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맥진단 기술의 고도화를 위한 KIOM 연구 개발 현황 원문보기

電子工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v.43 no.12 = no.391, 2016년, pp.24 - 34  

김영민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반연구부) ,  김재욱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반연구부)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요골동맥에서 측정한 압력맥파를 패턴분류 할 수 있는 맥진지수 개발 연구에 대해 소개한다. 전통맥진에서는 가압력에 대한 맥파형의 정보가 중요한 맥진 판단기준으로 적용되어 왔다.
  • 맥진 시뮬레이터 개발의 동향과 연계하여 본 특별호의 양과 신[5]의 논문에서 소개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다루지 않기로 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정밀 왼팔-동맥 순환계 수치해석 연구 방향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
  • 먼저, 맥상에 대한 전문가들의 총의를 도출하는 연구를 소개한다. 임상에서 활용되어 온 맥상은 문헌상으로 “부(浮)/규(芤)/홍(洪)/활(滑)/삭(數)/촉(促)/현(弦)/긴(緊)/침 (沈)/복(伏)/혁(革)/뇌(牢)/실(實)/미(微)/색(濇)/세(細)/유(濡)/약(弱)/허(虛)/산(散)/완(緩)/지(遲)/결(結)/대(代)/동(動)/대(大)/장(長)/단(短)”으로 명명된 28 맥상을 기준으로 한다.
  • 본 연구는 기존 압저항형 어레이 센서 기반 맥측정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방법론 및 시스템 구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시스템은 총안용(촌/관/척 동시 측정) 맥진기 개발로 심화시킬 예정이다.
  • 대표적으로 맥의 혈류역학적 기전 연구, 맥측정기술의 고도화, 맥상 과학화, 한양방을 아우르는 질환 관련 지표 발굴 등 다각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기술을 발전시켜왔다. 본지에서는 관련 연구들을 간단히 소개하고, 맥진단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미래 예방 의학의 진단 도구로서의 가치를 타진해보고자 한다.
  • 왼팔-동맥 순환계 수치해석 연구는 실제 맥진을 하는 부위인 요골동맥에 대한 정밀 3차원 수치해석 모델을 만들어서, (1) 상완동맥 부위의 혈류와 압력맥파의 경계조건의 변동이 요골동맥에서의 혈류와 압력맥파의 성질을 어떠한 식으로 변동시키는지와, 장기적으로는 (2) 3차원 수치해석 모델을 심장 부위와 이를 넘는 오장육부 부위까지 확장해 나아가 장부에서의 생리적 또는 병리적 변화가 야기시키는 혈류역학적 변동 특히 요골동맥과 경동맥에서의 변동 메커니즘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둘째, 맥파의 특성을 구분 지을 수 있는 기초 물리량을 발굴하고 맥파를 요소 물리량의 조합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표현된 압력맥파의 각 요소 물리량별 조합 양상과 전문가의 총의에 의해 도출된 맥상을 이루는 물리량과의 비교를 통해, 임상에서 활용될 수 있는 맥상을 개발해 가고 있다.
  •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28 맥상에 대한 전문가들 사이의 일치된 의견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팀에서는 임상에서 자주 활용되는 주요 맥상을 선별하고 맥파의 기본 속성으로 표현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대한한의진단학회를 중심으로 맥상 정량화를 위한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하였다.
  • 지금까지 맥진 기술의 고도화를 위한 주요 원천 기술들을 소개하고, 이를 위한 KIOM의 연구 성과 및 비전을 살펴보았다. 앞으로의 맥진기 연구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성능 향상 뿐 아니라 측정 편의성 및 의료 기기로서의 안정성 등 시장 진입을 위한 다양한 기술적 난제를 함께 해결해야한다.
  • 압력맥파의 정량화를 위해 KIOM 맥진기 개발팀에서는 2가지 상보적인 접근법을 사용하고 있다. 첫째, 전통적인 압력맥파의 분류 기법인 맥상(脈象)에 대해 전문가들의 총의를 도출하는 연구이다. 둘째, 맥파의 특성을 구분 지을 수 있는 기초 물리량을 발굴하고 맥파를 요소 물리량의 조합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가설 설정

