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에서 노인으로: 장애와 노령의 접점에서 살펴본 장애인의 나이 들어감에 관한 연구
On the Cross of Disability and Old Age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8 no.4, 2016년, pp.143 - 167  

신유리 (동국대학교 인구와사회연구소) ,  김정석 (동국대학교) ,  김경미 (숭실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령화시대의 진전과 함께 노령화, 노인, 노후 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나, 장애인의 그것에 대한 연구는 부진한 형편이다. 장애인들 또한 불가역적인 노화는 필연적인 경험이 되며, 장애와 노화의 중첩에 따른 이중적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이십여 년 이상 장애를 갖고 삶을 이어온 사오십대의 장애인들을 통해 장애와 나이 들어감의 동시적 진행과 공존의 모습을, 그리고 죽음의 의미를 탐색하려는 의도를 가진다. 이를 위해 초점집단 면접이 실시되었으며 나이 듦에 대해 자신의 경험을 풍부하고 분명하게 묘사하고 전달할 수 있는 사례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자료분석 결과에 의하면, 장애인들의 노화는 대체로 이차장애를 수반하는 한편, 노화와 그에 수반되는 경험들이 장애의 그것을 압도하기도 하는 현상이 목격된다. 그러나 이들의 노령은 비장애인들과의 노령과는 그 접점을 찾지 못하고, 여전히 노인들내에서도 장애인으로서의 차별을 절감하게 된다. 장애인은 나이 들어감에 따라 본인 또한 노인이 된다고는 느끼지만, 사회적으로는 여전히 노인보다는 장애인으로의 장벽에 둘러싸여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이 직면하는 나이 듦과 죽음을 삶의 한 과정으로 수용하는 가운데 오늘을 유의미하게 살아내는 의지의 장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비록 탐색적이나마, 비장애인들과는 또 다른 모습으로 나이 들어가는 삶의 경험을 해석하는 장애인들의 노화를 이해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on various issues of aging of the individuals and the population, little is known about the process and consequences of aging of the disabled. Aging is irreversible for the disabled as well as for the not-disabled. With the advances of age, the disabled confr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구의 기대수명 증가는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장애인구의 기대수명 증가는 복합적 형태의 변화를 야기시킨다. 장애와 노화라는 이중적 위험요인의 중첩됨으로 인해 이들은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 측면 등에서 도전적 변화를 겪는다(Verbrugge and Yang, 2002; Bigby, 2008). 즉, 장애인들은 나이 들어가면서 기능결핍과 신체변형, 질병, 역할상실을 경험할 뿐만 아니라 가족과 지인의 사망 등으로 사회적 지지체계가 더 빈약해져 그 결과, 이들의 삶이 더욱 취약한 상황에 놓여 있다. 이처럼 고령화되어 가는 장애인구집단은 일반 노인과 비교하여 장애와 노화라는 이중위험요인에 둘러싸여 삶의 여러 영역에서 더욱 주변화 되고 배제됨으로 사회적인 주목이 지극히 필요한 집단이라고 한다(Putnam, 2002; Sheets, 2005).
노년학에서는 어떤 논의들이 제기되어 왔는가? 지금까지 수행된 선행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면 우선, 노년학에서는 비장애인의 노령이나 노화에 집중되고 그에 따른 신체적 노화, 역할감퇴, 은퇴, 관계망의 결핍, 상실감 등의 부정적인 영향요소를 제시하거나 성공적인 노화의 패러다임에서 노년을 새롭게 조망하는 논의들이 지속되어 왔다(김태현외, 1998; 백학영, 2006; 심문숙, 2007; 김고은․ 이종림, 2013; 손용진, 2004, 권오균, 2008). 반면, 장애인복지 차원에서는 노화(ageing)로 인한 신체기능과 건강, 소득, 관계, 삶의 질 등에 대한 변화수준및 실태, 관련 영향요인의 검증이나 복지전략에 관한 실증적 연구들이 수행되었다(양희택․ 신원우, 2011; 노승현․백은령, 2012; 이준우, 2005; Cooper, 1998; Clarke and Latham,2014).
노령화되어 가는 장애인들의 욕구와 필요 증가를 위해 어떤 정책이 필요한가? 더욱이 지금까지 장애와 노화 영역은 다른 분야로 상호 분리되어 다뤄와 상호 간의 지식공유나 교류는 부재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장애와 노화 영역을 아우르는 정책과 서비스 개발을 위해 사회적 차원의 노력은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노령화되어 가는 장애인의 욕구를 적절히 평가하고 필요한 자원조달을 위해 두 영역간의 상호 연계와 아우르는 정책적 실천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관련 정책과 서비스지원은 당사자들이 지역사회 내의 친숙한 환경에서 그들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권오균, 2008, "장애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9: 7-32. 

  2. 김고은?이종림, 2013, "장애노인의 이중차별경험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 역할수행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59: 257-280. 

  3. 김은주, 2012, "고령장애인의 건강과 의료 서비스 욕구", 제 4차 장애인정책토론회 자료집. 

  4. 김태현?김동배?김미혜?이영진?김애순, 1998,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8(1): 150-169. 

  5. 노승현, 2008, "장애인의 노화와 삶의 질 증진방안", 수리장애인종합복지관 학술세미나 자료집. 

  6. 노승현, 2012, "장애노인 가구의 과부담 보건의료비 결정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4(3): 51-77. 

  7. 노승현?백은령, 2012, "장애노인 가구의 빈곤결정 요인에 대한 종단연구", 장애와 고용, 22(4): 267-293. 

