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잔디-애기자운군집(신칭): 애기자운 최남단 분포 개체군의 군락분류와 군락지리
A New Association of Gueldenstaedtio-Zoysietum japonicae: A Syntaxonomical and Syngeographical Description of the Southernmost Population of Gueldenstaedtia verna in South Korea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6 no.1, 2017년, pp.40 - 54  

이정아 (계명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김종원 (계명대학교 생명과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 장례 문화의 봉분 무덤은 적절한 관리에서 지속되는 잔디(Zoysia japonica) 뗏장을 바탕으로 하는 독특한 서식처이다. 본 연구는 지리적으로 최남단 분포의 애기자운이 출현하는 잔디 우점 이차초원식생에 대한 군락분류학적 기재이다. 현지 식생조사와 식생조사표 모둠화를 통한 단위식생의 추출은 Z.-M.학파의 식물사회 분류법을 따랐다. 유형화된 단위식생은 생태식물상 형질 분석과 선행 기재 단위식생과의 종조성적 비교가 성취되었다. 잔디-애기자운군집(신칭)이 처음으로 기재되었고, 김의털아군집, 전형아군집, 토끼풀아군집의 하위단위를 포함한다. 이들 아군집은 접근성과 관리양식에 대응한 종조성의 차이에서 구분되었다. 본 군집은 <지역생물기후구-대구형> 속에서 강한 대륙성 환경조건을 갖춘 미세 서식처에서만 분포하는 지역(regional) 식생형이면서 국지(local) 식생형으로 규정되었다. 잔디-애기자운군집은 대륙형 이차초원식생 가운데 한국인의 봉분 문화에 잇닿은 '뗏장초원식생'이고, 해양형의 잔디군단(억새군강, 양지사초군목)과 전혀 다른 식생형인 것으로 밝혀졌다. 잔디 우점의 이차초원식생일지라도 초지의 식물종다양성과 잔디-애기자운군집의 현지내 보존을 위하여 봉분을 포함한 뗏장에 대한 서식처로서의 이해와 적절한 생태적 관리가 요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und grave of Korean traditional funeral culture is a unique habitat which is a Zoysiagrass lawn being sustainable in proper management. We phytosociologically described an unusual Zoysiagrass vegetation with Gueldenstaedtia verna by the Zü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and analyzed eco-flo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애기자운은 중국, 몽골, 러시아 등지에서도 그 분포가 알려져 있지만(Zhu, 2004) 한반도 내에서는 주로 북한(양강도, 평안남북도, 황해도 북부) 지역에 분포한다(Mori, 1921;Kitagawa, 1939; Chung, 1957; Do and Yim, 1988). 본 연구는 애기자운의 식물지리학적 최남단 분포 개체군이 출현하는 잔디 우점 식생(Kim, 2001)에 대한 군락분류학적 기재이며, 봉분을 포함하는 초원식생에 대한 사실상의 식물사회학적 첫 연구이다.
  • 전통 장례 문화의 봉분 무덤은 적절한 관리에서 지속되는 잔디(Zoysia japonica) 뗏장을 바탕으로 하는 독특한 서식처이다. 본 연구는 지리적으로 최남단 분포의 애기자운이 출현하는 잔디 우점 이차초원식생에 대한 군락분류학적 기재이다. 현지 식생조사와 식생조사표 모둠화를 통한 단위식생의 추출은 Z.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씀바귀(Ixeris chinensis subsp. strigosa)의 오동정의 개연성이 높은 이유는? 또한 씀바귀아군집은 적극적으로 관리되는 정원 잔디밭으로부터 씀바귀를 유일한 구분종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씀바귀(Ixeridium dentatum)는 해양성 기후 지역의 일본 열도 전역에 광분포 하는 종(Nakagawa and Ito, 2009; Kim, 2016)으로 대륙성 기후의 한반도에서 그것도 더욱 건조한 북한지역의 잔디밭에서의 출현은 오히려 드문 일이다. 따라서 선씀바귀(Ixeris chinensis subsp.
무덤 봉분이란? 무덤 봉분은 세계적으로도 특이한 한국인의 문화이다. 그런 봉분은 전국적으로 분포하면서 생태적으로 분명한 하나의 서식처이다. 인위적인 잔디 식재로부터 생겨난 서식처로서 주기적인 벌초에 대응하는 독특한 식물사회(phytocoenon)가 발달한다. 이러한 잔디(Zoysia japonica) 우점 초원식생의 키 작은 여러해살이 화본형(多年生 矮生 禾本型) 이차초원식생형으로 크게 다섯 가지 식물군락형의존재가 제시된 바 있다(Kim, 2016).
단층 구조의잔디-애기자운군집과 구별되는 이유는? koenigii)의 침투가 관찰된다. 하지만 띠 우점 이차초원식생은 2층 구조의 화본형 식물군락이기 때문에 단층 구조의잔디-애기자운군집과 구별된다. 한편 한해살이식물인 벼룩이자리의 높은 기여도는 일부 식분이 갖는 미소서식처의약습 수분 환경을 반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Akeroyd, J. and Page, J. 2011. Conservation of High Nature Value (HNV) grassland in a farmed landscape in Transylvania, Romania. Contrib. Bot. 46:57-71. 

