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불소화 일라이트 및 탄소나노튜브 강화 에폭시 복합재의 기계적 및 열적 특성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Epoxy Composites Reinforced Fluorinated Illite and Carbon Nanotube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7 no.3, 2016년, pp.285 - 290  

이경민 (충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  이시은 (충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  김민일 (충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  김형기 (한국소방안전협회) ,  이영석 (충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에폭시 복합재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라이트탄소나노튜브가 불소 가스로 표면처리 되었다. 불소화 처리된 일라이트 및 탄소나노튜브는 엑스선 광전자 분광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복합재의 기계적 및 열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 에폭시 복합재는 미첨가 에폭시 복합재와 비교하여 인장강도는 약 59%, 충격강도는 18%, 열안정성은 124%로 크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에폭시 복합재의 기계적 및 열적 특성의 향상은 일라이트 및 탄소나노튜브의 불소화가 에폭시 내에서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에폭시 수지와의 계면 결합력을 증가시켰기 때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mprove properties of epoxy composites, surfaces of the illite and carbon nanotube (CNT) were treated by fluorine gas. The fluorinated illite and CNT were then characterized by X-ray photoelectron microscopy (XPS) and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ir composites were evaluated. Th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에폭시 수지의 기계적 및 열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라이트 및 탄소나노튜브에 불소화 표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후, 표면처리 조건에 따라 일라이트 및 탄소나노튜브를 각각 1, 0.
  • 본 연구에서는 층상구조를 갖는 일라이트 및 종횡비가 큰 탄소나노 튜브를 혼합하여 에폭시에 첨가함에 따른 보강 효과와 강화재의 불소화 표면처리에 따른 효과를 동시에 알아보고자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두 강화재의 적합한 조건으로 불소화 표면처리를 하여 에폭시 복합재를 제조하였다[18,19]. 일라이트와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처리는 불소 가스를 이용하여 불균일계 불소화 반응으로 수행하였다.
  • 또한, 에폭시 수지와의 계면 결합력 및 분산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강화재에 불소화 표면처리를 통하여 소수화 개질 및 에폭시 내 분산성 및 에폭시와의 계면결합력 향상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일라이트 및 탄소나노 튜브의 불소화 표면처리가 에폭시 복합재의 기계적 및 열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폭시 수지의 단점은 무엇인가요? 특히, 열경화성 고분자 중 에폭시 수지는 가공이 용이하고, 접착력이 우수하며, 전기 절연성이 뛰어나 코팅, 고성능 접착용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에폭시 수지는 취성을 가지고 열적 특성이 취약하여 이를 건축자재 및 전기 부품 등에 응용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강화재를 첨가하여 복합재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3,4].
에폭시 수지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고분자 복합재는 내식성, 우수한 인성 및 강도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자동차의 부품 혹은 차체, 항공모함 및 군수용품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기존의 금속과 같은 재료를 대체할 수 있어 여러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1,2]. 특히, 열경화성 고분자 중 에폭시 수지는 가공이 용이하고, 접착력이 우수하며, 전기 절연성이 뛰어나 코팅, 고성능 접착용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에폭시 수지는 취성을 가지고 열적 특성이 취약하여 이를 건축자재 및 전기 부품 등에 응용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에폭시 복합재와 넣지 않은 에폭시의 열 안정성을 비교하면? 불소화된 일라이트 및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하여 제조된 에폭시 복합재는 미첨가 에폭시와 비교하여 인장 및 충격강도는 각각 59% 및 18% 향상되었다. 또한, 이 복합재의 열안정성은 미첨가 에폭시와 비교하여 124% 향상되었다. 이는 불소화에 따라 강화재의 소수화 개질이 이루어져 집합체 간 분산성이 향상되고, 에폭시 내계면 결합력이 증가하여 복합재의 물성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R. Das, S. L. Banerjee, R. Kumar, and P. P. Kundu, Development of sustainable elastomeric engineering nanocomposites from linseed oil with improved mechanical stability and thermally induced shape memory properties, J. Ind. Eng. Chem., 35, 388-399 (2016). 

  2. M. O. Ansan, S. P. Ansan, S. K. Yadav, T. Anwer, M. H. Cho, and F. Mohammad, Ammonia vapor sensing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fibrous multi-walled carbon nanotube/polyaniline nanocomposites prepared in presence of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J. Ind. Eng. Chem., 20, 2010-2017 (2014). 

  3. F. Gardea and D. C. Lagoudas, Characterization of electr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epoxy composites, Composites Part B, 56, 611-620 (2014). 

  4. T. Giang and J. Kim, Effect of backbone moiety in diglycidylether-terminated liquid crystalline epoxy on thermal conductivity of epoxy/alumina composite, J. Ind. Eng. Chem., 30, 77-84 (2015). 

  5. B. G. Son, T. S. Hwang, and D. C. Goo, Fire-retardation properties of polyurethane nanocomposite by filling inorganic nano flame retardant, Polym. Korea, 31, 404-409 (2007). 

  6. J. Bujdak, E. Hackett, and E. P. Giannelis, Effect of layer charge on the intercalation of poly(ethylene oxide) in layered silicates: Implications on nanocomposite polymer electrolytes, Chem. Mater., 12, 2168-2174 (2000). 

  7. S. J. Park, D. I. Seo, and C. Nah, Effect of acidic surface treatment of red mud on mechanical interfacial properties of epoxy/red mud nanocomposites, J. Colloid Interface Sci., 251, 225-229 (2002). 

  8. X. Zhao, J. Li, Y. Zhang, H. Dong, J. Qu, and Tao Qi, Preparation of nanosized anatase TiO2-coated illite composite pigments by $Ti(SO_{4})_{2}$ hydrolysis, Powder Technol., 271, 262-269 (2015). 

