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주변 해역 해수면 및 수온, 염분의 선형 추세 분석을 위한 종합 회귀 도표 개발
Development of Synthetic Regression Diagram for Analyzing Linear Trend of Sea Surface Height, Temperature, and Salinity around the Korean Marginal Seas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1 no.2, 2016년, pp.67 - 77  

임병준 (공주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장유순 (공주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수면 및 수온, 염분의 선형 추세 분석을 위한 종합 회귀 도표를 개발하였다. 현장 관측 자료는 품질 관리 과정을 거쳤으며 객관 분석 자료와의 경험적 직교 함수 비교를 통해 검증하여 사용하였다. 종합 회귀 도표를 통해 기존의 연구 결과들과 유사한 선형 회귀 값을 확인하였고, 1983년부터 2013년 기간동안에서의 5년에서 30년 단위의 변동률을 추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정량적 결과가 향후 해양 장기 추세 관련 연구의 기준 값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ed synthetic regression diagram for analyzing the linear trend of sea surface height, temperature, and salinity around the Korean marginal seas. In situ observed data had been quality controlled and they were verified by EOF comparison with objective analyzed data. From the synth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Table 1과 Table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그 연구 기간과 자료 처리 방법이 모두 달라 장기 변동에 대한 객관적인 상호 분석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품질 관리를 통해 검증된 해수면 및 수온, 염분에 대한 현장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기준 기간에 대한 선형 추세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도표를 작성하여, 다양한 기간의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수면, 수온, 염분의 선형 추세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 노트에서는 한반도 주변 해역의 현장 관측 자료를 수집, 품질 관리를 실시하여 검증을 실시하고, 새로운 도표를 제시하여 경년 추세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구성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든 자료의 품질 관리 및 통계적 유의성 검증 후에 선형 추세 수치를 제공하였으나, 본론에서 언급한 다양한 오차 요인과 관련하여 현장 관측 자료의 추세 계산 값의 유의성에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 1%의 자료가 분석에서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원시 자료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1차로 제공된 자료 값을 인위적으로 보정하여 사용하지 않고 의심 자료를 모든 분석에서 제외시키는 방법으로 품질 관리를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Argo 플로트처럼 장기간 센서 보정이 어려운 무인 해양 관측 자료를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지연모드(delayed mode) 품질 관리 절차를 적용하지 않았다(Wong et al.
  • 본 연구에서는 최소 5년부터 5년 단위로 최대 30년까지 해수면, 수온, 염분의 선형 추세를 모두 확인하고, 그 결과를 새로운 도표를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KHOA 자료의 경우 18개 검조소의 모든 결과를 도표를 이용하여 각각 나타내었으며, NIFS/KODC 자료의 경우, 0 m와 50 m의 동해, 서해, 남해의 평균 값을 도표를 통해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해역은 어떤 곳인가?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해역은 중규모 소용돌이, 연안 용승, 다양한 수괴 분포 등 매우 다양한 해양 현상들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곳이다. 또한 PDO(Pacific Decadal Oscillation), ENSO (El Nino-Southern Oscillation), AO(Arctic Oscillation) 등 대양 스케일의 기후 변동에 원격상관의 형태로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et al.
비교 검증 자료와의 EOF 결과로 나온 공간 분포도를 비교하고, 각 시계열 자료간의 상관관계를 구함으로써 기후 변동 연구에 현장 관측 자료의 가용 신뢰도를 검증한 이유는? 자료 품질 관리를 거친 현장 관측 자료의 검증을 위하여 객관 분석 자료와의 비교를 실시하였는데, 효율적인 시공간적인 비교를 위하여 경험적 직교 함수(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이하 EOF) 분석을 통한 비교를 실시하였다. EOF 분석은 시공간 변동성을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각 고유벡터의 물리적 의미를 규명하지는 못하는 한계가 있지만 몇 개의 함수만으로 관측치를 재현하여 주요 모드를 추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Na et al., 1997).
동해가 기후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연구 해역인 이유는? 동해의 순환이나 수괴 분포는 대양적 성질을 띠며 열염순환 등이 존재하지만 그 시/공간 스케일이 대양에 비해 작기 때문에 기후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연구 해역이다(Chang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elkin, I.M., 2009. Rapid warming of large marine ecosystems. Prog. Oceanogr., 81(1): 207-213. 

  2. Bohme, L. and U. Send, 2005. Objective analyses of hydrographic data for referenc-ing profiling float salinities in highly variable environments. Deep Sea Res., Part II, 52: 651-664, doi:10.1016/j.dsr2.2004.12.014. 