  2. Apostolova, I., Dengler, J., Di Pietro, R., Gavilan, R.G. and Tsiripidis, I. 2014. Dry grasslands of Southern Europe: Syntaxonomy, management and conservation. Hacquetia 13(1):5-18. 

  3. Arai, R. and Okubo, K. 2014. Current status of the remaining seminatural grasslands in Iwate Prefecture and a comparison with past ones on conservation ecology. Japanese Assoc. Reveg. Technol. 40(1):142-147. 

  4. Blazkova, D. 1993. Phytosociological study of grassland vegetation in North Korea. Folia Geobot. 28(3):247-260. 

  5. Braun-Blanquet, J. 1965.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Fuller, G.D. and Conrad, H.S. (Trans.). Hafner, New York, USA. 

  6. Bredenkamp, G.J., Brouwn, L.R. and Pfab, M.F. 2006. Conservation value of the Egoli granite grassland, an endemic grassland in Gauteng, South Africa, Koedoe 49(2):59-66. 

  7. Choi, B.K. 2014. Actual vegetation of Dodamsambong (Scenic Site no. 44) and Danyangseokmoon (Scenic Site no. 45) in Danyang-gun. JKITLA 32(2):116-123. (In Korean) 

  8. Chung, T.H. 1957. Korean flora. Part II. Herbs. Sinji-sa, Seoul, Korea. (In Korean) 

  9. Do, B.S. and Yim, R.J. 1988. Illustrated plant book. Scientific Publ., Pyonyang, North Korea. (In Korean) 

  10. Doust, L.L. 1981. Population dynamics and local specialization in a clonal perennial (Ranunculus repens): I. The dynamics of ramets in contrasting habitats. J. Ecol. 69(3):743-755. 

  11. ESRI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 2005. ArcGIS 9. What Is ArcGIS 9.1. ESRI Press, California, USA. 

  12. GeiBbelbrecht-Taferner, L. and Mucina, L. 1995. Vegetation der Brachen am Beispiel der Stadt Linz. Vol. 38. Botan. Arbeitsgemeinschaft am Oo, Landesmuseum Linz, Osterreich. 

  13. Itow, S. 1970. Centello-Zoysietum japonicae, a grazed grassland community in Kyushu, Japan. Japanese J. Ecol. 20(2):53-59. 

  14. KBIS (Korean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2016. Illustrated plant book. http://www.nature.go.kr/ (Accessed Nov. 13, 2016). 

  15. Keppel, G., Van Niel, K.P., Wardell­Johnson, G.W., Yates, C.J., Byrne, M., et al. 2012. Refugia: identifying and understanding safe havens for biodiversity under climate change. Glob. Ecol. Biogeogr. 21(40):393-404. 

  16. Kim, H.S. 1998. Antimircobial ac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Amblytropis verna pauciflora Kitagawa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5):993-999. (In Korean) 

  17. Kim, J.W. 1989.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Hokkaido vegetation, Japan. Kor. J. Ecol. 12(2):109-122. (In Korean) 

  18. Kim, J.W. 2001.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mblytropis verna population in the Daegu region. J. Inst. Nature Sci., Keimyung Univ. 20(2):49-56. (In Korean) 

  19. Kim, J.W. 2004. Vegetation ecology. World Science Publ. Ltd., Seoul, Korea. (In Korean) 

  20. Kim, J.W. 2016. The plant book of Korea Vol. 2. Plants living on the grasslands. Nature & Ecology, Seoul, Korea. (In Korean) 

  21. Kim, J.W., Ahn, K.H., Lee, C.W. and Choi, B.K. 2011a. Plant communities of Upo wetland. Keimyung Univ. Press, Daegu, Korea. (In Korean) 

  22. Kim, J.W. and Choi, B.K. 2012. Discovering the essence of the Korean vegetation for field excursion-The spirit of place, Korea-. World Sciences Publ. Ltd., Seoul, Korea. (In Korean) 

  23. Kim, J.W. and Manyko, Y.I.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 J. Ecol. 17:391-413. 

  24. Kim, J.W. and Lee, Y.K.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 sciences Publ. Ltd., Seoul, Korea. (In Korean) 

  25. Kim, J.W., Choi, B.K., Ryu, T.B. and Lee, G.Y. 2012. Application and assessment of national vegetation naturalness, pp. 81-172. In: Guideline for the 4th national survey for natural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on, Korea. (In Korean) 

  26. Kim, M.H., Han, M.S., Na, Y.E. and Bang, H.S. 2011b.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C4 plant list and distribution in South Korea: a review. Korean J. Agric. For. Meteorol. 13(3):123-139. (In Korean) 

  27. Kitagawa, M. 1939. Band IV Neo-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In: Tuxen, R. (Ed.) Flora et Vegetatio Mundi. J. Cramer. Vaduz, Liechtenstein. 

