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좌인영(左人迎)·우기구(右氣口)' 맥진법(脈診法)에 관(關)한 고찰(考察)
A Study on Left-Renying and Right-Qikou Pulse Diagnosis(左人迎·右氣口 脈診法)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33 no.1, 2020년, pp.89 - 101  

곽범희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과 대학원) ,  윤종화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Left-Renying and Right-Qikou pulse diagnosis. Methods : We set up locations of the Renying pulse(人迎脈) and the Qikou pulse(氣口脈) on left hand and right hand. On the basis of the medical texts and papers, we researched the relations betwee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左人迎·右氣口’ 脈診法에 대해 이해하기 위하여, ‘左人迎·右氣口’ 脈診法과 病因 사이의 관계, ‘左人迎·右氣口’ 脈診法이 나오게 된 배경, 역대 醫家들의 ‘左人迎·右氣口’ 脈診法의 활용에 대해 연구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熱病이 정강이에서 시작되는 것은 足陽明經에 刺針하여 땀을 내면 그친다”61)고 하여, 熱病이 있을 때 각 經에 刺針하여 發汗을 유도하고 그를 통한 치료에 대해 論하였다.
  • 이에 論者는 ‘左人迎·右氣口’ 脈診法14)과 病因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內經』에서 人迎氣口脈診法을 주로 足陽明經과 手太陰經을 이용하여 진단하던 방식이 어떤 과정을 통해서 『脈經』에서부터는 左手와 右手를 이용한 진단법도 활용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역대 醫家들은 ‘左人迎·右氣口’ 脈診法을 어떻게 활용하였는지에 대해 연구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처음 ‘左人迎·右氣口’ 脈診法이 나온 王叔和 때는 장부와의 관계는 상관없이 단순히 人迎脈, 氣口脈을 ‘左右’로만 상정하였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곽범희, 윤종화. 人迎氣口脈診法과 衝脈의關係에 대한 考察.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9. 32(4). 

  2. ?慶元. 三三醫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8. 

  3. 김무신, 조명래, 박영배. 氣口, 人迎脈의 診斷을 通한 內傷, 外感病機에 對한 文獻的 考察. 대한침구학회지. 2001. 18(4). 

  4. 김태은, 김태희. 人迎氣口脈에 對한 內經과 後代醫家說과의 比較 硏究.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94. 15(1). 

  5. 박사현 외 3인. 人迎氣口脈診法의 五行鍼 운용에 관한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4. 21(4). 

  6. 裵秉哲. 기초한의학. 성남. 성보사. 2005. 

  7. 송일병 외. 四象醫學. 서울. 집문당. 2012. 

  8. 신광순, 장준혁, 윤종화. 靈樞.經脈 의 寸口人迎脈診에 關한 硏究. 대한침구학회지. 2002. 19(1). 

  9. 야마다게이지 著. 윤석희, 박상영 譯. 중국의학의 기원. 경기 광주. 도서출판 수퍼노바. 2016. 

  10. 葉霖. 難經正義.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1. 

  11. 吳昆 著. 郭君雙 主編. 吳昆醫學全書.脈語.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15. 

  12. 吳昆 著. 郭君雙 主編. 吳昆醫學全書.醫方考.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15. 

  13. 吳昆 著. 郭君雙 主編. 吳昆醫學全書.鍼方六集.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15. 

  14. 王叔和 著. 福州市人民病院 校釋. 脈經校釋.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2009. 

  15. 李慶雨. 編注譯解 黃帝內經靈樞 1. 서울. 여강출판사. 2000. 

  16. 李慶雨. 編注譯解 黃帝內經靈樞 2. 서울. 여강출판사. 2001. 

  17. 李慶雨. 編注譯解 黃帝內經素問 上. 서울. 여강출판사. 2010. 

  18. 李慶雨. 編注譯解 黃帝內經素問 中. 서울. 여강출판사. 2010. 

  19. 李慶雨. 編注譯解 黃帝內經素問 下. 서울. 여강출판사. 2010. 

  20. 李東垣. 內外傷辨惑論.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07. 

  21. 李中梓. 診家正眼.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13. 

  22. 張景岳 著. 李志庸 主編. 張景岳醫學全書.景岳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23. 전국한의과대학 생리학교수. 동의생리학. 파주. 집문당. 2008. 

  24. 周學海 著. 白上龍 國譯評註. 評註 讀醫隨筆. 서울. 집문당. 2014. 

  25. 陳無擇 著. 王象禮 主編. 陳無擇醫學全書.三因極一病證方論.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2005. 

  26. 沈金鰲 著. 田思勝 主編. 沈金鰲醫學全書.諸脈主病詩.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27. 한방병리학 교재편찬위원회 編著. 한방병리학. 한의문화사. 2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