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종합병원의 감염관리 현황
Status of Infection Control in Jeju-area General Hospital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48 no.2, 2016년, pp.130 - 136  

정무상 (제주한라대학교 임상병리과) ,  이규택 (제주한라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지역 종합병원 감염관리 현황을 조사하여, 병원감염관리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감염관리 실무자로서 임상병리사의 역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위치한 종합병원 7개 기관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현황을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제주지역 의료기관의 감염관리는 모든 기관이 감염관리실을 운영하고 전담인력을 구성하고 병원감염관리지침을 보유하고 수행하는 우수한 점을 보였지만, 대부분의 기관이 간호사 1인 구성의 감염관리실을 운영하여 전담인력 확보 및 미생물 관련 배양 판독, 다제내성균의 출현빈도, 감염통계 등 미생물 검사에 대한 내용을 보고 받는데 많은 부분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이에 감염관리의 실질적인 업무를 담당할 수 있는 임상병리사가 의료법 시행규칙에 있는 감염관리에 경험과 지식이 있는 사람으로 충분한 자질과 경험이 있다고 생각되며 감염관리실을 운영함에 있어 감염관리간호사와 미생물에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임상병리사(감염관리임상병리사)가 전담자로서 업무를 수행한다면 지금보다 더욱 발전된 감염관리실 운영이 될 것으로 보이며, 향후 감염관리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으로 종합병원을 비롯한 취약한 중소병원의 감염관리에 대한 전폭적 지원과 감염관리 전문 의료시스템 도입이 중요한 과제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analyze the infection management status of Jeju-area general hospitals, and in order to convey the importance of infection management, and to determine role plans of medical technologists as infection management staff, the infection management status was ex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최근 들어 종합병원뿐만 아니라 200병상 미만의 중ㆍ소형 병원의 감염관리 현황 파악과 체계적인 감염관리 활동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며, 의료관련감염관리 활동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실태를 조사 하는 것은 국내 감염관리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하겠다[13]. 이에 본 연구는 제주지역 종합병원 감염관리 현황을 조사하여, 병원감염관리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감염관리 실무자로서 임상병리사(감염관리임상병리사; Infection Control Medical Technologist, ICMT; Infection Control Microbiological Technologist, ICMT)의 역할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관련감염은 무엇을 말하는가? 또한 메르스에 이어 지카 바이러스까지 전 세계적으로 바이러스 공포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 지속되어 병원감염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의료관련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은 입원 시에 존재하지 않았고, 잠복기도 아닌 상태에서 의료기관에 입원 중에 발병한 감염으로 흔히 입원 48시간 후에 발생된 감염을 말한다[1]. 의료관련감염은 경제적, 윤리적, 사회적 측면 등 많은 부분에서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으며, 법정 감염병 중 지정 감염병에 속하는 의료관련감염병인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multi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MRPA),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RAB),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에 의한 감염의 증가와 관련되어 병원감염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2].
의료관련감염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어떤 배경 때문인가? 의료관련감염은 경제적, 윤리적, 사회적 측면 등 많은 부분에서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으며, 법정 감염병 중 지정 감염병에 속하는 의료관련감염병인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multi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MRPA),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RAB),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에 의한 감염의 증가와 관련되어 병원감염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2]. 또한 현대의 의료 환경은 새로운 항생제가 개발되고, 각종 소독제가 사용되며 장갑과 가운 등 보호장구의 착용이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항암 요법의 발달, 면역억제제 사용 등으로 인한 면역 기능 저하 환자의 증가, 침습적 시술의 보편화, 항균제 내성 균주의 증가 등으로 인해 병원감염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3]. 대표적인 의료관련감염은 요로감염, 폐렴, 수술 부위 감염, 혈관 내 카테터 관련 감염 등이 있는데 메르스는 특수한 상황이기는 하지만 의료관련감염 범주에 넣는다면 폐렴 범주 안에 들어갈 수 있다[4].
법정 감염병 중 지정 감염병에 속하는 의료관련감염병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의료관련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은 입원 시에 존재하지 않았고, 잠복기도 아닌 상태에서 의료기관에 입원 중에 발병한 감염으로 흔히 입원 48시간 후에 발생된 감염을 말한다[1]. 의료관련감염은 경제적, 윤리적, 사회적 측면 등 많은 부분에서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으며, 법정 감염병 중 지정 감염병에 속하는 의료관련감염병인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multidrug-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MRPA),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RAB),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에 의한 감염의 증가와 관련되어 병원감염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2]. 또한 현대의 의료 환경은 새로운 항생제가 개발되고, 각종 소독제가 사용되며 장갑과 가운 등 보호장구의 착용이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항암 요법의 발달, 면역억제제 사용 등으로 인한 면역 기능 저하 환자의 증가, 침습적 시술의 보편화, 항균제 내성 균주의 증가 등으로 인해 병원감염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DC. CDC/NHSN Surveillance definitions for specific types of infections [internet]. US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cited 2016 March 21]. Available from: http://www.cdc.gov/nhsn/pdfs/pscmanual/17pscnosinfdef_current.pdf. 

