incheon nursing home network study. Journal of Korean Geriatric Society. 2010;14(3):139-146. http://dx.doi.org/10.4235/jkgs.2010.14.3.139 

  24. Boyd M, Broad JB, Kerse N, Foster S, von Randow M, Lay-Yee R, et al. Twenty-year trends in dependency in residential aged care in Auckland, New Zealand: A descriptive study. Journal of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11;12(7):535-540. http://dx.doi.org/10.1016/j.jamda.2011.01.014 

  25. Hwang EH, Jung DY, Kim MJ, Kim KH, Shin SJ. Comparison of frequency and difficulty of care helper job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and client hom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2;26(1):101-112.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1.101 

  26. Jette DU, Warren RL, Wirtalla C. Rehabilitation on skilled using facilities: Effect of nursing staff level and therapy intensity on outcom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2004;83(9):704-712. 

  27. Lee JS, Han EJ, Lee HY, Lee JS. The report on incentives institution improvement measurement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services.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2 November 30. Report No.: 2012-17. 

  28. Lee MK, Kim EK.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 utilization and long-term care classification level for resident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0;40(6):903-912. http://dx.doi.org/10.4040/jkan.2010.40.6.903 

  29. Yang YA, An SJ, Park YH, Park BR, Heo J, Park JS, et al. A study of visiting rehabilitation service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2011;3(1):59-70. 

  30. Lee SG, Kwak CY. The effects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6;27(3):272-283. http://doi.org/10.12799/jkachn.2016.27.3.27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