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안정한 하악위를 가진 무치악 환자에서 치료의치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치료 증례
Using treatment denture and digital technology in patient with unstable mandibular movement: a case report 원문보기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v.39 no.3, 2023년, pp.168 - 175  

오은지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  장우형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  박찬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  윤귀덕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  임현필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  박상원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철학교실)

초록

부적합한 보철물을 장기간 사용하면 습관성 폐구위나 불규칙한 하악 운동을 보이는 경우가 빈발하다. 이러한 환자는 고정된 중심 위로 유도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치료의치를 이용하여 근육과 TMJ를 안정 시키고 치료위로써 악간 관계 채득을 해야한다.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의치 제작은 전통적인 방식과 비교하여 치아 배열이 까다로운 증례에서 안정화된 치아 배열을 재현하여 수작업에 의한 오차를 최소로 하고, 의치 제작 시간을 감소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증례에서는 치료의치로 안정된 치료위, 수직고경 및 구순 지지도를 디지털 방식으로 이행하여 최종 의치를 제작하였으며,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ng-term use of inappropriate prosthesis often results in habitual closure or irregular mandibular movements. In that case, guide to the stable centric position is difficult. Therefore, by using a treatment denture, the muscles and TMJ should be stabilized and the jaw relation should be acquired wi...

주제어

참고문헌 (11)

  1. Watanabe Y. Observation of horizontal mandibular?positions in an edentulous patient using a digital?gothic arch tracer: a clinical report. J Prosthet Dent?2004;91:15-9. 

  2. Bidra AS, Taylor TD, Agar JR. Computer-aided?technology for fabricating complete dentures:?systematic review of historical background, current?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J Prosthet Dent?2013;109:361-6. 

  3. Miyazaki T, Hotta Y, Kunii J, Kuriyama S, Tamaki Y.?A review of dental CAD/CAM: current status and?future perspectives from 20 years of experience.?Dent Mater J 2009;28:44-56. 

  4. Slade GD. Derivation and validation of a short-form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Oral Epidemiol 1997;25:284-90. 

  5. Yoshidome K, Torii M, Kawamura N, Shimpo?H, Ohkubo C. Trueness and fitting accuracy?of maxillary 3D printed complete dentures. J?Prosthodont Res 2021;65:559-64. 

  6. Mercado MD, Faulkner KD. The prevalence?of craniomandibular disorders in completely?edentulous denture-wearing subjects. J Oral Rehabil?1991;18:231-42. 

  7. Gilboe DB. Centric relation as the treatment?position. J Prosthet Dent 1983;50:685-9. 

  8. Inada M, Yamazaki T, Shinozuka O, Sekiguchi?G, Tamamori Y, Ohyama T. Complete denture?treatments for a cerebral palsy patient by using a?treatment denture. A case report. J Med Dent Sci?2002;49:171-7. 

  9. Schweiger J, Guth JF, Edelhoff D, Stumbaum?J. Virtual evaluation for CAD-CAM-fabricated?complete dentures. J Prosthet Dent 2017;117:28-33. 

  10. Jones PM. The monoplane occlusion for complete?dentures. J Am Dent Assoc 1972;85:94-100. 

  11. Yoshidome K, Torii M, Kawamura N, Shimpo?H, Ohkubo C. Trueness and fitting accuracy?of maxillary 3D printed complete dentures. J?Prosthodont Res 2021;65:559-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