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령주의와 연령통합이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 - 연령집단별 비교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Ageism and Age Integration on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 A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Age Groups -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8 no.4, 2016년, pp.5 - 24  

정순둘 (이화여자대학교) ,  정주희 (이화여자대학교) ,  김미리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연령주의와 연령통합이 각 세대별로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세대갈등을 줄이기 위해 어떠한 노력들이 진행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탐색하고자 진행되었다. "한국의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1,000명의 조사대상자들을 인구 비율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한 후 청년층 476명, 중년층 369명, 노년층 155명의 3개의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각 집단의 세대갈등인식의 차이, 연령주의 관련 변수와 연령통합 관련 변수가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ANOVA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각 연령집단별로 세대갈등인식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세대갈등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모든 연령집단에서 연령주의 관련 변수 중 연령차별 심각성 인식이 세대갈등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차별을 심각하게 받아들일수록 세대 간 갈등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세대갈등인식이 연령 그 자체에서 기인하는 인식과 편견들로부터 시작될 수 있음에 주목하고 연령주의와 연령통합이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성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ageism and age integration influence the perception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for each age group, and to seek alternatives to decrease intergenerational conflict. Stud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age: adolescenc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대갈등이 최근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주목 받게된 이유는 무엇인가? 세대갈등은 새로운 문제가 아니라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늘 존재해 왔던 이슈 중 하나이지만(이장익·이명신, 2011), 크게 주목받지 못하다가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의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주목 받게 되었다. 동시대를 살아가는 연령대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이제는 3세대를 넘어 적어도 4세대 이상의 다세대(multigenerations)가 공존하는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함인희, 2000)는 점에서 더욱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공유하는 경험과 역사가 다른 각 세대들이 자신들 나름의 가치와 문화라는 틀을 통해서 세상을 바라보게 됨에 따라 서로를 이해하며 공존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갈등은 보다 복잡하고 미묘한 양상을 띠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인의 갈등의식에 대한 변화는 어떠한가? 공유하는 경험과 역사가 다른 각 세대들이 자신들 나름의 가치와 문화라는 틀을 통해서 세상을 바라보게 됨에 따라 서로를 이해하며 공존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갈등은 보다 복잡하고 미묘한 양상을 띠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한국인의 갈등의식에 대한 변화를 살펴본 연구(윤인진, 2011)에 따르면, 계층갈등과 지역갈등에서의 심각성은 감소한 반면 이념갈등과 세대갈등이 사회갈등의 중요한 축으로 부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대갈등과 대립이 정치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는 추세에 따라(박명호, 2009; 황아란, 2009, 이상록·김형관, 2013, 재인용), 세대갈등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점차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 사회를 맞이하는 이 시대에 특히 관심을 가져야 할 갈등문제는? 한편, 고령 사회를 맞이하는 이 시대에 특히 관심을 가져야 할 갈등문제로 세대갈등을 들 수 있다. 세대갈등은 새로운 문제가 아니라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늘 존재해 왔던 이슈 중 하나이지만(이장익·이명신, 2011), 크게 주목받지 못하다가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의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주목 받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강량, 2014, "한국사회 세대갈등 현상의 원인과 해소방안에 관한 소고", 대한정치학회보, 21(3): 261-289. 

  2. 김상호, 2007, "공적연금제도와 세대 간 갈등", 분쟁해결연구, 5: 37-53. 

  3. 김욱, 2002, "억압의 한 형태로서의 노인차별주의 (Ageism): 사회복지적 대응과 함의", 사회복지정책, 14(단일호): 97-118. 

  4. 김윤정?강인?이창식, 2004, "청년 중년 노년세대별 노인에 대한 태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65-75. 

  5. 김주현, 2009, "연령주의 (Ageism) 관점을 통한 노년의 이해", 사회와역사, 82: 361-391. 

  6. 김주현, 2012, "연령주의 (Ageism) 척도의 개발 및 타당성 연구", 한국인구학, 35(1): 53-75. 

  7. 김지영, 2005, "세대간 갈등과 노인학대", 연구총서, 2005(18-2): 1-187. 

  8. 남순현, 2004, "가족 내 세대갈등과 통합",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0(2): 1-15. 

  9. 류한근, 2010, "세대갈등 극복을 위한 효 반응체계", 효학연구, 12:55-82. 

  10. 박길성, 2011,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연금과 일자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2(1): 3-25. 

  11. 박병석, 1995, "체계론적 관점에서 본 부부, 부모자녀, 고부체계간의 가족갈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7:177-188. 

  12. 박영신?김의철?박영균, 2010, "세대 차이와 갈등은 삶의 질을 낮추는가? 자기효능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3): 533-559. 

  13. 박재흥, 1995, "신세대의 일상적 의식과 하위문화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학, 29, 651-683. 

  14. 박재흥, 2003, "세대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37(3): 1-23. 

  15. 박재흥, 2010,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한국인구학, 33(3): 75-99. 

  16. 방희정?이현지, 2012, "노인에 대한 명시적 미 암묵적 태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8(2): 191-213. 

  17. 안옥희?임희경?김현진, 2002,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의 이미지에 관한 조사", 한국생활과학회지, 11(4): 347-355. 

  18. 원영희, 2004, "노인편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4(1): 187-206. 

  19. 원영희?이금룡?김욱?최혜지?한은주, 2006, 노인에 대한 사회차별 실태조사 : 개인적 및 제도적 차별경험을 중심으로,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20. 유병래, 2015, "세대갈등과 문화생활-시민성 구현과 관련하여", 철학사상문화, 19: 124-178. 

