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화 사회에서 장애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in the Aging Society 원문보기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11 no.1, 2017년, pp.37 - 44  

김미애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  박희준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공학과) ,  서창교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고령화 사회에서 장애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사회적 지지(가족지지, 동료지지)와 장애 노인 우울 감소, 장애 노인의 삶의 질(여가활동, 생활지원서비스, 치료서비스)간이 관계를 살펴보고, 생활자립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9차 한국복지패널조사 장애인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PLS로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지지(가족 지지와 동료 지지)는 장애 노인 우울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장애 노인의 우울 감소가 장애 노인의 삶의 질(여가생활, 생활지원서비스, 치료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 노인의 생활 자립성이 높을수록 장애 노인의 우울 감소는 생활지원서비스와 치료서비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여가생활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자립성을 갖춘 장애 노인일지라도 우울하면 여가활동은 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in the aging socie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which are Social support, Decrease in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Qu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시 말해, 생애초기 장애를 가진 경우이든 노년기에 이르러 장애를 가진 경우이건 간에 장애노인의 인구증가 현상은 고령화 현상과 더불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2], 우리사회가 이미 고령화사회에 진입했음에 따라 장애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문제는 우리 사회가 주목해야 할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사회에서 장애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관련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적지지, 우울, 생활자립성을 주요 변수로 설정하여 이들 변수가 장애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고찰하고, 이를 통해 장애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장애를 가진 경우 일반적인 경우보다 타인에 대한의존도가 더 높아질 수밖에 없고, 이는 장애노인이 더욱 심리적 사회적으로 취약해 질 수 밖에 없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노인의 일상생활정도 즉 생활 자립성이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생활자립성 측정을 위한 잣대로 청소, 침구정리, 설거지와 같은 일상생활에서의 자립정도를 파악하였으며, 생활자립성은 연구에 따라 일상생활활동능력, 일상활동능력, 일상생활수행수준 등과 같은 표현으로 제시되고 있다.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장애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회적지지(가족지지, 동료지지)와 장애 노인 우울 감소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장애 노인 우울 감소와 장애 노인의 삶의 질(여가활동, 생활지원서비스, 치료서비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장애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회적지지(가족지지, 동료지지)와 장애 노인 우울 감소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장애 노인 우울 감소와 장애 노인의 삶의 질(여가활동, 생활지원서비스, 치료서비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생활자립성에 따라 장애 노인우울 감소와 장애 노인의 삶의 질(여가활동, 생활지원서비스, 치료서비스)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가설 1: 사회적지지(가족 지원, 동료 지원)가 강할수록 장애 노인의 우울 정도는 낮아질 것이다.
  • 가설 2: 장애 노인의 우울 정도가 낮을수록 삶의질(여가활동, 생활지원서비스, 치료서비스)이 향상될 것이다.
  • 가설 3: 장애 노인의 생활자립성이 높을수록 우울감소는 삶의 질(여가활동, 생활지원서비스, 치료서비스)을 향상시킬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20년 베이비붐세대가 고령층 진입으로 인한 주목해야할 것은 무엇인가?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우리사회도 고령화 사회라는 인구구조의 변화를 겪고 있다. 특히 2020년 베이비붐세대(1955년생∼1963년생)의 고령층 진입은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될 중요한 문제로,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문제에 대해 우리 사회가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준비해야 할 부분이라 할 수있다. 고령화에 따라 신체적인 기능의 저하를 겪게되고, 퇴직 등과 같은 사회적 네트워크와의 축소 현상, 이에 따른 우울 및 불안 등의 정신적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등, 노년기는 경제적, 사회적, 정신적, 신체적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위기에 노출되는 시기이다.
우울이란 무엇인가? 우울은 사람이 느끼는 감정 중에서 어느 정도의 두려움, 불안, 슬픔, 분노, 놀라움, 즐거움 등의 정서 상태가 비정상적이고 부적응 상태일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누구나 경험하는 일반적인 정서라고 할 수 있다[6]. 이러한 우울감은 한 개인의 삶의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우울정도가 높은 사람은 자신의 삶에 대해 덜 만족하는 경향이 있으며[12], 일상생활 전반에 걸친 삶의 만족을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삶의 질[7]로 정의 할 수 있다.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는 9차 한국복지패널조사 장애인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PLS로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지지(가족 지지와 동료 지지)는 장애 노인 우울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장애 노인의 우울 감소가 장애 노인의 삶의 질(여가생활, 생활지원서비스, 치료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 노인의 생활 자립성이 높을수록 장애 노인의 우울 감소는 생활지원서비스와 치료서비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여가생활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자립성을 갖춘 장애 노인일지라도 우울하면 여가활동은 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e, P. S., Lee, Y. M., Lim, J. Y. and Hwang, R. I., Park, E. Y., "The Relationship of Stress C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4, no. 3, pp. 477-484, 2004. 

