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DL Cholesterol 또는 Total Cholesterol의 적용에 따른 Framingham Risk Score와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 평가
The Assessment of Framingham Risk Score and 10 Year CHD Risk according to Application of LDL Cholesterol or Total Cholesterol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48 no.2, 2016년, pp.54 - 61  

권세영 (대구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  나영악 (대구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증가하고 있는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연구와 함께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는 평가도구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Framingham risk score (FRS)는 여러 선행 연구에서 그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들의 LDL 콜레스테롤과 총 콜레스테롤의 적용에 따른 FRS의 점수 차이를 살펴보고, 두 변수의 선택 적용에 따른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의 판정에 대한 일치도를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 중 심혈관질환 진단을 받은 자를 제외한 1,530명(남성 755명, 여성 775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LDL 콜레스테롤 또는 총 콜레스테롤 중에 어떤 항목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FRS와 심혈관질환의 10년 예측위험도는 차이가 있었다. 남녀 모두 FRS는 LDL 콜레스테롤 적용 점수 보다 총콜레스테롤 적용 점수가 더 높았다. 위험도 10% 미만의 저위험군, 10~19%의 중등도 위험군, 20% 이상의 고위험군 분류에서 남성 106명, 여성 26명의 판정이 일치하지 않았다. 코헨의 카파 계수는 남성의 경우 0.718, 여성의 경우 0.884로 나타나 여성의 경우 더 높은 일치성을 보였다. 심혈관질환의 10년 예측위험도와의 관련성에서도 LDL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회귀식 보다 총 콜레스테롤을 포함한 회귀식에서 남녀 모두 설명력이 더 높아 총 콜레스테롤을 반영한 FRS 산출과 10년 예측 위험도의 평가가 더 상관성이 더 높고, 더불어 남성 보다는 여성에서 더 일치하는 결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udies on assessment tools for predicting cardiovascular disease risk (CDR), along with the studies to prevent CDR have been consistently reported. The validity of the Framingham risk score (FRS), a commonly known tool, has been verified through the precedent studi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LDL 콜레스테롤 또는 총 콜레스테롤 중에 어떤 항목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각 항목별로 부여된 점수는 차이가 있으므로[9], 이 합산 점수를 토대로 산출되는 심혈관질환의 10년 위험도에 대한 예측치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 판단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들의 LDL 콜레스테롤과 총 콜레스테롤의 적용에 따른 FRS의 점수 차이를 살펴보면서, 두 변수의 선택 적용에 따른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의 판정에 대한 일치도를 평가해 보고, 위험도와 관련 인자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콜레스테롤과 FRS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된 동기는? 그러나, LDL 콜레스테롤 또는 총 콜레스테롤 중에 어떤 항목을 적용하느냐에 따라 각 항목별로 부여된 점수는 차이가 있으므로 [9], 이 합산 점수를 토대로 산출되는 심혈관질환의 10년 위험도에 대한 예측치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 판단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들의 LDL 콜레스테롤과 총 콜레스테롤의 적용에 따른 FRS의 점수 차이를 살펴보면서, 두 변수의 선택 적용에 따른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의 판정에 대한 일치도를 평가해 보고, 위험도와 관련 인자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세계보건기구의 통계에 따른 2012년 심혈관계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세계보건기구의 통계에 따르면 2012년 심혈관계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1,750만 명이었으며, 그 중에서 허혈성 심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740만 명으로 10대 주요 사망 질환 중에서도 가장 많았다[1]. 또한 국내 통계자료에서도 2014년 한 해 동안 순환기계통질환 사망자수는 57,815명이었고, 사망률은 인구 100,000명 당 113.
본 연구의 통계분석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분석 전에 층화변수와 집락변수, 검진조사 항목의 가중치 변수를 포함한 계획파일을 작성한 후에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7.0 (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p값 0.05 미만으로 정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Deaths: Top 10 cause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cited 2016 January 10] Available: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0/en/index2.html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4 Cause of death web statistics system [Internet]. Seoul: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5 [cited 2016 January 1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 

  3. Emberson JR, Whincup PH, Morris RW, Walker M. Re-assessing the contribution of serum total cholesterol, blood pressure and cigarette smoking to the aetiology of coronary heart disease: impact of regression dilution bias. Eur Heart J. 2003;24(19):1719-1726. 

  4. Shin KA, Kim HY, Kim NJ. Association between exercise capacit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obesity types in adult man. Korean J Clin Lab Sci. 2013;45(3):96-101. 