  8. 노승현, 2016, "지적장애인의 나이 들어감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16-220. 

  9. 박영란, 2004, "빈곤의 여성화 -'신빈곤'시대의 여성과 탈빈곤 정책의 뉴패러다임", 아세아연구, 47(2): 61-95. 

  10. 백학영, 2006, "저소득 독거노인의 빈곤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사회복지연구, 31: 5-39. 

  11. 심문숙, 2007, "저소득독거노인의생활경험",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1(2): 171-181. 

  12. 손용진, 2004, "장애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5: 49-74. 

  13. 이동욱, 2012, 나이 듦과 죽음에 관한 여성학적 성찰, 파주: 한국학술정보. 

  14. 이준우, 2005, "고령화 사회에서의 장애노인 복지전략", 재활복지, 9(2): 1-28. 

  15. 양희택?신원우, 2011, "장애를 가진 노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고령화된 장애와 노화과정 장애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2: 255-278. 

  16. 장경은, 2009, "빈곤노인의 노화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한국사회복지학회, 61(4): 355-380. 

  17. 정경희?한경혜?김정석?임정기, 2006, 노인문화의 현황과 정책적 함의:'성공적 노화'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사회보건연구원. 

  18. 정순둘?최혜지?김유휘, 2013, "사회경제적 자원과 건강의 관계: 노인집단과 다른 연령집단 비교", 보건사회연구, 33(2): 63-90. 

  19. 황주희?김성희?노승현?강민희?정희경?이주연?이민경, 2014, "장애노인 대상의 통합적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책방안",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 Bigby, C., 2004, "Ageing with a lifelong disability", Philadelphia: Gordon Grant. 

  21. Bigby, C., 2008, "Beset by obstacles: a review of Australian policy development to support ageing in place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33(1): 76-86. 

  22. Bromley, J., Emerson, E. and Caine, A., 1998, "The developmental of a self-report measure to assess the location and intensity of pain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2: 72-80. 

  23. Braveman, P. and Gruskin, S., 2003, "Defining equity in health",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7: 254-258. 

  24. Capoor, J. and Stein, A., 2005, "Aging with spinal cord injur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6(1): 129-161. 

  25. Carter-Pokas, O. and Baquet, C., 2002, "What is a health disparity?", Public Health Report, 117: 426-434. 

  26. Clarke, P. and Latham, K., 2014, "Life course health and socioeconomic profiles of americans aging with disability", Disability and Health Journal, 7: S15-S23. 

  27. Cohen, E., S., 2007,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Realities of Cross-Network Partnerships and Coalitions", Putman, M, Aging and Disability: Crossing Network Lines, New York: Spring Publishing Company, 91-130. 

  28. Cooper, M. 1998. "Sharpening the focus on aging and long term physical disability", Australasian Journal of Primary Health Care-Interchange, 4(1): 87-92. 

  29. Doka, K., J. and Lavin, C., 2003, "The paradox of ageing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reasing needs, declining resources", Ageing International, 28(2): 135-154. 

  30. Guba, E., G. and Lincoln, Y. S., 1985, "Do inquiry paradigms imply inquiry methodologies?", Fetterman, D. M., Qualitative approaches to evaluation in education, New York: Praeger, 89-115, 

  31. Grassman, E., J. and Whitaker, A., 2003, "Aging with Disability: Life Course Perspective", Bristol: Policy Press. 

  32. Janlov, A., Hallberg, I. and Petersson, K., 2006, "Older persons' experience of being assessed for and receiving public home help: do they have any influence over it?",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14(1): 26-36. 

  33. Larsson, A. T. and Grassman, E. J., 2012, "Bodily changes among people living with physical impairments and chronic illnesses: biographical disruption or normal illness?",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34(8): 1156-69. 

  34. Lippold, T. and Burns, J., 2009, "Social support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a comparison between social network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53(5): 463-473. 

  35. McVicker, R., W., Shanks, O. E. O. and McClelland, R. J., 1994, "Prevalence and associated features of epilepsy in adults with Down's syndrom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64: 528-532. 

  36. Martin, L., G. and Schoeni, R., F., 2014, "Trends in disability and related chronic among the forty and over population: 1997-2010", Disability and Health Journal, 7: S4-S14. 

  37. Rimmer, J. and Braddock, D., 2002, "Health promotion for people with physical, cognitive and sensory disabilities: an emerging national priority",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6: 220-224. 

  38. Perry, J. and Felce, D., 2005, "Factors associated with outcome in community group homes",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110: 121-135. 

  39. Putnam, M., 2002,. "Linking aging theory and disability models: increasing the potential to explore aging with physical impairment",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42(6): 799-806. 

  40. Putnam, M., 2007, "Aging and Disability: Crossing Network Lines", New York: Spring Publishing Company. 

  41. Sheets, D. J., 2005, "Aging with Disabilities: Ageism and More", Ageism in the New Millennium, fall: 37-41. 

  42. Thomas, C., 2001, "Medicine, gender, and disability: disabled women's health care encounters",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22: 245-262. 

  43. Trieschman, R., B., 1987, "Aging with a disability", NY: Demos. 

  44. Verbrugge, L., M. and Yang, L., 2002, "Aging with disability and disability with aging", Journal of Disability Policy Studies, 12(4): 253-267. 

  45. Zarb, G. and Oliver, M., 1993, "Ageing With a Disability: What Do They Expect after All These Years?", London: University of Greenwich.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