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굴생성물(석순)을 이용한 한반도 고기후 연구 - 홀로세의 몬순 변화를 중심으로 -
Asian Monsoon Variation revealed by the speleothem records from Pyeongchang, Korea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2 no.2, 2016년, pp.439 - 449  

유근배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공달용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이현아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김찬웅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임종서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몬순 시스템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변화에 대한 정보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평창에서 확보한 석순에 기록되어 있는 한반도 홀로세 중후기 고기후의 변화 특성과 몬순 변동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절단면의 성장성 분석과 탄소 및 산소동위원소 분석, 그리고 방사성 탄소연대측정 등을 수행하였다. 석순은 약 4580 yr BP에서 660 yr BP 사이에 생성된 것으로, 미약한 중기 청동기저온기, 철기저온기-로마온난기, 중세암흑저온기가 나타났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해당기간 확인된 몬순 약화 현상이 나타났으며, 기존 연구에 비해 다소 빨리 발생 하였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derstanding the variability of the monsoon system requires information about the changes in the past. We revealed the Mid- and Late-Holocene paleo-climate changes and Asian monsoon variations in Korea by the speleothem records from Pyeongchang. To this, we used thicknesses of growth laminae, stab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강원도 평창의 석회동굴에서 성장한 동굴생성물의 산소동위원소 기록을 이용하여 한반도 중후기 홀로세의 고기후를 복원하고 몬순 변화를 추적함에 따라 시공간적으로 분절되어 있는 국내 석순 연구 사이의 정보를 보완하는 것에 있다. 고기후를 추적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수행된 화분분석 연구와 비교 분석하였으며, 화분분석을 통해 복원된 한반도의 기후시기가 석순의 기록에서는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 고기후를 추적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수행된 화분분석 연구와 비교 분석하였으며, 화분분석을 통해 복원된 한반도의 기후시기가 석순의 기록에서는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한반도 지역에서 진행된 몬순 변화를 확인하고 이를 동아시아 지역과 나아가 전구적인 범위에서 나타나는 몬순 변화와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한반도의 장마 현상에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 이유는? 한반도 지역 또한 동아시아 몬순의 영향을 받는 지역으로, 대륙과 해양의 비열 차로 인해 강한 강수를 동반하는 여름 몬순인 장마가 나타난다. 최근 급속한 기후변화와 함께 몬순 시스템의 한 기작이었던 한반도의 장마 현상에도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앞으로의 몬순 시스템 변화를 예측하고 그에 대한 대응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기후변화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
고기후에 대한 연구에 어려움이 있는 이유는? 국내에서 고기후에 대한 연구는 점차 그 숫자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나 고기후 변화를 추적하고 그와 관련된 메커니즘을 설명하기에는 그 수가 아직 불충분한 상황이다. 특히 과거자료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프록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으나, 화분분석과 같이 특정 방법론을 바탕으로 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다른 방법론을 이용하여 보완하는 작업이 필한 실정이다. 동굴생성물은 장기간의 안정된 환경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과거의 기후변화 기록이 잘 보전되어 있어 고환경을 복원하는데 유리하며(Poulson and White, 1969), 최근 들어 연대측정 기법과 시료채취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점차 고해상도의 고기후 복원이 이루어지고 있다(e.
동아시아 몬순의 특성과 강우 변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동아시아 몬순의 특성과 몬순 강우의 변동은 고위도의 한대기단, 저위도 해수면의 온도와 수증기량, 해양과 대기의 상호작용, 열대수렴대(ITCZ; Intertropical Convergence Zone)를 포함한 열대순환 시스템에 영향을 받아 발생된다(An, 2000). 한반도 지역 또한 동아시아 몬순의 영향을 받는 지역으로, 대륙과 해양의 비열 차로 인해 강한 강수를 동반하는 여름 몬순인 장마가 나타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박정재, 2013, 남한 지역의 홀로세 중후기 기후변화, 기후연구 8(2), 127-142. 

  2. 우경식.김련.김진경.최돈원.조경남, 2004, 제주도 당처물동굴에서 발견되는 석주의 조직과 안정동위원소 결과: 고기후학적 의미, 지질학회지, 40(2), 133-144. 

  3. 우경식.조경남.이상헌.양동윤, 2013a, 제주도 용천동굴에서 성장한 석순 내 미량원소 성분을 이용한 지난 600년 동안의 고기후 변화 연구, 지질학회지, 49(3), 325-337. 

  4. 우경식.조경남.이상헌.양동윤.지효선, 2013b, 제주도 용천동굴 석순에 기록된 산소동위원소를 이용한 지난 600년 동안의 고기후 연구, 지질학회지, 49(3), 339-350. 

  5. 조경남.우경식.홍기훈.이현미.석봉출, 2006a, 강원도 평창군 섭동굴에서 최근 5 년간 성장한 종유관의 지화학적 연구: 고기후 지시자로서의 의미와 유효성, 지질학회지, 42(4), 607-624. 

  6. 조경남.우경식.김정찬.양동윤, 2006b, 에덴동굴 석순에 기록된 후기 플라이스토세의 고기후 변화, 지질학회지, 42(1), 127-142. 

