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남동부에 위치한 경주와 그 주변지역에서는 과거부터 최근까지 크고 작은 지진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계기지진자료를 검토하여 경주 주변 약 $20km{\times}30km$ 지역 내에서 지진이 많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지역에서 2010년 1월부터 2014년 12월 사이에 발생했지만, 그 규모가 너무 작아 미처 보고되지 않은 300개 이상의 미소지진을 식별하고 그 발생위치를 결정하였다. 연구지역 지하의 속도구조와 진원요소 결정에 사용하는 속도모델의 차이로 인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JHD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지역에서는 활성으로 의심되는 제4기 단층들이 여러 장소에서 보고되고 있으므로, 이 단층들과 미소지진발생과의 관련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로이 발생사실이 보고되는 미소 지진들은 연일구조선의 남측분절, 석읍단층 그리고 와읍분지 경계단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all to large earthquakes have been reported in Gyeongju and its vicinity in southeast Korea during historical period as well as instrumental observation period. We identified and located more than 300 earthquakes that occurred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4 in a $20km{\times}30k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yung and Atsumasa, 1995; Choi, 2003; Lee, 2003).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경주 미소지진 다발지역 및 그 주변에 운영하고 있는 지진관측소의 연속 지진기록 자료로부터 규모 2.0 이하의 미소지진 자료를 추가 확보하여 기존에 발표된 지진자료와 함께 분석하였고, 진원 정보는 연구지역 단층 분포와 어떻게 연관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규모 3.5 이상 지진의 발생위치는 어떤 경향을 보이는가? 특히, 규모 3.5 이상 지진의 발생위치는 미소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과 일치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다(Fig. 1, a).
1978년부터 최근까지의 진앙 분포를 살펴보면 한반도 내륙에서 발생하는 지진 어떠한가? 따라서 정확한 지진발생위치 파악은 지진재해 대응 정책수립과 지진 관련 연구를 위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선결되어야 할과제이다.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1978년부터 최근까지의 진앙 분포를 살펴보면 한반도 내륙에서 발생하는 지진은 광범위하고 산만하게 분포하지만, 공간적으로 집중되어 지진군 (Earthquake cluster)을 형성하면서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공간적 지진군 형성은 대부분의 지진이 기존의 단층에서 발생한다는 이해와 다르지 않다.
정확한 지진발생위치 파악은 지진재해 대응 정책수립과 지진 관련 연구를 위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선결되어야 할 과제라고 본 이유는? 지진의 발생은 지하에 지진을 일으키는 구조, 즉 활성단층 (지진 유발 단층)의 존재를 지시하며, 한반도 지진발생현황 규명으로부터 우리나라 지진위험성, 지진 방재대책 수립, 지하속 도구조, 진원메커니즘 등의 각종 지진관련 연구가 시작된다. 따라서 정확한 지진발생위치 파악은 지진재해 대응 정책수립과 지진 관련 연구를 위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선결되어야 할과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ag, C.-E., and Kang, D. J., 1994, Geophysical Studies on Major Faults in the Gyeongsang Basin: Aeromagnetic and Radiometric Data Interpretation on the Ulsan Fault,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0, 193-205. 

  2. Chang, T. W., 2001, Quaternary Tectonic Activity at the Eastern Block of the Ulsan Fault, Journal of the Ggeological Society of Korea, 37, 431-444. 

  3. Chiu, J.-M., and Kim, S. G., 2004, Estimation of Regional Seismic Hazard in the Korean Peninsula Using Historical Earthquake Data between A.D. 2 and 1995,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4, 269-284. 

  4. Choi, W.-H., 2003, Neotectonics of the Gyeongju-Ulsan Area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Ph.D.,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5. Gibbons, S. J., and Ringdal, F., 2006, The detection of low magnitude seismic events using array-based waveform correlation,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165, 149-166. 

  6. Jo, W.-R., Okada, A., Jun, M.-S., Kim, S. K., Watanave, M., Sato, H., Jeon, J. S., and Chi, H. C., 1994, Active fault topography and trench survey in the central part of the Yangsan fault, southeast Korea, Journal of the Korea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 67-83. 

