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2차원 층상구조 전이금속칼코젠의 반도체-도체 구조상전이 기반 응용 기술
Applications of metal-semiconductor phase transition in 2D layered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원문보기

진공 이야기 = Vacuum magazine, v.3 no.1, 2016년, pp.4 - 8  

조수연 (성균관대학교 나노구조물리연구단) ,  김세라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과학과) ,  석진봉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과학과) ,  양희준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tivated by two dimensional graphene, layered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TMDs) have attracted scientific interests by their diverse electronic, optical and catalytic properties. In particular, group 6 TMDs such as $MoS_2$ and $MoTe_2$ have polymorphs (with metallic octa...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6족 전이금속칼코젠 화합물에서의 구조상전이를 이용하여 단일 물질(2H-MoTe2) 내에서 반도체-도체 쇼트키 접합을 도체상인 1T' 상을 국소적으로 만들어 접촉저항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이금속칼코젠 화합물의 흥미로운 물리현상은 무엇이 있는가? 기존 3차원 물질의 거시적인 물성도 크기가 작아질수록 전혀 새로운 특성을 가지기도 하는데, 전이금속칼코젠 화합물에서도 차원 제어에 따른 흥미로운 물리현상이 많이 보고 되었다. 특히, 두께에 따라 물질 고유의 밴드갭 특성 (direct or indirect band gap) 및 밴드갭 크기가 바뀌는 현상과 기존 3차원 물질에서 고려되지 않던 스핀-궤도 간의 결합이 중요하게 되어 특이한 광학 특성 [2], 전기적 특성 [3], 양자-스핀 홀 효과 [4] 등이 주요한 예라고 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물질에 비해 2차원 물질은 비표면적이 넓고, 면적 당 활성부위(active site)가 많아 친환경 에너지를 가능하게 하는 전기화학 촉매로서의 가능성도 주목 받고 있다 [5].
꿈의 신소재인 그래핀의 특징은 무엇인가? 꿈의 신소재라고 불리는 2차원 물질 그래핀은 100,000cm2/Vs [1]에 달하는 높은 전자 이동도를 가지는 2차원 electron gas로써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전자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97% 이상 빛을 투과시키고, 휘거나 접을 수 있는 특성으로 차세대 웨어러블(wearable) 전자기기 소재로 각광을 받아왔다. 하지만 그래핀은 전기적밴드갭을 가지고 있지 않아 가장 큰 시장을 가지고 있는반도체 논리소자로써의 응용이 어렵고, 안정적인 sp2혼성 탄소 결합에 기인한 낮은 촉매 작용으로 관련 분야 응용 분야 연구가 제한되어, 최근에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그래핀을 닮은 다른 2차원 물질, 전이금속칼코젠 화합물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래핀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꿈의 신소재라고 불리는 2차원 물질 그래핀은 100,000cm2/Vs [1]에 달하는 높은 전자 이동도를 가지는 2차원 electron gas로써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전자를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97% 이상 빛을 투과시키고, 휘거나 접을 수 있는 특성으로 차세대 웨어러블(wearable) 전자기기 소재로 각광을 받아왔다. 하지만 그래핀은 전기적밴드갭을 가지고 있지 않아 가장 큰 시장을 가지고 있는반도체 논리소자로써의 응용이 어렵고, 안정적인 sp2혼성 탄소 결합에 기인한 낮은 촉매 작용으로 관련 분야 응용 분야 연구가 제한되어, 최근에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그래핀을 닮은 다른 2차원 물질, 전이금속칼코젠 화합물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Y. Zhang, Y.-W. Tan, H.L. Stormer, and P. Kim, Nature, 438, 201 (2005). 

  2. Ruppert, C., Aslan, O. B., and Heinz, T. F. Nano Lett. 14, 6231 (2014). 

  3. D. W. Shen, B. P. Xie, J. F. Zhao, L. X. Yang, L. Fang, J. Shi, R. H. He, D. H. Lu, H. H. Wen, and D. L. Feng, Phys. Rev. Lett. 99, 216404 (2007). 

  4. X. Qian, J. Liu, L. Fu, and J. Li. Science 346, 1344 (2014). 

  5. Damien Voiry, Hisato Yamaguchi, Junwen Li, Rafael Silva, Diego C. B. Alves, Takeshi Fujita, Mingwei Chen, Tewodros Asefa, Vivek B. Shenoy, Goki Eda and Manish Chhowalla Nature Materials 12, 850 (2013). 

  6. Nihar R. Pradhan, Daniel Rhodes, Simin Feng, Yan Xin, Shahriar Memaran, Byoung-Hee Moon, Humberto Terrones, Mauricio Terrones, and Luis Balicas ACS Nano 8, 5911 (2014). 

  7. K.-A. N. Duerloo, Y. Li, and E. J. Reed, Nat. Comm. 5, 4214 (2014). 

  8. Dong Hoon Keum, Suyeon Cho, Jung Ho Kim, Duk-Hyun Choe, Ha-Jun Sung, Min Kan, Haeyong Kang, Jae-Yeol Hwang, Sung Wng Kim, Heejun Yang, K. J. Chang & Young Hee Lee, Nature Physics 11, 482 (2015). 

  9. Andrey N. Enyashin, Lena Yadgarov, Lothar Houben, Igor Popov, Marc Weidenbach, Reshef Tenne, Maya Bar-Sadan, and Gotthard Seifert, J. Phys. Chem. C 115, 24586 (2011). 

  10. Yimin Kang, Sina Najmaei, Zheng Liu, Yanjun Bao, Yumin Wang, Xing Zhu, Naomi J. Halas, Peter Nordlander, Pulickel M. Ajayan, Jun Lou, Zheyu Fang, Advanced Materials 26, 6467 (2014). 

  11. Suyeon Cho, Sera Kim, Jung Ho Kim, Jiong Zhao, Jinbong Seok, Dong Hoon Keum, Jaeyoon Baik, Duk-Hyun Choe, K. J. Chang, Kazu Suenaga, Sung Wng Kim, Young Hee Lee, and Heejun Yang, Science 349, 625 (2015). 

  12. Seunghyun Song, Dong Hoon Keum, Suyeon Cho, David Perello, Yunseok Kim, and Young Hee Lee, Nano Lett., 16, 188 (2016) 

  13. L. Wang, I. Meric, P. Y. Huang, Q. Gao, Y. Gao, H. Tran, T. Taniguchi, K. Watanabe, L. M. Campos, D. A. Muller, J. Guo, P. Kim, J. Hone, K. L. Shepard, and C. R. Dean, Science, 342, 614 (2013). 

  14. Rajesh Kappera, Damien Voiry, Sibel Ebru Yalcin, Brittany Branch, Gautam Gupta, Aditya D. Mohite and Manish Chhowalla, Nature Mat. 13, 1128 (2014). 

  15. Damien Voiry, Maryam Salehi, Rafael Silva, Takeshi Fujita, Mingwei Chen, Tewodros Asefa, Vivek B. Shenoy, Goki Eda, and Manish Chhowalla, Nano letters, 13, 6222 (2013). 

  16. Thomas F. Jaramillo, Kristina P. Jorgensen, Jacob Bonde, Jane H. Nielsen, Sebastian Horch, Ib Chorkendorff, Science, 317, 100 (2007). 

  17. Jesse D. Benck, Thomas R. Hellstern, Jakob Kibsgaard, Pongkarn Chakthranont, and Thomas F. Jaramillo, ACS Catal., 4, 3957 (20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