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관련 자료의 정보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Need of Materials Related to Disability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0 no.2, 2016년, pp.147 - 181  

장우권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박성우 (광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정대근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연구는 장애인 본인 및 가족, 관련자 등 장애 관련 다양한 이용자들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장애관련 정보를 파악과 함께 정보유형에 따른 이용자들의 인식을 비교분석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이용자 맞춤형 정보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장애인, 장애인보호자, 장애기관 종사자, 장애인 연구자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 및 장애 관련자들의 주요정보원은 일반포털 사이트이며, 중요 정보유형은 구인구직정보, 이동편의(교통)정보, 의료기관 정보 등이다. 또한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정보의 중요성이 낮고 자료의 획득도 어렵게 느끼고 있었으며, 장애유형에 따라서 중요 정보유형 및 획득의 용이성이 차이가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bound the preliminary material for the disabled to provide personalized information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reference research and survey are conducted the disabled, protector, professional, researcher and teacher. The result, disabled an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의 역할은? 장애인정책모니터링센터는 장애인의 알 권리충족과 장애인 사회의 정책역량 강화에 기여하고 장애인에 의한 합리적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장애 관련 정책의 공공성과 효과성을 제고하며장애인 당사자의 정책 참여, 그리고 인권과 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활동하는 기구이다. 에이블인포(장애인정보웹센터)는 장애인당사자주의에 입각하여 장애인 정책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원동력이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므로 장애인의 인권 및 복지 관련 전문정보를 선택, 집중화할 필요성이 요구되는 현실에서 장애인 정책과 관련하여 정보요구가 많은 자립생활 운동, 기초생활보장, 노동권 관련 정보를 온라인상에서 논문, 정책자료, 도서의 원문을 제공함으로써 장애인 및 관련연구자, 정책관리자 등의 원활한 정보수집의 채널이 되고자 하였다.
1999년 장애인복지법의 개정으로 정신지체 이외에 정신장애와 내부장애, 발달장애(자폐증)가 포함되면서 장애의 범주가 확장된 이유는? 장애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와 복지 욕구의 다양화 등 사회적 여건의 변화로 사회적 제약을 받는 사람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신체적 장애뿐만 아니라 정신적 장애까지 확장된 것이다. 현행 장애등급 판정 기준은 <표 1>과같다.
우리나라 장애의 개념은 어떤 법에서 정의하고 있는가? 우리나라 장애의 개념은 장애인복지법,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장애인에 대한 특수교육법, 근로기준법, 국민연금법, 공무원연금법, 국가배상법 등에서 정의하고 있는데, 각 법에 따라 장애, 장해, 폐질, 상이, 후유장애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장애 범주와 장애인의 개념 정의는 장애인복지법에 기초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숙희. 2001. 시각장애인 정보서비스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4): 229-256. (Kang, Sook-Hee. 2001. "Improving Information Service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through I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2(4): 229-256.) 

  2. 강숙희. 2010.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97-123. (Kang, Sook-Hee. 2010. "A Study on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by Types of Disability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1): 97-123.) 

  3. 국립중앙도서관. 2012. 장애인도서관서비스 평가지표 및 기준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2.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ex and Guidelines of Library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y.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4. 김민철, 이지연. 2013. 장애인분야 웹정보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2): 169-188. (Kim, Meen Chul and Lee, Jee Yeon. 2013. "A Study on Analyzing the Disabled-related Information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2): 169-188.) 

  5. 류명화. 2001. 장애인 컨텐츠 이용욕구 및 지원방안 연구. 재활복지, 5(1): 1-31. (Ryoo, Myung-Hwa. 2001. "A Study on the Utilization NEeds and Assistance Schemes of Conten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5(1): 1-31.) 

  6. 문선화 외. 2005. 장애인복지론. 파주: 양서원. (Moon, Sun-Wha et al. 2005. Social Welfare for the Disabled. Paju: Yswpub.) 

  7. 보건복지부. 2015.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세종: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Survey of Disability in 2014.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8. 윤정옥. 2011. 장애인 정보포털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27-47. (Yoon, Cheong-Ok. 2011. "A Research on the Information Portal for the Disabl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3): 27-47.) 

  9. 이원경, 서은경. 2012. 장애인 이용자를 위한 공공도서관 웹사이트의 접근성 확장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2년 8월 16일, 서울: 한성대학교: 33-36. (Lee, Won-Kyung and Seo, Eun-Gyoung. 2012. "Accessibility Improvement for Disabled Use of Public Library Website." In Proceedings of the 19th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August 16th, 2012, Seoul: Hansung University: 33-36.) 

  10. 이정연. 2010. 유럽국가의 장애인 도서관서비스 정책에 관한 질적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3): 147-168. (Lee, Jungyeoun. 2010. "A Qualitative Study on the Library Services Policy for the Disabled Person in European Count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7(3): 147-168.) 

  11. 이준우, 박종미. 2009. 청각장애인의 지식정보서비스 이용 욕구와 사회복지실천 과제. 재활복지, 13(2): 257-285. (Lee, Jun Woo and Bach, Jong Me. 2009. "The Needs on Knowledge Information Service Use of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and Tasks of Social Work Practic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3(2): 257-285.) 

  12. 장덕현, 임신영. 2005. 지체장애인의 정보소외 양상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2): 89-108. (Chang, Duk-Hun and Lim, Shin-Young. 2005. "How the Disabled Suffer from Information Alienation: An Ethn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6(2): 89-108.) 

  13. 장보성, 서만덕, 남영준. 2012. 우리나라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에 관한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87-107. (Jang, Bo-Seong, Suh, Mandeok and Nam, Young-Joon. 2012. "The Analysis Research about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2): 87-107.) 

  14. 장우권, 박성우, 정대근. 2016. 장애인 분야 주제가이드 및 서비스 모델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1): 101-132. (Chang, Woo-Kwon, Park, Seong-Woo and Jeong, Dae-Keun. 2016. "Developing Subject Guides and Service Model in the Disabled Area."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1): 101-132.) 

  15. 정재영, 정혜미. 2010. 장애인 이용자의 요구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2): 189-207. (Chung, Jae-Young and Jeong, Hye-Mi. 2010. "Improvement Plan for Library Services Through the Disabled User's Needs Analysis in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2): 189-207.) 

  16. 조주은. 2003. 장애인의 정보접근성: 장애 유형과 정도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6(2): 147-173. (Cho, Joo Eun. 2003.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ypes and Degress of Disability."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6(2): 147-173.) 

  17. 표윤희. 2014.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담당사서의 인식 조사. 특수교육, 13(2): 239-268. (Pyo, Yun Hui. 2014. "A Survey of Current Status and Activation Plans of Library Services and Program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Librarian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Research, 13(2): 239-268.) 

  18. 한국도서관협회 문헌정보학용어사전 편찬위원회.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Library Terminology Committee of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0. The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2014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5. The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Index and Status.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 Childers, T. 1975. The Information-Poor in America. Metuchen, NJ: The Scarecrow Press. Inc. 

  21. Stevens, C. H. et al. 1973. "Library Pathfinders: A New Possibility for Cooperative Reference Service." College & Research Libraries, 31(4): 40-46. 

  22. Tchangalova, N. and Feigley, A. 2008. "Subject Guides: Putting a New Spin on an Old Concept." Electronic Journal of Academic and Special Librarianship, 9(3): 80-88. 

  23. WHO. 1980. ICIDH: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Disabilities, and Handicaps. Geno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4. WHO. 1997. ICIDH - 2: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Genova: World Health Organiz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