  7. Jun, M.-S., 1991, Body-wave analysis for shallow intraplate earthquake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Yellow Sea, Tectonophysics, 192, 345-357. 

  8. Kim, I.-S., Son, M., Jung, H.-J., Lee, J.-D., Kim, J.-J., and Paik, I. S., 1997,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Kyongju-Ulsan Area: Paleomagnitism and Magnetic Susceptibility of the Granitic Rocks in the Ulsan Fault A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1, 31-43. 

  9. Kim, J. H., Kang, P. C., and Lim, D. H., 1976,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Geologic Structures and Ore Deposits in Ryeongnam Province using Landsat-1 Image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2, 79-89. 

  10. Kim, K.-H., Chiu, J.-M., Pujol, J., and Chen, K.-C., 2005, Earthquake Relocations, Fault Zone Geometry and Constraints on Lateral Velocity Variations using the Joint Hypocenter Determination Method in the Taiwan Area, Earth, Planets and Space, 57, 809-823. 

  11. Kim, K.-H., and Park, Y., 2010, The January 2007 $M_L$ 4.8 Odaesan Earthquake and Its Implications for Regional Tectonics in Korea,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100, 1395-1495. 

  12. Kim, K.-H., Ryoo, Y.-G., Yu, C., Kang, S. Y., and Kim, H.-J., 2011, Relocation of Youngduk Offshore Micro-earthquakes, Jigu-Muli-wa-Mulli-Tamsa, 14, 267-273. 

  13. Kim, S. K., Jun, M.-S., and Jeon, J.-S., 2006, Recent Research for the Seismic Activities and Crustal Velocity Structure,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9, 369-384. 

  14. Kim, W.-Y., Choi, H., and Noh, M., 2010, The 20 January 2007 Odaesan, Korea, earthquake sequence; reactivation of a buried strike-slip fault?,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100, 1120-1137. 

  15. Kim, W., 1999, P-wave velocity structure of upper crust in the vicinity of the Yangsan Fault region, Geosciences Journal, 3, 17-22. 

  16. Kyung, J. B., and Atsumasa, O., 1995, Liquefaction Phenomena due to the Occurrences of Great Earthquakes: Some Cases in Central Japan and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1, 237-250. 

  17. Kyung, J. B., Jung, M. K., Baek, J. J., Im, Y. J., and Lee, K., 2010, Historic Earthquake Catalog in the Korea Peninsula, 475, Seoul,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8. Lahr, J. C., 1999, HYPOELLIPSE: A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Local Earthquake Hypocentral Parameters, Magnitude, and First-Motion Pattern (Y2K Compliant Version), Denver, U.S. Geological Survey. 

  19. Lee, K., and Um, C. R., 1992, Geoelectric Survey of the Ulsan Fault: Geophysical Studies on Major Faults in the Kyeongsang Basin,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8, 32-39. 

  20. Lee, K., and Yang, W.-S., 2006, Historical Seismicity of Korea,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6, 846-855, doi:810.1785/0120050050. 

  21. Lee, Y.-H., 2003, Quaternary faults in the eastern area of the Ulsan Fault, Mas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22. NECIS, 2015, National Earthquake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Historic Earthquakes. 

  23. Pujol, J., 1995, Application of the JHD technique to the Loma Prieta, California, Mainshock-Aftershock Sequence and Implications for Earthquake Location,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85, 129-150. 

  24. Rhie, J., and Kim, S., 2010, Regional moment tensor determination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Geosciences Journal, 14, 329-333. 

  25. Son, M., Chong, H.-Y., and Kim, I.-S., 2002, Geology and Geological Structures in the Vicinities of the Southern Part of the Yonil Tectonic Line, S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8, 175-197. 

  26. Son, M., Kim, J.-S., Chong, H.-Y., Lee, Y.-H., and Kim, I.-S., 2007, Characteristics of the Cenozoic crustal deformation in SE Korea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Korean Journal of Petroleum Geology, 13, 1-16. 

  27. Son, M., Song, C. W., Kim, M.-C., Cheon, Y., Cho, H., and Shon, Y. K., 2015, Miocene tectonic evolution of the basins and fault systems, SE Korea: dextral, simple shear during the East Sea (Sea of Japan) opening,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172, 664-6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