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관성 규칙 수의 추정을 위한 일반적인 비선형 회귀모형에서의 표준화 향상도 활용 방안
Generally non-linear regression model containing standardized lift for association number estim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7 no.3, 2016년, pp.629 - 638  

박희창 (창원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연관성 규칙 마이닝은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서 두 항목간의 관계를 측도화 함으로써 두 개 이상의 항목간의 관련성을 표시하여 주는 기법이다. 연관성 규칙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연관성 평가 기준에는 지지도, 신뢰도, 그리고 향상도 등이 있으며, 이들 세 가지 기준을 이용하여 연관성 규칙 생성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는 결정함수를 이용하는 방법과 회귀모형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수행한 연구에는 지지도와 신뢰도에 의한 모형, 세 가지 평가 기준의 쌍에 의한 모형, 표준화 향상도를 포함한 세 가지 평가 기준의 쌍에 의한 모형, 그리고 세 가지 평가 기준 전부를 고려한 모형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확장하는 의미에서 표준화 향상도를 포함한 세가지 평가 기준 전부를 고려한 비선형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연관성 규칙의 수를 추정하는 방안에 대해 강구하고자 한다. 또한 분산분석에서의 F 통계량과 수정 결정계수를 이용하여 각 모형의 유의한 정도를 비교하는 동시에 분산팽창계수에 의한 공선성 문제를 진단함으로써 가장 유용한 회귀 모형을 탐색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ong data mining techniques, the association rule is one of the most used in the real fields because it clearly displays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items in large databases by qua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tems. There are three primary quality measures for association rule;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Park (2013b)와 Park (2014b)의 연구를 확장하는 의미에서 연관성 규칙의 수를 지지도, 신뢰도, 그리고 표준화 향상도를 독립변수로 동시에 고려한 비선형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고자 하며, 이들 모형에 대해 회귀계수의 유의성과 함께 다중 공선성, 모형의 적합도, 그리고 설명력 등과 관련된 논의를 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논문에서도 Table 2.
  • Park (2014b)는 향상도는 값의 변화 구간의 범위가 상당히 넓으므로 이를 그대로 회귀모형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는 점에 착안하여 향상도 대신에 표준화 향상도를 적용하였으며, Park (2013b)는 3가지 기준 전부를 적용한 비선형 회귀모형을 고려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Park (2013b)와 Park (2014b)의 연구를 확장하는 의미에서 지지도, 신뢰도, 그리고 표준화 향상도를 동시에 고려한 일반적인 비선형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연관성 규칙의 수를 추정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모의실험을 통해 얻어진 회귀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기존의 모형들에 비해 제안한 모형의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관성 규칙 마이닝이란? 최근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연관성 규칙 마이닝은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서 두 항목간의 관계를 측도화 함으로써 두 개 이상의 항목간의 관련성을 표시하여 주는 기법이다. 연관성 규칙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연관성 평가 기준에는 지지도, 신뢰도, 그리고 향상도 등이 있으며, 이들 세 가지 기준을 이용하여 연관성 규칙 생성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연관성 평가 기준에는 무엇이 있는가? 최근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연관성 규칙 마이닝은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서 두 항목간의 관계를 측도화 함으로써 두 개 이상의 항목간의 관련성을 표시하여 주는 기법이다. 연관성 규칙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연관성 평가 기준에는 지지도, 신뢰도, 그리고 향상도 등이 있으며, 이들 세 가지 기준을 이용하여 연관성 규칙 생성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는 결정함수를 이용하는 방법과 회귀모형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연관성 규칙의 수를 적절하게 하기 위해서 필요한 과정은? 이때 평가기준을 크게 하면 원하는 규칙의 수가 나오지 않게 되고 작게 하면 필요 이상의 연관성 규칙이 생성된다. 따라서 규칙의 수를 적절하게 하기 위해서는 평가 기준값에 대해 반복적으로 조정 과정을 거쳐야 한다 (Park, 2014a). 이는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이므로 보다 단순하게 규칙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지지도와 신뢰도, 그리고 향상도의 기준값 전부에 대해 비선형 회귀모형들을 적용하여 연관성 규칙의 수를 추정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grawal, R., Imielinski, R. and Swami, A. (1993). Mining association rules between sets of items in large databases. Proceedings of the ACM SIGMOD Conference on Management of Data,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New York, USA. 

  2. Cho, K. H. and Park, H. C. (2013). A study of Gyungnam's social indicator survey using data mining.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 2489-2497. 

  3. Geng, L. and Hamilton, H. J. (2006). Interestingness measures for data mining: A survey. ACM Computing Surveys, 38, 1-32. 

  4. Han, G. and Jin, S. (2014). Introduction to big data and the case study of its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 2447-2455. 

  5. Jin, D. S., Kang, C., Kim, K. K. and Choi, S. B. (2011). CRM on travel agency using association rul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3, 2945-2952. 

  6. Lee, C. H. and Bae, J. H. (2014). A new importance measure of association rules using information theory. Journal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3, 37-42. 

  7. Lim, J., Lee, K. and Cho, Y. (2010). A study of association rule by considering the frequency.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1, 1061-069. 

  8. Park, H. C. (2010a). Development of associative rank decision function using basic association rule threshold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 961-972. 

  9. Park, H. C. (2010b). Association rule ranking function by decreased lift influence.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1, 397-405. 

  10. Park, H. C. (2010c). Association rule ranking function using conditional probability increment ratio.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1, 709-717. 

  11. Park, H. C. (2010d). Association rule ranking function using standardized lif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 2661-2670. 

  12. Park, H. C. (2011a). Proposition of negatively pure association rule threshold.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2, 179-188. 

  13. Park, H. C. (2011b). The proposition of attributably pure confidence in association rule mining.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2, 235-243. 

  14. Park, H. C. (2013a). A study on comparison of non-linear regression model for decision of association rule numb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 125-132. 

  15. Park, H. C. (2013b). Non-linear regression model considering all association thresholds for decision of association rule numb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4, 267-275. 

  16. Park, H. C. (2014a). Comparison of confidence measures useful for classification model building.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 1-7. 

  17. Park, H. C. (2014b). Development of regression models by standardized lift for association rule number estim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 2447-2455. 

  18. Park, H. C. (2015). A study on the ordering of PIM family similarity measures without marginal prob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367-376. 

  19. Silberschatz, A. and Tuzhilin, A. (1996). What makes patterns interesting in knowledge discovery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Knowledge Data Engineering, 8, 970-974. 

  20. Tan, P. N., Kumar, V. and Srivastava, J. (2002). Selecting the right interestingness measure for association patterns. Proceedings of the Eighth ACM SIGKD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New York, USA. 

  21. Wu, X., Zhang, C. and Zhang, S. (2004). Efficient mining of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sociation rules. ACM Transactions on Information Systems, 22, 381-405. 

  22. Yi, W., Lu, M. and Liu, Z. (2011). Regression analysis in the number of association rules.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ation and Computing, 8, 78-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