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 보건의료정보화의 정보전략계획(ISP) 수립 방안
Development of National e-Health Strategy 원문보기

대한산업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v.42 no.3, 2016년, pp.198 - 208  

신지은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조대곤 (한국과학기술원 경영대학) ,  김병인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고영명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기영민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정인수 (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강성홍 (인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박정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곽미숙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황희 (분당서울대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well-established e-health strategy at the national level is necessary to successfully achieve the trust-and-consensus-based e-health goals by linking strategic information planning and the execution of an implementation plan. This paper provides a methodology of how to establish a national e-hea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3년에는 환자와 이용자의 고품질 정보를 축적․공유․활용하기 위한 ‘케어 닷 데이터(care.data)’ 프로그램을 추진하여, 개인들의 의료관련 정보를 수집 후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의료 안정성 및 서비스의 질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National Health Service, 2013).
  • 기존의 연구들은 정보전략계획과 프레임워크 방법론을 주로 다루고 있으나, 정보전략계획 수립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프레임워크를 개량하고 실제 세부추진과제까지 도출하는 과정을 기술하여 하나의 적용가능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보건의료정보화의 정보전략계획 수립절차로 [Figure 3]과 같이 환경분석 및 현황분석, 보건의료정보화의 비전 및 핵심원칙 수립, 추진 체계 및 과제 도출, 중점과제 선정을 포함하는 세분화된 4단계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황을 고려하여 국가 보건의료정보화에 의한 가치 및 기대효과를 명확히 규정하여 구체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또한 핵심과제와 우선순위를 명확히 구분하여 단계별 추진체계를 도입하고자 한다. 의료 IT의 수용과 확산은 단순한 시스템 및 인프라 도입에 그치는 것이 아닌, 문화적 변화, 의료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인식 전환 등 변화관리에 대한 고려가 수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연구자, 정책 결정자 및 의료 실무자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정보화 정보전략계획 수립의 방법론을 소개하고, 보건의료정보화 정보전략계획을 구축한 사례를 살펴본다. 최근 국민들의 ICT 기술의 보건의료산업 내 융합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고, 4P로 일컫는 개인맞춤형(personalized), 예방중심(preventive), 참여형(participatory), 예측가능(predictive)한 의료 환경이 강조되고 있다.
  • 보건의료정보화 계획은 다양한 관련 정책을 통합하고 조정할 수 있는 상위 단계의 전략 역할을 하며, 장기적으로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하고 국가 의료비 절감 및 연계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통해 경제 활성화까지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이슈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보건의료정보화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변화된 환경을 고려하여 의료정보의 연계와 이해관계자 중심의 서비스를 구축하는 보건의료정보화 정보전략계획 수립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지적하고 제안한 내용들 또한 많은 제한점이 있음을 부정할 수는 없다.
  • 그동안 일관성있는 비전과 전담조직의 부재, 이해관계자의 협조 부족 및 법제도 미비로 가시적인 진료정보교류 체계 정립에는 뚜렷한 한계가 존재하였던만큼, 보다 전략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가적인 보건의료정보화 사업을 추진하여 신뢰와 합의 기반의 목표를 수립하고 목표와 정보전략계획 간의 연계, 이행 계획의 성공적인 수행을 달성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보건의료정보화 정보전략계획의 한계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변화된 환경을 고려한 정보전략계획 구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보다 정보전략계획 수립을 먼저 진행하여, 재정적인 제약이나 사회적 기대치와의 괴리, 인센티브 체계 구축의 어려움 등의 문제를 경험한 미국, 유럽 국가 등의 사례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의 의료 ICT 기술 수준과 대내외 환경 및 국민 수용도를 고려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EHR 데이터의 활용가능성 향상뿐만 아니라 전산화된 의료정보체계를 보다 많은 사람들이 채택하고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초점을 맞추어 의료의 효율성과 치료혜택을 증진시켰다(Atkinson, 2009;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3a). 본 연구에서는 여러 국가의 보건의료정보화의 성공 요소들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여 국내 보건의료정보화 정보전략계획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황을 고려하여 국가 보건의료정보화에 의한 가치 및 기대효과를 명확히 규정하여 구체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또한 핵심과제와 우선순위를 명확히 구분하여 단계별 추진체계를 도입하고자 한다.