  3. Boyer, T.P. and S. Levitus, 1994. Quality control and processing of historical temperature, salinity and oxygen data. NOAA Tech. Rep., 111 pp. 

  4. Chang, K.I., C.I. Zhang, C. Park, D.J. Kang, S.J. Ju, S.H. Lee, M. Wimbush, 2016. Oceanography of the East Sea (Japan Sea). Springer, 460 pp. 

  5. Chang, Y.-S., 2014. Basin pattern of the upper ocean warming for 1993-2009. Ocean Dyn., 64: 823-832. 

  6. Chang, Y.-S., A. J. Rosati, S. Zhang, and M. J. Harrison, 2009. Objective analysis of monthly temperature and salinity for the world ocean in the 21st century: Comparison with World Ocean Atlas and application to assimilation validation. J. Geophys. Res., 114, C02014, doi:10.1029/2008JC004970. 

  7. Hahn, S.D., 1997. Role of SST warming for living resources in Korean coastal waters, KODC Newsletter, 30: 19-28. 

  8. Hwang, J.D., Y.S. Suh, and J.S. Ahn, 2012. Properti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variations derived from NOAA satellite in Northeastern Asian Waters from 1990 to 2008. Korean J. Nat. Conserv., 6(2): 130-136. 

  9. Ingleby, B. and M. Huddleston, 2007. Quality control of ocean temperature and salinity profiles - Historical and real-time data. J. Mar. Syst., 65: 158-175. 

  10. Intergovernmental Oceanographic Commission (IOC), 1985. Manual on sea level measurement and interpretation, Vol. 1. Basic Procedures. IOC Manuals and Guides No. 14, IOC, Paris, 83 pp. 

  11. IPCC, 2013. Summary for Policymakers. In: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tocker, T.F., D. Qin, G.-K. Plattner, M. Tignor, S. K. Allen, J. Boschung, A. Nauels, Y. Xia, V. Bex and P.M. Midgley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12. Jeon, D.C., 2008. Relative Sea-level Change Around the Korean Peninsula, Ocean Polar Res., 30(4): 373-378. 

  13. Jung, H.D., J.D. Hwang, K.K. Jung, S. Heo, K.T. Sung, W.J. Go, J.Y. Yang, S.W. Kim, 2003. Long Term Trend of Change In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Coastal Waters around Korean Peninsula. J. Korean Soc. Mar. Environ. Saf., 9(2): 59-64. 

  14. Jung, T.S., 2014. Change of Mean Sea Level due to Coastal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J. Korean Soc. Coast Ocean Eng., 26(3): 120-130. 

  15. Kang, Y.Q., 2000. Warming trend of coastal waters of Korea during recent 60 years (1936-1995). J. Fish Sci. Tech., 3(3-4): 173-179. 

  16. Kang, J.W., S.R. Moon, and N.S. Oh, 2005. Sea Level Rise at the Southwestern Coast. J. Korean Soc. Civil Eng., 25(2B): 151-157. 

  17.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KHOA), 2012. Precision Analysis and Forecasting of Sea level variability (4th), 5 pp. 

  18. Lee, J.H., T. Matsuna, M. Wimbush, D. Yuan, and K.I. Chang, 2012. The PAMS (Pacific-Asian Marginal Seas) Study, Prog. Oceanogr., 105: 1-3. 

  19. Lee, J.H. and C.H. Kim, 2013. Long-term Variability of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East China Sea: A Review. Ocean Polar Res., 35(2): 171-179. 

  20. Min, H.S. and C.H. Kim, 2006. Interannual Variability and Longterm Trend of Coastal Sea Surface Temperature in Korea. Ocean Polar Res., 28(4): 415-423. 

  21. Na, J.Y., S.K. Han, J.W. Seo, Y.G. Noh, and I.S. Kang, 1997.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Analysis of Surface Pressure, Sea Surface Temperature and Winds over the East Sea on the Korea (Japan Sea). Korean J. Fish. Aquat. Sci., 30(2): 188-202. 

  22. Oh, S.Y., S.W. Jang, D.H. Kim, and H.J. Yoon, 2012.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SL/SST in the Korean Peninsula by Remote Sensing. J. Fish. Mar. Sci. Educ., 24(2): 333-345. 

  23. Suh, Y.S., L.H. Jang, and J.D. Hwang, 2003. Anomalous Variation of the Oceanic Features around Korean Waters Related to the Global Change. J. Korean Environ. Sci. Soc., 12(3): 257-263. 