  2. Paik, E. R. and Roh, S. H., "The Longitudinal Study on the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Among Disabled Elderl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16, pp. 81-108, 2012. 

  3. Barker, R.L., "The social work dictionary", 2003. 

  4. Rho, B. and Mo, S. H. "The Effect of Levels and Dimensions of Social Support on Geriatric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7, pp. 53-69, 2007. 

  5. Um, I, S., "Study on the Effect of the Elderly's Liv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Journal of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vol. 22, no. 1, pp. 73-90, 2012. 

  6. Lee, M. S. and Kim, N. Y.,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the Old", Korean Academy of Clinical Social Work, vol. 4, no. 1, pp. 161-176, 2007. 

  7. Kang, S. K.,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9, pp. 629-643, 2009. 

  8. Osgood, N.J. and McIntosh, J.L., "Suicide and the elderly: An annotated bibliography and review",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86. 

  9. Kim, H. S., "A Study on Epistemology of Korean Elder's Suicidal Thought",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2, pp. 159-172, 2002. 

  10. Kim, H. S., "Status and policy tasks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pp. 47-51, 1996. 

  11. Song, I. U. and Won, S. J.,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y Applying Andersen Mode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18, pp. 23-45, 2014. 

  12. Yun. E. G., "Mediation Effect of Coping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vol. 9, no. 1, pp. 43-61, 2012. 

  13. Mecocci, P., Cherubini, A., Mariani, E., Ruggiero, C. and Senin, U., "Depression in the elderly: new concepts and therapeutic approaches",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vol. 16, no. 3, pp. 176-189, 2004. 

  14. Bang, K. S., Lee, I., Kim, S. J., Song, M. K. and Park, S. E., "The Effects of Urban Forest-walking Program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Physical Health,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Office-workers",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vol. 46, no. 1, pp. 140-148, 2016. 

  15. Han, Y. R., Song, M. S. and Lim, J, Y,, "The Effects of a Cognitive Enhancement Group Training Program for Community-dwelling Elders,"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vol. 40, no. 5, pp. 724-735, 2010. 

  16. Kwon, O. G., "A Survey on the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With Handicap",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39, pp. 7-31, 2008. 

  17. Jung, D. J., "The Effects of Self-rated Health on Depression to Disabled Elderly : The Moderating Effects of Psychosocial Resources", vol. 34, no. 2, pp. 247-275, 2014. 

  18. Oh, H. K., Lee, S. K., Sok, S. R. and Kim, K. B., "The Relations among ADL,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stitution Resi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 13, no. 1, pp. 48-56, 2007. 

  19. Park, S. Y., "A Study on Depression, ADL, IAD L, and QOL among Community-Dwelling, Low In come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3, no. 1, pp. 78-90, 2009. 

  20. Roos, N.P. and Havens, B.,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a twelve-year study of Manitoba elderl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81, no. 1, pp. 63-68, 1991. 

  21. Kim, Y. H., "Physical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 in Metropolitan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16, no. 2, pp. 137-147, 2005. 

  22. Kim, H. K., Lee, H. J. and Park, S. M.,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0, no. 2, pp. 279-292, 2010. 

  23. Hu, S. H. and Kim, J. D., "Analysis of Multi-level Effectiveness on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at KLIPS 2006",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1, pp. 407-418, 2011. 

  24. Lee, M. S.,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nd Suicide of the Old",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vol. 2, no. 3, pp. 191-211, 2005. 

  25. Ju, J. Y. and Kim, H. S., "The Effect of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Based on Wellness on ADL, Depressive Disorder, Quality of Life in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 9, no. 4, pp. 423-430,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