  5. Jin BH, Han MH. Comparison of clinical laboratory data and prevalence according to arterial stiffness in stroke patients. Korean J Clin Lab Sci. 2014;46(4):143-149. 

  6. Pearson TA, Blair SN, Daniels SR, Eckel RH, Fair JM, Fortmann SP, et al. AHA guidelines for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stroke: 2002 update. Circulation. 2002;106(3):388-391. 

  7.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JAMA. 2001;285:2486-2497. 

  8. Emberson JR, Whincup PH, Morris RW, Walker M, Ebrahim S. Evaluating the impact of population and high-risk strategies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Eur Heart J. 2004;25(6):484-491. 

  9. Wilson PWF, D' Agostino RB, Levy D, Belanger AM, Silbershatz H, Kannel WB. Predic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s using risk factor categories. Circulation. 1998;97:1837-1847. 

  10. Murray CJ, Lauer JA, Hutubessy RC, Niessen L, Tomijima N, Rodgers A, et al. Effectiveness and costs of intervention to lower systolic blood pressure and cholesterol: A global and regional analysis on reduction of cardiovascular-disease risk. Lancet. 2003;361(9359):717-725. 

  11. Ford ES, Giles WH, Mokdad AH. The distribution of 10-Year risk for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US adults: finding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II. J Am Coll Cardiol. 2004;43:1791-1796. 

  12. Assmann G, Cullen P, Schulte H. Simple scoring scheme for calculating the risk of acute coronary events based on the 10-year follow-up of the prospective cardiovascular Munster (PROCAM) study. Circulation. 2002;105(3):310-315. 

  13. Mancia G, Fagard R, Narkiewicz K, Redon J, Zanchetti A, Christiaens T, et al. 2013 ESH/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The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ESH) and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J Hypertens. 2013;31:1281-1355. 

  14.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Risk assessment for the prevention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at workplace (KOSHA Code H-1-2013) [Internet]. Seoul: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3 [cited 2016 January 15]. Available from: http://www.kosha.or.kr/info/getKoshaCodeGuideList.do. 

  15. Versteylen MO, Joosen IA, Shaw LJ, Narula J, Hofstra L. Comparison of Framingham, PROCAM, SCORE, and Diamond Forrester to predict coronary atherosclerosis and cardiovascular events. J Nucl Cardiol. 2011;18(5):904-911. 

  16. D'Agostino RB Sr, Grundy S, Sullivan LM, Wilson P; CHD Risk Prediction Group. Validation of the Framingham coronary heart disease prediction scores: results of a multiple ethnic groups investigation. JAMA. 2001;286(2):180-187. 

  17. Brindle PM, McConnachie A, Upton MN, Hart CL, Davey Smith G, Watt GCM. The predictive accuracy of the Framingham risk score in different socio-economic groups: a large prospective study. Br J Gen Pract. 2005;55(520):838-845. 

  18. Brindle PM, Beswick AD, Fahey T, Ebrahim SB. The accuracy and impact of risk assessment in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 systematic review. Heart. 2006;92(12):1752-1759. 

  19. Kim MB, Park WJ, Jang KH, Lee DK, Chae HJ, Moon JD. Comparison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ssessment tools by using coronary CT angiograph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0;22(2):102-113. 

  20. Um IY, Choi WJ, Lee D, Oh JS, Yi MK, Yoon JW, et al. Risk assessment for cardiovascular diseases in male workers: comparing KOSHA guidelines and the framingham risk score system.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2;24(4):365-374. 

  21. Viera AJ, Garrett JM. Understanding interobserver agreement: The kappa statistic. Fam Med. 2005;37(5):360-363. 

  22. Grundy SM, Pasternak R, Greenland P, Smith S, Fuster V. Assessment of cardiovascular risk by use of multiple-risk-factor assessment equations. Circulation. 1999;100:1481-1492. 

  23. Kim HJ, Min HG, Kim YL, Lee SK. Correlation between serum homocysteine level and framingham risk score. Korean J Fam Pract. 2014;4(3):227-231. 

  24. Park KO, Seo JY.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influencing the framingham risk score-coronary heart disease by BMI.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4;25(4):248-258. 

  25. Kim YK, Kim DM, The relation of pulse wave velocity with framingham risk score and SCORE risk score. Korean Circ J. 2005;35(1):22-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