  • WHO-ITU에서는 2012년에 보건의료정보화 정보전략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표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National e-Health Strategy Toolkit”을 발간하였다(WHO-ITU, 2012). 이는 ICT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고령화, 만성질환 등 국가적 보건의료 과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돕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보건의료정보화 계획은 규제, 표준, 재정, 정책적 관점에서 다양한 관련 정책을 통합하고 조정할 수 있는 상위 단계의 전략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국제 보건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 또한, 현재 당면한 의료 관련 사회적 이슈인 국민 의료비 증가 문제, 고령화 및 만성질환 환자 증가, 진료오류에 따른 사회적 비용 등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국가적인 비전과 실현가능한 추진방안과 이행계획을 담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정보전략계획 수립 후 추진안과 중점 육성 사업을 도출하는 방법론 또한 논의된다.
  • 최근 국민들의 ICT 기술의 보건의료산업 내 융합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고, 4P로 일컫는 개인맞춤형(personalized), 예방중심(preventive), 참여형(participatory), 예측가능(predictive)한 의료 환경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보건의료서비스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기반 조성을 위한 정보전략계획 수립 방안을 중점적으로 검토한다. 본 논문이 현재 시점의 정보전략계획의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고 향후 보건의료정보화 정보전략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한국어로는 의료정보지킴, 의료정보마루, 의료정보일기로 할 수 있다. 이를 성공적으로 추진하여, HI-S를 통한 보다 안전한 보건의료정보화 실현, HI-E를 통한 표준 기반진료정보교류 실현으로 국가의료비 절감, HI-A를 통한 환자의 건강정보 주권 확대 및 예방의학 실현을 달성하고자 한다. HI-S(Security) 의료정보지킴은 현재 국내 의료기관의 의료정보보호 수준이 매우 취약한 것을 감안하여 보안 가이드라인 및 교육 컨텐츠, 인증 체계를 개발하고 의료정보보호 가이드라인, 교육 포털을 구축하여 인증을 실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의료정보화란? 보건의료정보화란 의료 업무의 전산화, 정보화 기반 구축 및 정보화 전략계획을 포괄하는 것으로 국내에서는 1980년대부터 전국민의료보험 실시와 함께 보험 진료비 청구를 위해 의료 업무의 전산화가 시작된 것을 기점으로 삼을 수 있다. 이후 2000년대 EHR(Electronic Health Record) 사업단 및 보건의료정보화 사업단이 조직되며 국가기관 전산망, 복지망 기본계획 등을 통해 본격화되었고, 2010년대 보건의료정보기반 구축 연구가 수행되는 등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다(EHR Core Technology R&D Project Group, 2006).
의료공급자 입장에서는 환자 안전 증진과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주요 이슈로 다루는 근거는? 공급자 입장에서는 환자 안전 증진과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주요 이슈로 들 수 있다. 2014년 한 해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에 신청된 의료분쟁 건은 806건으로 전년 대비 30.6% 증가하였고, 2011년 환자 안전 사고발생에 관한 추정연구에 따르면 입원 환자 중 평균 9.2%가 의료서비스로 인해 발생하는 위해 사건을 경험하고 이 중 7.4%가 환자 안전 사고에 의해 사망했다(Lee, 2013). 이와 같이 국내 의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나, 의료의 질적 수준은 크게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의료환경에서 4P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국내 연구자, 정책 결정자 및 의료 실무자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정보화 정보전략계획 수립의 방법론을 소개하고, 보건의료정보화 정보전략계획을 구축한 사례를 살펴본다. 최근 국민들의 ICT 기술의 보건의료산업 내 융합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고, 4P로 일컫는 개인맞춤형(personalized), 예방중심(preventive), 참여형(participatory), 예측가능(predictive)한 의료 환경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보건의료서비스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기반 조성을 위한 정보전략계획 수립 방안을 중점적으로 검토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tkinson, M. (2009), eHealth in Canada : Current Trends and Future Challeng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Council. 

