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풍납토성 출토 동물뼈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백제시대의 가축사육 양상
Inferring Animal Husbandry Practice in the Baekje Period using Stable Isotope Analysis of Animal Bones from the Pungnaptoseong Fortress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2 no.2, 2016년, pp.179 - 188  

최현구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신지영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한지선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풍납토성 197번지 가-2호 수혈에서 출토된 소, 말, 돼지, 사슴 등 총 17개체에서 추출된 동물뼈 콜라겐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백제시대 가축사육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탄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백제시대에 가축으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소와 말은 사람이 잡곡류 경작의 부산물로 가축 사육을 하여 $C_4$ 작물의 섭취가 높았고, 야생 동물인 사슴과 돼지의 경우 $C_3$ 식물을 주로 섭취하였다는 의미 있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동물을 직접 사냥하지 않는 야생 멧돼지의 경우 초식동물과 비슷한 값을 보이는 반면, 질소 안정동위원소 값이 높은 그룹의 경우 사육으로 사람과 비슷한 식성을 갖는 집돼지라고 추정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a new information on animal husbandry practice in the Baekje period using stable isotope analysis of 17 animal bones excavated from the Pungnaptoseong Fortress. Stable carbon isotope evidence implies that wild animals such as deer and pigs had mainly $C_3$-based diet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사람이 C4 작물인 조, 기장 등 잡곡류 경작의 부산물로 가축을 사육했기 때문에 그 탄소 안정동위원소 정보가 사육했던 소와 말에서 나타났을 것이라 추정된다. 그렇다면 탄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백제시대에 과연 조, 기장 등 C4 작물이 재배되었고, 실제 소와 말 등이 가축으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었는지 살펴보겠다. 백제시대 관련 기록을 살펴보면, 『주서(周書)』「이역전(異域傳)」에서 쌀이 세금의 기준이 될 만큼 많이 경작되었고, 『위서(魏書)』에 백제에 오곡(五穀)이 있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볼 때 벼, 보리, 밀, 조, 기장, 콩, 팥 등 다양한 작물 재배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Kim, 2003; Shin and Lee, 2014).
  • 또한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돼지 4개체 내에서도 2.2‰에서 7.7‰까지 영양 단계에서 한 단계 이상 차이가 나는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를 바탕으로 동물을 직접 사냥하지 않는 야생 멧돼지의 경우 사슴 등 초식동물과 비슷한 δ15N 값을 보이는 반면, 사람과 비슷한 식성을 갖으면서 δ15N 값이 높은 그룹의 경우 사육된 집돼지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백제 한성기에 축조된 왕성급 토성인 풍납토성 197번지 가-2호 수혈에서 출토된 동물뼈 콜라겐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백제시대 가축사육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백제시대의 경우 출토 인골과 동물 뼈 자료가 많이 남아 있지 않아 그동안 식생활이나 가축 사육 양상 복원에 한계가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소, 말, 돼지, 사슴 등 4종류의 동물뼈 17개체를 그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출토 인골과 동물뼈 자료가 희박하여 그동안 식생활이나 가축 사육 양상 복원에 한계가 있었던 백제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동물뼈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풍납토성 197번지 가-2호 수혈에서 출토된 포유류인 소, 말, 돼지, 사슴 등 4종류의 동물뼈 17개체에서 추출된 뼈 콜라겐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당시 사람들의 가축 사육 양상에 관한 정보를 복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풍납토성 가-2호 수혈 출토 포유류 동물 뼈 18개체 중 보존 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1개체를 제외하고, 콜라겐 추출에 성공한 17개체에 대해서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Table 1과 Figure 2는 풍납토성 유적 출토 동물뼈의 안정동위원소 값을 나타낸다.
  • 본 연구에서는 출토 인골과 동물뼈 자료가 희박하여 그동안 식생활이나 가축 사육 양상 복원에 한계가 있었던 백제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동물뼈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풍납토성 197번지 가-2호 수혈에서 출토된 포유류인 소, 말, 돼지, 사슴 등 4종류의 동물뼈 17개체에서 추출된 뼈 콜라겐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당시 사람들의 가축 사육 양상에 관한 정보를 복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생종인 멧돼지와 사육종인 집돼지의 구분을 위해서 무슨 방법을 사용하는가? 특히 국내에서는 한반도에 야생종이 없는 소와 말과는 달리 멧돼지와 집돼지를 구분이 쉽지 않아 고고학 분야의 과제로 남아 있다(Kim, 2012). 야생종인 멧돼지와 사육종인 집돼지의 구분을 위해서 치아 계측, 두개골 형태 변화, 골격 크기 등 형질 분석과 더불어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등 생화학적 분석 방법의 적용 등이 시도되고 있다. 지금까지 많이 활용되었던 형질 변화의 경우 그 특징을 관찰할 수 있는 동물뼈의 부위가 남아 있지 않거나 가축 순화 초기에 형질적 차이가 크지 않아 이를 확인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Lee, 2011a; Kim, 2012).
동물뼈는 어떤 것을 연구하기 위한 자료인가? 동물뼈는 과거 사람들의 식생활, 가축 이용, 생계경제, 고환경 등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야생동물의 수렵에서 가축 사육으로의 변화는 농경의 시작 등 과거 사회의 큰 변화를 반영한다.
동물뼈를 이용한 연구에서 형질 변화 분석보다 뼈 콜라겐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이 뛰어난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비하여 뼈 콜라겐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은 섭취한 식료의 종류에 따라 그 특유의 안정동위원소 정보가 기록되며, 이론적으로 시간이 지나도 그 비율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뼈의 주인공이 생전에 섭취한 식료의 종류와 비중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탄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서는 C3 식물군(벼, 보리, 밀, 콩 등 δ13C = -34 ~ -22‰)과 C4 식물군(조, 피, 기장, 수수 등 δ13C = -20 ~ -9‰), CAM 식물군(파인애플 등)의 섭취 여부와 비중 등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 D.I., 2006, Dietary reconstruction by stable isotopic analysis: the Konam-ri shell midden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iety (Hanguk Sanggosa Hakbo), 54, 5-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y, K. and Richard, M.P., 2009, Stable isotope evidence of human diet at the Nukdo shell midden site, South Korea.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6, 1312-1318. 