  2. CDC. Antibiotic resistance threats in the United States, 2013 [internet]. US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cited 2016 March 21]. Available from: http://www.cdc.gov/drugresistance/threat-report-2013/pdf/ar-threats-2013-508.pdf. 

  3. Yun KO, Kim HY. A study regarding bacterial contamination of surfaces in dental offices. Korean J Clin Lab Sci. 2015;47:279-285. 

  4. Lee JK. Hospital infection control system improvement - Hospital infection control system enhanced.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5;13:155-158. 

  5. Kim Y. Hospital infection control system improvement - Hospital and health care utilization culture for infection control.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5;13:159-161. 

  6. Oh HS, Chung HW, Kim JS, Cho SI. National survey of the status of infection surveillance and control programs in acute care hospitals with more than 300 beds in the Republic of Korea. Am J Infect Control. 2006;34:223-233. 

  7. Jeong JS, Yoon SW, Park ES, Kim KM, Yoo SY, Jeong IS, et al. The present situation of infection control professionals, organization, and activities in Korean acute care general hospitals.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6;11:58-69. 

  8. Kim YA, Lee HM, Lee KW. Contamination of the hospital environmental by pathogenic bacteria and infection control.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2015; 20:1-6. 

  9. Korean society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KOSNIC].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4th ed. Seoul: Hanmi medical publishing company; 2011. p3-8. 

  10. The Steering Committee of the Korean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Korean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KONIS) report: data summary from July 2013 through June 2014[Internet]. Chungcheongbuk-do: The Korean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2014 [cited 2016 March 21]. Available from: http://konis.cdc.go.kr/konis/sub/reports_icu.htm. 

  11. Barsanti MC, Woeltje KF. Infection preven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Infectious Disease Clinics of North America. 2009;23:703-725. 

  12. Cosgrove SE.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patient outcomes: mortality, length of hospital stay, and health care costs.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2006;42(2):82-89. 

  13. Kim KM, Kim HJ. Nationwide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infection control in oriental medical hospital.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2011;16:63-69. 

  14. Choi JS, Kim MR, Kim YH, Huh AJ, Kim KS.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in the hospital management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by different isolation policies.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2005;10:73-77. 

  15. Siegel JD, Rhinehart E, Jackson M, Chiarello L.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Management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in healthcare settings. Am J Infect Control. 2007;35(Suppl):S165-193. 

  16. Park YJ, Jeong JS, Park ES, Shin ES, Kim SH, Lee YS. Survey on the infection control of multidrug-resistant microorganisms in general hospitals in Korea.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2007;12:112-121. 

  17. Yang BS. Rapid detection of vancomycin-resistance Enterococci by SYBR green real-time PCR. Korean J Clin Lab Sci. 2014;46:64-67. 

  18. Jeong SY, Kim OS, Lee JY. The status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mong healthcare facilities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12(5):353-366. 

  19. Kang MW. National survey and development of standardized practice on the infection control in Korea.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4. p101-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