  2. Australian Health Ministers' Conference (2008), E-Health Implementation Roadmap, Australian Health Ministers' Conference, Ministry of Health, Australia. 

  3. Campion-Awwad, O., Hayton, A., Smith, L., and Vuaran, M. (2014), The National Programme for IT in the NHS, A case history, University of Cambridge. 

  4. Chung, Y. (2011), Current status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and its issues, Issue and Focus 71th.,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 

  5. Earl, M. J. (1989), Management Strategies for Information Technology, Prentice-Hall. 

  6. EHR Core Technology R&D Project Group (2006), A five-year plan for National e-Health Strateg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7. European Commission (2014), European Hospital Survey : Benchmarking Deployment of e-Health Services 2012-2013, European Commission. 

  8. Galliers, R. D. and Sutherland, A. R. (1991), Information systems management and strategy formulation : the 'stages of growth' model revisited, Information Systems Journal, 1(2), 89-114. 

  9. Kang, S. H., Kim, B. I., Jun, C. H., Choi, B. K., and Lee, S. (2013), Healthcare optimization : current status and vitalization suggestion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39(4), 313-324. 

  10. Kim, H. (2011),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legal framework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global healthcare industry,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11. Kim, H. S. and Jeong, H. G. (2012), A diagnosis and assessment methodology for enterprise CRM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37(3), 23-37. 

  12. Kim, J., Kim, H., Leem, B., and Yoon, J. (2012), Analyzing the national medical service efficiency of OECD countries using DEA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37(4), 125-138. 

  13. Kim, J. Y. and Lee, B. S. (2011), Confronting Strategy for EA & BPR Based ISP,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10(10), 201-212. 

  14. Kim, S. H. and Kim, G. A. (2012), A firm's environmental determinants impacting the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regulatory influence,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37(3), 79-94. 

  15. Kim, Y. S., Yoo, H. S., and Kim, S. C. (2015), A study on the method for promoting acceptance on performance management : focusing on the public enterprises practices,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40(1), 185-198. 

  16. King, W. R. (1978), Strategic planning fo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MIS quarterly, 27-37. 

  17. Lederer, A. L. and Sethi, V. (1988), The implementation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planning methodologies, MIS quarterly, 445-461. 

  18. Lee, C. and Cho, K. (2014), Efficiency analysis and strategic portfolio model of national health technology R&D program using DEA : focused on translational research,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40(2), 172-183. 

  19. Lee, S. (2013), Policy on medical quality and patient safety, Proc. of Korean Academy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Conference, 41-55. 

  20. Lee, S., Park, H., Kim, J., Hwang, H., Cho, E., Kim, Y., and Ha, K. (2012), Physicians' perceptions and use of a health information exchange : A pilot program in South Korea, Telemedicine and e-Health, 18(8), 604-612. 

  21. Mars, M. and Scott, R. E. (2010), Global e-health policy : a work in progress. Health Affairs, 29(2), 237-243.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Government 3.0 Implementation Pl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23. National eHealth Promotion Bureau (2007), Public Health Informatiz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24. National Health Service (2013), Guide to the Healthcare System in England : Including the Statement of NHS Accountability, National Health Service, England. 

  25.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3a), IT Issues Weekl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6.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3b), National Information White Paper,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7. OECD (2012), Internet Economy Outlook,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8. Oh, Y. and Yoon, S. (2015), National Health Expenditure Trends and sustainable health policy direction : Under the control of appropriate medical care quality improvement measures,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29. Park, H., Lee, S., Kim, Y., Heo, E., Lee, J., Park, J. H., and Ha, K. (2013), Patients' perceptions of a health information exchange : A pilot program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 of Medical Informatics, 82, 98-107. 

  30. Ruohonen, M. (1991), Stakeholders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planning : theoretical concepts and empirical examples, Journal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1(1), 15-28. 

  31. Shin, H., Yoon, J., Lee, S., and Ha, S. (2012), Efficient Management of Health Insurance Expenditures on the Elderl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2. Statistics Korea (2013), The cause of death in 2012, Statistics Korea. 

  33. Statistics Korea (2015), Statistics o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tatistics Korea. 

  34. The Australian Council on Healthcare Standards Health Services Research Group (2014), Australian Clinical Indicator Report 2006-2013, 15th edition, ACHS. 

  35. The Office of the National Coordinator for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2011), Federal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Strategic Plan 2011-2015, The Office of the National Coordinator for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36. The Office of the National Coordinator for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2013), Federal Health IT Strategic Plan Progress Report, The Office of the National Coordinator for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37. WHO and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Japan (2012), Health Service Delivery Profile-Japan 2012. 

  38. WHO-ITU (2012), National eHealth Strategy Toolkit, WHO-IT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