  7. 지효선, 2010, 제주도의 탄산염사구퇴적물과 용천동굴 동굴생성물을 이용한 후기 홀로세 고기후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지효선.우경식.조경남.Cheng.Lawrence.이상헌, 2011, 제주도 용천동굴 석순(YC-2)의 조직적 특징을 이용한 지난 약 300년 동안의 고기후 변화 연구, 지질학회지, 47(2), 139-153. 

  9. 지효선.우경식.양동윤, 2010, 제주도 용천동굴 석순 (YC-2) 에 기록되어 있는 한반도의 소빙하기, 대기, 20(3), 261-271. 

  10. 홍석우, 2013, 제주도 당처물동굴 석순의 조직적 특징 및 지화학적 성분을 이용한 지난 2,000년 간의 고기후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홍석우.우경식.이상헌.조경남, 2012, 제주도 당처물동굴 석순의 조직적 특징을 이용한 지난 2,000년간의 고기후 변화 연구, 지질학회지, 48(6), 445-458. 

  12. An, Z., 2000, The history and variability of the East Asian paleomonsoon climate, Quaternary Science Reviews, 19, 171-187. 

  13. An, Z., Porter, S.C., Kutzbach, J.E., Xihao, W., Suming, W., Xiaodong, L., Xiaoqiang, L. and Weijian, Z., 2000, Asynchronous Holocene optimum of the East Asian monsoon. Quaternary Science Reviews, 19(8), pp.743-762. 

  14. Bar-Matthews, M. and Ayalon, A., 2011, Mid-Holocene climate variations revealed by high-resolution speleothem records from Soreq Cave, Israel and their correlation with cultural changes, The Holocene, 21(1), pp.163-171. 

  15. Bond, G., Kromer, B., Beer, J., Muscheler, R., Evans, M.N., Showers, W., Hoffmann, S., Lotti-Bond, R., Hajdas, I. and Bonani, G., 2001, Persistent solar influence on North Atlantic climate during the Holocene. Science, 294(5549), pp. 2130-2136. 

  16. Cheng, H., Zhang, P.Z., Spotl, C., Edwards, R.L., Cai, Y.J., Zhang, D.Z., Sang, W.C., Tan, M. and An, Z.S., 2012, The climatic cyclicity in semiarid­arid central Asia over the past 500,000 year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9(1). 

  17. Crowley, T.J. and Lowery, T.S., 2000. How warm was the medieval warm period?. AMBIO: A Journal of the Human Environment, 29(1), pp.51-54. 

  18. Dansgaard, W., 1964. Stable isotopes in precipitation, Tellus, 16(4), pp.436-468. 

  19. Dykoski, C. A., Edwards, R. L., Cheng, H., Yuan, D., Cai, Y., Zhang, M., Lin, Y., Qing, J., An, Z., and Revenaugh, J., 2005, A high-resolution, absolute-dated Holocene and deglacial Asian monsoon record from Dongge Cave, China,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33(1), 71-86. 

  20. Jo, K.N., Woo, K.S., Yi, S., Yang, D.Y., Lim, H.S., Wang, Y., Cheng, H. and Edwards, R.L., 2014, Mid-latitude interhemispheric hydrologic seesaw over the past 550,000 years, Nature, 508(7496), pp.378-382. 

  21. Jo, K.N., Woo, K.S., Lim, H.S., Cheng, H., Edwards, R.L., Wang, Y.,Jiang, X., Kim, R., Lee, J.I., Yoon, H.I. and Yoo, K.C., 2011, Holocene and Eemian climatic optima i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extural and carbon isotopic records from the stalagmite of the Daeya Cave, South Korea, Quaternary Science Reviews, 30(9), 1218-1231. 

  22. Jo, K. N., Woo, K. S., Hong, G. H., Kim, S. H., &Suk, B. C., 2010, Rainfall and hydrological controls on speleothem geochemistry during climatic events (droughts and typhoons): An example from Seopdong Cave, Republic of Korea,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95(3), 441-450. 

  23. Poulson, T.L. and White, W.B., 1969. The cave environment. Science, 165(3897), pp.971-981. 

  24. Villalba, R., 1994. Tree-ring and glacial evidence for the Medieval Warm Epoch and the Little Ice Age in southern South America. In The Medieval Warm Period (pp.183-197). Springer Netherlands. 

  25. Wang, Y., Cheng, H., Edwards, R. L., He, Y., Kong, X., An, Z., Wu, J., Kelly, M. J., Dykoski, C. A., and Li, X., 2005, The Holocene Asian monsoon: links to solar changes and North Atlantic climate, Science, 308, 854-857. 

  26. Wang, Y.J., Cheng, H., Edwards, R.L., An, Z.S., Wu, J.Y., Shen, C.C. and Dorale, J.A., 2001, A high-resolution absolute-dated late Pleistocene monsoon record from Hulu Cave, China, Science, 294(5550), pp.2345-2348. 

  27. Woo, K. S., Hong, G. H., Choi, D. W., Jo, K. N., Baskaran, M., &Lee, H. M., 2005, A reconnaissance on the use of the speleothems in Korean limestone caves to retrospective study on the regional climate change for the recent and geologic past, Geosciences Journal, 9(3), 243-2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