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상체질처방과 훈증요법을 병행한 여드름 치험 6례
Six Cases of Acne Vulgaris Treated by Sasang Constitutional Treatment with Herbal Steam Therapy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29 no.2, 2016년, pp.130 - 141  

김기배 (하늘마음한의원) ,  김태욱 (하늘마음한의원) ,  최성희 (하늘마음한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rbal steam therapy on acne vulgaris. Methods : 6 patients with acne vulgaris were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therapy (herbal medicine and acupunture) including herbal steam therapy. We evaluated the effect by Korean Acne Gra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여드름 치료에 대한 한의학적 연구 또한 많이 진행되어왔는데, 박16)이 면포에 관한 문헌적 고찰을 통해 여드름에 대한 한의학적 해석을 하였으며, 앞서 언급한 노 등5)이 苦蔘 추출물이 모발성장 촉진 및 면포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실험적 연구 결과를, 백 등6)은 苦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수가 여드름에 미치는 효과를 통해 한방 외용 치료제에 대한 언급을 하였으며, 서 등9)은 산성수 도포가 면포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외용 치료의 효과에 대해 제시하였고, 홍 등7)은 淸上防風湯加味가 면포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김 등8)은 面疱散의 면포질환 치험 8례를 통해, 오 등10)은 黃連解毒湯加味方 발효한약으로 치료한 임상례를 통해 여러 임상 연구를 발표하였다. 그러나 상기 연구들의 결과를 통해 약물 치료의 효과나 피부에 직접 바르는 외용치료에 대한 효과는 입증되었지만, 최근 여러 치료법에서 다용되고 있는 훈증요법을 활용한 임상사례에 대한 보고는 존재하지 않아, 본 저자들이 여드름 치료에 훈증요법을 병행하였을 경우 우수한 효과를 얻어낸 사례들이 있어 본 보고서를 통해 보고하고자 하였다.
  • 이상의 제시된 연구 결과에서 보듯이, 여드름에 대한 내부 및 외부 치료에 대해 여러 연구가 진행된 것은 알 수 있으나, 훈증요법을 병행한 임상보고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본 저자들은 荊芥, 防風, 羌活, 獨活, 連翹, 金銀花, 牛蒡子 등 7가지 약재를 활용한 훈증요법을 여드름 환자들에게 병행하였을 경우 여드름 치료에 있어 좋은 효과를 관찰하였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Dermatology. Seoul:Yumoonkak. 2001:491. 

  2. Ahn BK, Lee SJ, Namkoong K, Chung YL, Lee SH. Quality of Life of Acne Patients. Korean J Dermatol. 2005;43(1):6-14. 

  3. Freedberg IM, Eisen AZ, Wolff K, Austen KF, Goldsmith LA, Katz SI, et al. Textbook of Dermatology. 6th ed. New York: McGraw-Hill. 2003:672-3. 

  4. Cunliffe WJ, Van de K, Caputo R, Cavicchini S, Cooper A, Fyrand OL, et al. Roaccutane treatment guidelines : results of international survey. Dermatology. 1997;194:351-7. 

  5. Roh HC, Roh SS. Studies on the effect of Sophora flavescens extract on the hair growth stimulation and acne inhibition.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2;15(1):96-126. 

  6. Baek SC, Jo EH, Mendgerel, Park MC. Effect of Sophorae Radix-Skin Lotion on Acn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1;24(1):111-20. 

  7. Hong SH, Roh SS. The Study On The Effect Of Chungsang bangpungtang and Lonicerae Flos, Coicis Semen(CBTLC) On Acne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2;15(1):315-35. 

  8. Kim JS, Kim GJ. The Clinical Observation of 8 Cases of Acnes Disease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1;14(1):66-75. 

  9. Seo HS, Hong SH. The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Spread Acidic Ionized Water on Acnes Diseas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3;16(1):154-8. 

  10. Oh CS, Kim MS, Kim I, Kim HY, Park SI, Choi SI, et al. Acne Treatment Cases with Hwangryeonhaedok-tang.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9;22(3):228-36. 

  11. Sung KJ, Rho YS, Choi EH, Oh JJ, Lee JH, Kim SW, et al. Korean Acne Grading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2004;42(10):1241-7. 

  12. Kim HK. Statistical Study of Acne Vulgaris in Korean Adolescence. The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1978;16(6):471-6. 

  13. Medical Education Training Center. Family Medicine. Seoul: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1995:715-6. 

  14. Kim SE, Lee SH. The Effect of Semen cuscutae Extracts on the Acne Skin. Korean Journal of Aesthetic Society. 2012;10(3):493-501. 

  15. Ahn SK, Seung YO, Song JW. Acne Bible. Seoul:JINSOL. 2006:301-11. 

  16. Park HG.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acn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1990:3(1):59-72. 

  17.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3rd ed. Pa-ju:Jipmoondang. 2008:186-90, 404. 

  18. Moon WS, Lee BW, Ahn SW, Kim EH. A Historical Consideration on the External Treatment Theories and Disease for which Medicine is Efficacious.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2004;10(2):1-21. 

  19. Park SY, Kim JS, Jeong MY, Kim JH, Choi JH. The Clinical Study for Peripheral Facial Paralysis Treated with Herbal Stream Therapy.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4;27(4):131-40. 

  20. Kim JS, Park SY, Choi CW, Kim KS, Kim KO, Wei TS, et al. The Clinical Study for Peripheral Facial Paralysis Treated with Herbal Stream Therapy. The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 2015;23(1):151-9. 

  21. Kim CH. The Bibliographical Studys On The Acne. The KyungHee University Oriental Medical Journal. 1984:1-8. 

  22. Korean Medicine University Teaching Material Editing Committee. Herbalogy. Seoul: YoungLimSa. 2004:160-3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