  24. Suh, Y.S., J.D. Hwang, I.C. Pang, I.S. Han, J.D. Jo, and N.K. Lee, 2011. Long-term Variations of Sea Surface Temperature in Inshore and Offshore Waters of Jeju Island. Korean J. Nat. Conserv., 5(2): 135-140. 

  25. Seong, K.T., J.D. Hwang, I.S. Han, W.J. Go, Y.S. Suh, and J.Y. Lee, 2010. Characteristic for Long-term Trends of Temperature in the Korean Waters, J. Korean Soc. Mar. Environ. Saf., 16(4): 353-360. 

  26. Storto, A., S. Masina, M. Balmaseda, S. Guinehut, Y. Xue, T. Szekely, I. Fukumori, G. Forget, Y.S. Chang, S.A. Good, A. Kohl, G. Vernieres, N. Ferry, K.A. Peterson, D. Behringer, M. Ishii, S. Masuda, Y. Fujii, T. Toyoda, Y. Yin, M. Valdivieso, B. Barnier, T. Boyer, T. Lee, J. Gourrion, O. Wang, P. Heimback, A. Rosati, R. Kovach, F. Hernandez, M.J. Martin, M. Kamachi, T. Kuragano, K. Mogensen, O. Alves, K. Haines, and X. Wang, 2015. Steric sea level variability (1993-2010) in an ensemble of ocean reanalyses and objective analyses. Clim. Dyn., pp. 1-21. 

  27. Wong, A. P. S., G. C. Johnson, and W. B. Owens, 2003. Delayed-mode calibration of automous CTD profiling float salinity data by Q-S climatology. J. Atmos. Oceanic Technol., 20: 308-318. 

  28. Wong, A., R. Keeley, and T. Carvel, 2006. Argo data management quality control manual. version 2.2, Rep. ar-um-04-01., 33 pp., Argo Data Manage., Brest, France. 

  29. Yan, H., M. Zhang, and Y. Zhu, 2004. Determination of the Degree of Freedom of Digital Filtered Time Series With an Application to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Length of Day and the Southern Oscillation Index. Res. Astron. Astrophys., 28(1): 120-126. 

  30. Yoon, J.J. and S.I. Kim, 2012. Analysis of Long Period Sea Level Variation on Tidal Station around the Korea Peninsula. Journal of KOSHAM., 12(3): 299-305. 

  31. Storto, A., S. Masina, M. Balmaseda, S. Guinehut, Y. Xue, T. Szekely, I. Fukumori, G. Forget, Y.S. Chang, S.A. Good, A. Kohl, G. Vernieres, N. Ferry, K.A. Peterson, D. Behringer, M. Ishii, S. Masuda, Y. Fujii, T. Toyoda, Y. Yin, M. Valdivieso, B. Barnier, T. Boyer, T. Lee, J. Gourrion, O. Wang, P. Heimback, A. Rosati, R. Kovach, F. Hernandez, M.J. Martin, M. Kamachi, T. Kuragano, K. Mogensen, O. Alves, K. Haines, and X. Wang, 2015. Steric sea level variability (1990-2010) in an ensemble of ocean reanalyses and objective analyses. Clim. Dyn., pp. 1-21. 

  32. Wong, A. P. S., G. C. Johnson, and W. B. Owens, 2003. Delayed-mode calibration of automous CTD profiling float salinity data by Q-S climatology. J. Atmos. Oceanic Technol., 20: 308-318. 

  33. Wong, A., R. Keeley, and T. Carvel, 2006. Argo data management quality control manual. version 2.2, Rep. ar-um-04-01., 33 pp., Argo Data Manage., Brest, France. 

  34. Yan, H., M. Zhang, and Y. Zhu, 2004. Determination of the Degree of Freedom of Digital Filtered Time Series With an Application to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Length of Day and the Southern Oscillation Index. Res. Astron. Astrophys., 28(1): 120-126. 

  35. Yoon, J.J. and S.I. Kim, 2012. Analysis of Long Period Sea Level Variation on Tidal Station around the Korea Peninsula. Journal of KOSHAM., 12(3): 299-305. 

  36. Yoon, H.J, B.J. Hwang, S.H. Kim, and S.A. Ryu, 1999. Studies on Sea level and Sea surface Temperature changes and Correlation Using Satellite Data,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1999yr Spring Invited Conference, pp. 88-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