  21. 유희정, 2000, "노인들의 부양에 관한 규범의식이 자녀와의 결속, 갈등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연구, 9: 107-130. 

  22. 윤인진, 2011, "한국인의 갈등의식의 특성과 변화", 분쟁해결연구, 9: 135-166. 

  23. 이상록?김형관, 2013, "한국사회에서의 세대와 복지태도", 사회과학연구, 29(3): 433-458. 

  24. 이상림, 2009, "한국의 노년과 연령주의",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759-777. 

  25. 이선자, 1989, "연령 단계별로 본 노인에 대한 태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이수연?최인희?김인순, 2010, 남녀 노인의 세대갈등 현황과 통합방안 연구,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7. 이장익?이명신, 2011, "초등학교 교원의 세대 간 상호인식도와 세대갈등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8(2): 257-281. 

  28. 이환범?김태희, 2014, "우리나라 사회통합을 위한 갈등조정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연구, 16(2): 141-160. 

  29. 정경희, 2004, "인구고령화와 연령통합 사회", 사회연구, 5(1): 11-26. 

  30. 정순둘?이혜원?최혜지?이은진?이고은, 2013, "연구논문: 사회적 자본 및 인적 자본과 인지신념의 관계: 노인집단과 다른 연령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사연구, 14(2): 113-142. 

  31. 정순둘?기지혜?이은진?최혜지, 2015a, "연령통합척도 개발 및 타당성 연구", 보건사회연구, 35(2): 380-404. 

  32. 정순둘?기지혜?최혜지, 2015b, "연령통합의 개념, 철학, 사회적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전문가 인식과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68(단일호): 161-186. 

  33. 조성남, 1991, "부모와 자녀의 세대차이에 관한 일 연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66-73. 

  34. 조성남?박숙미, 2002, "한국의 세대관련 연구에 나타난 세대개념의 구분과 세대갈등을 이해하는 방법에 관한 일 고찰", 사회과학연구논총, 9(단일호): 39-68. 

  35. 최미정?심정신, 2014,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2): 299-306. 

  36. 최원기, 2006, "세대격차와 세대갈등에 대한 성찰적 논의", 한국인간관계학보, 11(1): 85-103. 

  37. 최유석?오유진?문유진, 2015, "대학생의 노인세대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5): 228-241. 

  38. 한정란, 2002, "노인교육과 세대통합 : 세대공동체 교육",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Continuing Education, 5(1): 91-108. 

  39. 한정란?이금룡?원영희, 2006, "청소년과 노년 세대간 태도 분석", 한국노년학, 26(2): 381-402. 

  40. 함인희, 2000, "세대갈등을 넘어 세대 공존을 향해", 계간 사상, 44(-): 188-209. 

  41. Aday, R. H., Sims, C. R., and Evans, E., 1991, "Youth'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he impact of intergenerational partners",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10(3): 372-384. 

  42. Bertolino M., Truxillo D., and Fraccaroli F., 2013, "Age effects on perceived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8(7/8): 867-885. 

  43. Brown, R., Condor, S., Mathews, A., Wade, G. and Williams, J., 1986, "Explaining intergroup differentiation in an industrial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9): 273-286. 

  44. Chung, R. H., 2001, "Gender, ethnicity, and acculturation in intergenerational conflict of asian american college students",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7(4): 376. 

  45. Foner, A., 2000, "Age integration or age conflict as society ages?", The Gerontologist, 40(3): 272-276. 

  46. Higgs, P. and Gilleard, C., 2010, "Generational conflict, consumption and the ageing welfare state in the united kingdom", Ageing and Society, 30(08): 1439-1451. 

  47. Hummert, M. L., Garstka, T. A., Shaner, J. L., and Strahm, S., 1994, "Stereotypes of the elderly held by young, middle-aged, and elderly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49(5): P240-P249. 

  48. Laws, G., 1995, "Understanding ageism: Lessons from feminism and postmodernism", The Gerontologist, 35(1): 112-118. 

  49. Nelson, T. D., 2005, "Ageism: Prejudice against our feared future self", Journal of Social Issues, 61(2): 207-221. 

  50. Ng, S. H., 1998, "Social psychology in an ageing world: Ageism and intergenerational relations",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1): 99-116. 

  51. North, M. S. and Fiske, S. T., 2012, "An inconvenienced youth? Ageism and its potential intergenerational roots", Psychological Bulletin, 138(5): 982-997. 

  52. Palmore, E., 1999, Ageism: Negative and Positive,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53. Rosencranz, H. A. and McNevin, T. E., 1969, "A Factor Analysis of attitudes toward the aged", The Gerontologist, (9): 55-59. 

  54. Riley, M. W., 1985, "Age strata in social systems",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s 3: 369-411. 

  55. Riley, M. W. and Riley, J. W. (2000). "Age integration conceptual and historical background.", The Gerontologist, 40(3): 266-270. 

  56. Tajfel, H., 1982,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3(1): 1-39. 

  57. Thomson, D., 1989, "The welfare state and generation conflict: Winners and losers", in Workers versus Pensioners: Intergenerational Justice in An Ageing World, edited by Johnson, P. A., and Conrad, C., Manchester University Press, 33-56. 

  58. Zemke, R., Raines, C., and Filipczak, B., 2000, "Generations at work: Managing the clash of Veterans, Boomers, Xers, and Nexters in your workplace", New York, NY: Amacom.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