  9. E. Jeong, J. W. Lim, K. W. Seo, and Y. S. Lee, Effects of physicochemical treatments of illite on the thermo-mechanical properties and thermal stability of illite/epoxy composites, J. Ind. Eng. Chem., 17, 77-82 (2011). 

  10. J. H. Kim, T. D. Dao, and H. M. Jeong, Aluminum hydroxide-CNT hybrid material for synergiz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alumina sphere/thermoplastic polyurethane composite with minimal increase of electrical conductivity, J. Ind. Eng. Chem., 33, 150-155 (2016). 

  11. M. Y. Koo, H. C. Shin, W. S. Kim, and G. W. Lee, Propertie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 reinforced epoxy composites fabricated by using sonication and shear mixing, Carbon Lett., 15, 255-261 (2014). 

  12. W. S. Tung, V. Bird, R. J. Composto, N. Clarke, and K. I. Winey, Polymer chain conformations in CNT/PS nanocomposites from small angle neutron scattering, Macromolecules, 46, 5345-5354 (2013). 

  13. G. Mittal, V. Dhand, K. Y. Rhee, S. J. Park, and W. R. Lee, A review on carbon nanotubes and graphene as fillers in reinforced polymer nanocomposites, J. Ind. Eng. Chem., 21, 11-25 (2015). 

  14. H. Maka, T. Spychaj, and M. Zenker, High performance epoxy composites cured with ionic liquids, J. Ind. Eng. Chem., 31, 192-198 (2015). 

  15. S. H. Park and J. Bae, Tailoring environment friendly carbonnanostructures by surfactant mediated interfacial engineering, J. Ind. Eng. Chem., 30, 1-9 (2015). 

  16. K. Yang, X. Huang, Y. Huang, L. Xie, and P. Jiang, Fluoro-@ $PolymerBaTiO_{3}$ hybrid nanoparticles prepared via RAFT polymerization: toward ferroelectric polymer nanocomposites with high dielectric constant and low dielectric loss for energy storage application, Chem. Mater., 25, 2327-2338 (2013). 

  17. Y. Ganesan, H. Salahshoor, C. Peng, V. Khabashesku, J. Zhang, A. Care, N. Rahbar, and J. Lou, Fracture toughness of the sidewall fluorinated carbon nanotube-epoxy interface, J. Appl. Phys., 115, 224-305 (2014). 

  18. E. Jeong and Y. S. Lee, Fluoro-illite/polypropylene composite fiber formation and their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ppl. Chem. Eng., 22, 467-472 (2011). 

  19. M. J. Jung, E. Jeong, and Y. S. Lee, The surface chemical propertie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odified by thermal fluorination for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 Appl. Surf. Sci., 347, 250-257 (2015). 

  20. M. J. Kim, M. J. Jung, S. S. Choi, and Y. S. Le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oluene gas using fluorinated phenol-based activated carbons, Appl. Chem. Eng., 26, 587-592 (2015). 

  21. M. J. Kim, M. J. Jung, S. S. Choi, and Y. S. Lee, Effects of the fluorination of activated carbons on the chromium ion adsorption, Appl. Chem. Eng., 26, 92-98 (2015). 

  22. O. K. Park, T. Jeevananda, N. H. Kim, S. I. Kim, and J. H. Lee, Effects of surface modification on the dispersio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carbon nanotube/polyaniline composites, Scripta Mater., 60, 551-554 (2009). 

  23. Y. Hattori, N. Noguchi, F. Okino, H. Touhara, Y. Nakahigashi, S. Utsumi, H. Tanaka, H. Kanoh, and K. Kaneko, Defluorination-enhanced hydrogen adsorptivity of activated carbon fibers, Carbon, 45, 1391-1395 (2007). 

  24. S. G. Lee, J. C. Won, J. H. Lee, and K. Y. Choi, Flame retardancy of polypropylene/montmorillonite nanocomposites, Polym. Korea, 29, 248-252 (2005). 

  25. H. R. Yu, E. Jeong, J. Kim, and Y. S. Lee, Influence of fluoro-illite on flame retardant property of epoxy complex, Polym. Korea, 35, 47-51 (2011). 

  26. J. S. Im, S. K. Lee, S. J. In, and Y. S. Lee, Improved flame retardant properties of epoxy resin by fluorinated MMT/MWCNT additives, J. Anal. Appl. Pyrolysis, 89, 225-232 (2010). 

  27. C. D. Doyle, Estimating thermal stability of experimental polymers by empirical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al. Chem., 33, 77-79 (1961). 

  28. S. H. Park, S. G. Lee, and S. H. Kim, Thermal decomposition behavior of carbon nanotube reinforced 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s, J. Appl. Polym. Sci., 122, 2060-2070 (2011). 

  29. S. E. Lee, S. Cho, and Y. S. Le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MWCNT-reinforced epoxy nanocomposites by vacuum 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 Carbon Lett., 15, 32-37 (2014). 

  30. G. Mittal, V. Dhand, K. Y. Rhee, H. J. Kim, and D. H. Jung, Carbon nanotubes synthesis using diffusion and premixed flame methods: a review, Carbon Lett., 16, 1-10 (2015). 

  31. J. Y. Kim and S. H. Kim, Influence of multiwall carbon nanotube on physical properties of poly(ethylene 2,6-naphthalate) nanocomposites,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44, 1062-1071 (2006). 

  32. P. C. Ma, J. K. Kim, and B. Z. Tang, Effects of silane functionalization on the properties of cargon nanotube/epoxy nanocomposites, Compos. Sci. Technol., 67, 2965-2972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