  • 수치해석은 층류유동을 지배하는 연속방정식과 Navier-Stokes 방정식을 사용하였다. 혈액의 특성 모델링을 위해 (1) 뉴턴유체 모델과 (2) 비뉴턴유체 모델(Casson Model)을 사용하였고, 혈관의 특성 모델링을 위해 (3) Rigid Body 모델과 (4) 탄성모델(Fluid-Structure Interaction Model)을 사용하였으며, 혈류와 압력맥파의 경계조건으로 입구(상완)에서는 인체의 알려진 평균 값들을 사용하였고, 출구에서는 (5) 손가락 끝의 작은 혈관의 평균 압력 값인 30mmHg를 사용하거나 (6) 손가락 끝의 모세혈관들을 다관유동에서의 저항으로 가정하고 순환함수적 방법으로 접근하는 임피던스 경계조건[7]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류역학적인 접근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맥진의 과학화와 원리규명을 위해서는 혈류역학적 접근법이 필요하다. 혈류역학적인 접근법은 임상연구의 막대한 비용과 시간, 임상 윤리적 문제 등에 구애받지 않고 혈류의 변인 요인들을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혈류역학은 혈액 순환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심박출 특성, 혈관 저항, 혈액 점도 등의 변화가 혈류와 혈관을 따라 흐르는 압력맥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4] .
요골동맥을 맥진할 시 측정의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요소는 무엇인가? 요골동맥은 인체에서 동맥의 흐름을 비관혈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혈류의 저항성을 통해 맥을 진단하는 맥진의 특성상 혈관을 직접 가압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외란이 측정의 불확실성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다. Agnoletti [8]등 에 의하면 두 개의 토노메트리 펜 방식 맥측정 장치들 간의 원신호 비교 실험 분석 결과에서 심혈관질환 예측 주요 지표인 Radial rSBP2, Mean arterial pressure, Augmentation index(AI) 등이 유의하게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다.
맥진은 무엇인가? 맥진은 요골 동맥 상의 이웃하는 세 지점인 촌(寸), 관 (關), 척(尺) 세 부위의 압력맥파의 특성을 감지하고 분석 해서 진찰에 활용하는 방법이다. 맥진에서 중요한 제 1차 적인 생체정보는 혈관을 타고 전달되는 심혈관계의 정보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강희정, 허영, "맥 진단기기의 요소기술 및 제품화 동향", 전자공학회지, 37(7), 2010 

  2. 김재욱, 신상훈, "맥진 알고리즘 개발", 전자공학회지, 37(7), 2010 

  3. Hyunho Kim, Jong Yeol Kim, Young-Jae Park, Young-Bae Park, "Research and Development of Radial Artery Pulse Diagnostic Devices in Korea",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2013 

  4. N. Westerhof, N. Stergiopulos and M. I. Noble, Snapshots of hemodynamics: an aid for clinica research and graduate education, Springer, 2010 

  5. 양태헌, 신상훈, "맥진 시뮬레이터 개발 동향", 전자공학회지 특별호, 2016 

  6. 김기원, 김재욱, 백현만, 김성균, 상지동맥 혈관계의 모델링과 혈유동의 전산수치해석,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B권, 2016 

  7. S. M. Watanabe et al., Blood Flow Modeling in a Detailed Arterial Network of the Arm, ESAIM: M2AN 47 (2013) 961-985 

  8. D. Agnoletti, S. Millasseau, J. Topouchian, Y. Zhang, M.E. Safar, J.Blacher, "Pressure wave shape comparison between two non-invasive tonometric devices", Annales de cardiologie et d'angeiologie, 62, 2013 

  9. 정창진, 조정희, 전민호, 전영주, 김영민, "토노메트리 방식 맥파 측정의 가압 각도에 따른 변동성 평가",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25(2), 2016 

  10. 전민호, 전영주, 김영민, "맥센서어레이의 실리콘 코팅 두께에 따른 센서 간 간섭효과",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25(1), 2016 

  11. 비조복, 중의맥진연구, 의성당, 1993. 

  12. 유현희, 이시우, 이전, 이유정, 김종열, 문헌을 통한 맥상의 물리적 요소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1(6), pp1381-1387, 2007. 

  13. 이해범, 김현호, 박영재, 박영배. "맥상파 물리량 속성 총의형성을 위한 델파이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14. 

  14. J. H. Bae et al., New Assessment Model of Pulse Depth Based on Sensor Displacement in Pulse Diagnostic Devices,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rticle ID 938641, 2013. 

  15. 이시우, 이유정, 이혜정, 강희정, 김종열, 압저항 센서와 가압조절 로봇을 이용한 부침맥 검출에 관한 임상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9(6), pp1673-1675, 2005. 

  16. J. U. Kim et al., Novel Diagnostic Algorithm for the Floating and Sunken Pulse Qualities and Its Clinical Test,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rticle ID 813427, 2011. 

  17. J. H. Bae et al., A feasibility study on age-related factors of wrist pulse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EMBC 2016.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