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북 지역의 사과, 배, 복숭아, 포도, 자두과원의 잡초 발생 분포 및 우점도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 Occurrence on Orchards of Apple, Grape, Peach, Pear, and Plum of Gyeongbuk Province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5 no.2, 2016년, pp.51 - 59  

김상국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작물육종과) ,  신종희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작물육종과) ,  김세종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작물육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5년 2월부터 8월까지 경상북도 12개 시군에서 경북 지역의 주요 과수인 사과, 포도, 복숭아, 포도, 자두 과원에 발생되는 잡초종을 동계잡초와 하계잡초로 나누어 우점도를 조사하였다. 사과 과원에서는 36과 105종, 포도 과원 34과 126종, 복숭아 과원 34과 126종, 배 과원 33과 98종, 자두 과원 36과 111종이었다. 과원별 우점도는 사과 과원의 경우 이년생 잡초 6.09%, 포도 과원의 경우 이년생 잡초 7.32%, 복숭아 과원의 경우 일년생 잡초 4.74%, 배 과원의 경우 일년생 잡초 6.57%, 자두 과원의 경우 이년생 잡초 5.38%였다. 주요 과원별 동계잡초에 대한 과와 종수는 사과 과원 31과 89종, 포도 과원 28과 71종, 복숭아 과원 32과 111종, 배 과원 27과 68종, 자두 과원 33과 83종이었고 하계잡초에 대한 과와 종수는 사과 과원 31과 101종, 포도 과원 27과 69종, 복숭아 과원 29과 91종, 배 과원 31과 94종, 자두 과원 31과 97종이였다. 주요 과원별 동계 우점잡초는 사과 과원(냉이), 배 과원(별꽃), 복숭아 과원(냉이), 포도 과원(냉이), 자두 과원(망초)이었고, 하계우점잡초는 사과 과원(깨풀), 배 과원(쑥), 복숭아 과원(강아지풀), 포도 과원(강아지풀), 자두 과원(강아지풀)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conducted to get a information on the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s occurred in major orchards including apple, grape, peach, pear, and plum at 631 sites of Gyeongsangbuk-do during winter and summer season. The weeds classified by family and life cycle occurred in the five orch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경북 지역 12개시·군에서 주요 과원을 대상으로 잡초 발생 분포 양상을 조사하여 금후 효율적인 잡초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잡초 조사에 대한 기초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경북지역은 전국 과수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과수 종류도 다양하게 재배되고 있어 과원에 발생하는 잡초 조사는 향후 고품질 과수 생산과 친환경 재배를 위한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 잡초 조사는 특정한 지역, 연차별 일정한 조사시기로 실시되어야 잡초 종의 종수, 우점도, 발생 양상 등의 변화를 파악하여 잡초 방제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Kim et al.
잡초 조사가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하기 위한 조건은? 경북지역은 전국 과수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과수 종류도 다양하게 재배되고 있어 과원에 발생하는 잡초 조사는 향후 고품질 과수 생산과 친환경 재배를 위한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 잡초 조사는 특정한 지역, 연차별 일정한 조사시기로 실시되어야 잡초 종의 종수, 우점도, 발생 양상 등의 변화를 파악하여 잡초 방제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Kim et al., 2012).
효율적인 잡초 방제 체계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는 이유는? 아울러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강수량, 일사량 등의 변화는 밭 작물의 생육 및 분포에 영향을 주므로 체계적인 잡초방제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작물을 재배하는데 있어 잡초의 발생 분포와 잡초 종 변화를 미리 파악하여 제초제를 효율적이고 적절하게 사용한다면 작물의 품질향상, 노동력 절감 및 생태계의 지속적인 유지와 안정 효과도 기대할 수가 있다(Hwang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fi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 Wien-New York, USA. p. 865. 

  2. Chang, Y.H., Kim, C.S. and Youn, K.B. 1990. Weed occurrence in upland crop fields of Korea. J. Weed Sci. 19(4):294-304. (In Korean) 

  3. Hwang, K.S., Won, O.J., Park, S.H., Eom, M.Y., Suh, S.J., et al. 2013. A survey of weeds occurrence on paddy fields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Weed Turf. Sci. 2(4):341-347. (In Korean) 

  4. Kim, C.S., Lee, J.R., Won, T.J., Seo, Y.H., Kim, E.J., et al. 2012. Factfinding survey on occurrence of paddy field weed and the use of paddy field herbicide at farmer's level in Korea. Weed Turf. Sci. 2(1):6-12. (In Korean) 

  5. Kim, K.U. and Shin, D.H. 2007. The principles of weed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 Press, Daegu, Korea. pp. 80-81. 

  6. Kim, S.K. and Kim, H.K. 2014. A survey of weeds occurrence on paddy fields in Gyeongbuk province in Korea. Weed Turf. Sci. 3(1):6-12. (In Korean) 

  7. Kim, S.K., Shin, J.H., Park, S.G. and Kim, S.J. 2015.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 occurrence on onion, garlic, potato, and barley fields of Gyeongbuk province. Weed Turf. Sci. 4(2):77-84. (In Korean) 

  8. Kim, D.S. and Park, S.H. 2009. Weed of Korea second edition revised and enlarged. Rijeon Agricultural Resources Publications. Seoul, Korea. 

  9.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Pochen, Gyeonggi-do, Korea. 

  10. Park, J.E., Lee, I.Y., Park, T.S., Lim, S.T. and Moon, B.C. 2003.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upland field. Korean J. Weed Sci. 22(3):272-279.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