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무배정 수업기법의 학습성과 향상도 측정
Measurement of Improved Learning Outcomes using Job Assignment Teaching Method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12, 2011년, pp.5633 - 5638  

김상균 (강원대학교 산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은 직무배정을 통한 조별과제 수행이 동료평가 방식의 문제점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줬으나, 그러한 학습방법이 학습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직무배정 수업 기법이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조별과제 수행 시 조원별로 차별화된 직무를 배정하여, 이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성과 변화를 학습자 스스로의 평가, 교수자 입장의 평가로 나누어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직무배정을 통한 조별과제 수행기법은 학습자 스스로의 평가, 교수자 입장의 평가 모두에서 학습성과의 향상을 나타냄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변화된 조별과제 수행 방법을 공학교육의 교과과정에서 적절히 활용한다면 조별과제 수행 과정의 학습성과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im(2011) showed that the team-based teaching method which is focusing on the individual job assignment solves the backlash effects of peer-evaluation method and suggested that it should be studied if the job assignment teaching method does not worsen the learning outcomes[1]. To analyse the learn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수업을 담당한 교수와 외부 전문가로 평가자 풀을 구성하여 학습자들이 이번 학기에 완성한 산출물과 이전년도 동일과목의 산출물 간 완성도를 이론적용 수준, 구조의 논리성, 실용적 가치의 세 개 영역에 대하여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설문조사 결과와 평가자 풀의 평가 결과가 기존 연구와 관련하여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설명하였다.
  • 본 연구는 [1]에서 제시된 직무배정 수업 기법에 대하여, 이러한 수업 기법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직무배정 과제 수행 기법이 학습성과에 주는 영향을 통계적 분석을 통해 검증한다.
  • 한 학기 동안 조별로 실제 기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안하는 내용을 진행하였다. 과제 대상 기업 및 주제는 조별로 서로 상이하게 선정하도록 하였다.

가설 설정

  • ‘학습자 스스로 느끼는 산출물의 품질 향상 수준’과‘학습자 스스로 느끼는 직무배정을 통한 실무능력 향상 수준’에 대한 측정 및 분석을 통하여, ‘H1: 조별과제 수행시 학습자별 직무배정은 학습자 스스로 인지하는 학습성과를 향상시킨다’는 가설을 채택한다.
  • H1: 조별과제 수행 시 학습자별 직무배정은 학습자 스스로 인지하는 학습성과를 향상시킨다.
  • H2: 조별과제 수행 시 학습자별 직무배정은 교수자가 평가하는 학습성과를 향상시킨다
  • 유의수준 5%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하여 H2를 채택한다. 즉, 교수자입장의 평가에서 조별과제 수행 시 학습자별 직무배정을 통해 유의미한 수준의 학습성과 향상이 있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의 공학교육과정에서 조별 과제를 활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학의 공학교육과정에서 학습자들을 일정 규모의 조단위로 구성하여 실험, 실습 및 과제를 진행하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는 조별 과제를 통해 학생 들의 의사소통 능력이 개선되고, 학습에 대한 이해도나 역량이 부족한 학생들도 상호작용 속에서 성과를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2]. 또한, 기업체들도 조별과제 경험이 풍부한 인재들이 기업의 업무 환경에 적합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3].
대학 교육에서 조별과제를 수행할 때 해당되는 만족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6]은 직무 자체, 급여, 승진기회, 감독, 동료관계의 다섯 가지를 직무 만족의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이중 대학 교육에서 조별과제를 수행할 때 해당되는 만족 요인으로는 승진기회를 제외한 직무 자체, 급여, 감독, 동료관계를 생각할 수 있다. [6]의 연구에서 대상이 된 조직은 기업을 의미하지만, 본 연구의 대상인 조직은 대학이므로 급여라는 개념을 학생들에게 적용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직무배정 수업 기법이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조별과제 수행 시 조원별로 차별화된 직무를 배정하여, 이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성과 변화를 학습자 스스로의 평가, 교수자 입장의 평가로 나누어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직무배정을 통한 조별과제 수행기법은 학습자 스스로의 평가, 교수자 입장의 평가 모두에서 학습성과의 향상을 나타냄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변화된 조별과제 수행 방법을 공학교육의 교과과정에서 적절히 활용한다면 조별과제 수행 과정의 학습성과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im, S., "Teaching method using job assignment as a solution on the adverse effects of peer evaluation in team-based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2, No.6, pp. 2543-2547, 2011. 

  2. Humphrey, W., Introduction to the Team Software Process, Addison-Wesley, 1999. 

  3. MeGowan, C.S., "Retooling engineering curriculum putting theory to the test", IEEE Today's Engineer, Spring 1999. 

  4. Lewis, P., Aldridge, D. and Swamidass, P.M., "Assessing teaming skills acquisition on undergraduate project team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pp. 149-155, April 1998. 

  5. Swan, B.R. et al., "A preliminary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engineering design team performance", Proceedings of 1994 ASEE Annual Conference, pp. 2572-2589, 1994. 

  6. Steers, R.M., Introduction to Organization Behavior, 2nd ed, Forresman and Company, 1984. 

  7. Chang, S.I.,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job satisfaction-focusing on the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in Namdong and Banwool area", Industry & Academy Management Review, Vol.19, No. 2, pp. 23-46, 2006. 

  8. Kim, D.W. and Park, C.M.,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the organizational level",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Vol.12, pp. 172-198, 2003. 

  9. Chae J.H., "Needs assessment of the purposes of Korean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5, No.1, pp. 89-98, 1996. 

  10. Kang, M.H. and Oh, K.W.,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and need for clothing section of home economics in the textboo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ol.18, No.2, pp. 63-77, 2006. 

  11. Kim, H.S., Satisfaction Level of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Middle/High School Studen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3. 

  12. Heo, G., "A study on the structura equation model for students' satisfaction in the blended leaning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10, No.1, pp. 135-143, 2009. 

  13. Gibbons, R. and Waldman, M., "Task-specific human capital",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94, No.2, pp. 203-207, 2004. 

  14. Lawler, E.E. and Porter, L.W., "The effect of performance on job satisfaction", Industrial Relations: A Journal of Economy and Society, Vol.7, No.1, pp. 20-28, 1967. 

  15. Myers, I.B. and Myers, P.B., Gifts Differing: Understanding Personality Type, Davies-Black Publishing, 1980. 

  16. Kirton, M.J. Adaption-Innovation, Routledge, 2003. 

  17. Brown, S. and Knight, P., Assessing Learners in Higher Education, Kogan Page, 1994. 

  18. Ramsden, P., Learning to Teach in Higher Education, Routledge, 1992. 

  19. Kang, S.J. and Ko, Y.K., The Talent for The Companies,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2008. 

  20. Marton, F. and Saljo, R., "On qualitative differences in learning. II-outcome as a function of the learner's conception of the task",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46, pp. 115-127, 1976. 

  21. Biggs, J.B., "Individual differences in study processes and the quality of learning outcomes", Higher Education, Vol.8, pp. 381-394, 1979. 

  22. Choi, B.K., Three Factors for Motivation, LG ERI, Vol.801, 2004. 

  23. Axelrod, E.L., Jones, H.H. and Welsh, T.A., "The war for talent", McKinsey Quarterly, May 2001. 

  24. Flowers, N., Mertens, S.B. and Mulhall, P.F., "The impact of teaming: five research-based outcomes", Middle School Journal, Vol.31, No.2, pp. 57-60,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