  28.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 Climate data. http://www.kma.go.kr/ (Accessed Dec. 27, 2016). (In Korean) 

  29.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Rare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30. Kolbek, J. and Jarolimek, I. 2008. Man-influenced vegetation of North Korea. Linzer Biol. Beitr. 40(1):381-404. 

  31. Kolbek, J. and Jarolimek, I. 2013. Vegetation of the northern Korean Peninsula: Classification, ecology and distribution. Phytocoenologia 43(3):245-327. 

  32. Kowarik, I. 1990. Some responses of flora and vegetation to urbanization in Central Europe, pp. 45-74. In: Sukopp, H. and Hejny, S. (Eds). 1990. Urban ecology: plants and plant communities in urban environments. SPB Academic Publishing, The Hague, Netherlands. 

  33. KPNIC (Korean Plant Names Index Committee). 2016. Plant list. http://www.nature.go.kr/ (Accessed Nov. 13, 2016). 

  34. Kruskal, J.B. 1964.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 numerical method. Psychometrika 29(2):115-129. 

  35. Kubota, H. and Shimano, K. 2010. Effects of ski resort management on vegetation. Landscape Ecol. Eng. 6(1):61-74. 

  36. Lee, T.B. 1993.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37. Lee, W.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In Korean) 

  38. Mori, T. 1921. An Enumeration of plants hitherto known from Korea. The Government of Chosen, Seoul, Corea. 

  39. Mucina, L. and Rutherford, M.C. (Eds.) 2006. The vegetation of South Africa, Lesotho and Swaziland. South African national Biodiversity Institute, Pretoria, South Africa. 

  40. Nakagawa, S. and Ito, M. 2009.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satellite loci in Ixeridium dentatum (Asteraceae, Lactuceae). J. Plant Res. 122:581-584. 

  41. Nicholson, E., Keith, D. and Wilcove, D. 2009. Assessing the threat status of ecological communities. Conserv. Biolo. 23(2):259-274. 

  42. Numata, M. 1965. Ecological judgement of grassland condition and trend I. -Judgement by biological spectra-. Japanese Soc. Grassl. Sci. 2(1):20-33. 

  43. Park, I.H., Cho, K.J., Lee, H.Y. and Jang, G.S. 2010. A study on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Amblyotropis verna habitats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J. Korean Env. Res. Tech. 13(5):51-58. (In Korean) 

  44. Ryu, T.B. 2012. Ecological classification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in South Korea. MS thesis, Keimyung Univ., Daegu, Korea. (In Korean) 

  45. Rodriguez, J.P., Rodrigues-Clark, K.M., Keith, D.A., Barrow, E.G., Benson, J. et al. 2012. IUCN red list of ecosystems. SPIES 5(2):60-70. 

  46. Schroeder, F. 1968. Zur klassifizierung der Anthropochoren. Vegetatio 16(5):225-238. 

  47. Srutek, M. and Kolbek, J. 1992. Species of artificial grasslands with Zoysia japonica Steud in Pyongyang, North Korea. Feddes Repertorium 103(3-4):215-234. 

  48. Suganuma, T. 1966.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the semi-natural grasslands used for grazing in Japan: 1. Classification of grazing land. Jap. Journ. Bot. 19(2):255-276. 

  49. Sukopp, H. 1969. Mit dem Einwirken des Menschen auf die Vegetation. Vegetatio 17:360-371. 

  50. Tichy, L. 2002. JUICE, software for vegetation classification. J. Vge. Sci. 13:451-453. 

  51. Tilman, D., May, R.M, Lehman, C.L. and Nowak, M.A. 1994. Habitat destruction and the extinction debt. Nature 371(1):65-66. 

  52. Weber, H.E., Moravec, J. and Theurillat, J.P. 2000. International code of Phytosociological nomenclature. 3rd edition. J. Vge. Sci. 11(5):739-768. 

  53. Westhoff, V. and van der Maarel, E. 1978. The Braun-Branquet Approach, pp. 617-726. In: Whittaker, R.H. (Ed.),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Dr. W. Junk, The Hague, Netherlands. 

  54. Wilson, J. and Lee, G. 1989. Infiltration invasion. Funct. Ecol. 3:379-382. 

  55. Zhu, X. 2004. A revision of the genus Gueldenstaedtia (Fabeceae). Ann. Bot. Fenn. 41(4):283-2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