  3. Choy, K. and Richard, M.P., 2010, Isotopic evidence of diet in the Middle Chulmun period: a case study from the Tongsamdong shell midden, Korea. Archa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Science, 2, 1-10. 

  4. Halley, D.J. and Rosvold, J., 2014, Stable isotope analysis and variation in medieval domestic pig husbandry practices in northwest Europe: absence of evidence for a purely herbivorous diet.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49, 1-5. 

  5. Jim, S., Ambrose, S.H. and Evershed, R.P., 2004, Stable carbon isotopic evidence for differences in the dietary origin of bone cholesterol, collagen and apatite: Implications for their use in palaeodietary reconstruction.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68, 61-72. 

  6. Kim, H.S., 2010, The age and dietary concerned about human remain of Daepo shell midden. Journal of the Korean Neolithic Society, 20, 89-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H.S., 2012, The Beginning of Pig Domestication and the Use of Domesticated Pigs in the Youngnam Region Based on Stable Isotop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Hanguk Kogo-Hakbo), 84, 4-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H.S. and Mishimoto, 2010, The domesticated animals of Kochon site -Focusing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wild boar and domesticated pig-. Journal of The East-Asia Culture, 9, 87-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K.S., 2003, A study of dietary life of Baekche people-Materials and Cooking-. The Paekche Yonku, 37, 1-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H.K., 2010,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rop assemblage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central Korea.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J.J., 2011a, Domesticated pig in Korea: its socioeconomic and symbolic context. Journal of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Hanguk Kogo-Hakbo), 79, 131-1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J.J., 2011b, Intensification of millet and rice agriculture in Korea -Evidence from stable isotopes-. Journal of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iety (Hanguk Sanggosa Hakbo), 73, 31-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Minagawa, M. and Matsui, A., 2002,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ic characterization of wild boar from Kimhae Hoehyeon-ri shell midden, Kimhae Hoehyeon-ri shell midden. Department of Archae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14. Minagawa, M., Matsui, A. and Ishiguro, N., 2005, Patterns of prehistoric boar Susscrofa demestication, and intere-islands pig trading across the East China Sea, as determined by carbon and nitrogen isotope analysis. Chemical Geology, 218, 91-102. 

  15.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9, Pungnaptoseong Fortress 6. (in Korean) 

  16. Oelze, V.M., Siebert, A., Nicklisch, N., Meller, H., Dresely, V. and Alt, K.W., 2011, Early Neolithic diet and animal husbandry: stable isotope evidence from three Linearbandkeramik (LBK) sites in Central German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8, 270-279. 

  17. Shin, J.Y. and Lee, J.J., 2009, Tracing Status-dependent Dietary Differences in the Silla Period through Stable Isotope Palaeodietary Reconstruction from Imdang, Gyeongsan. Journal of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Hanguk Kogo-Hakbo), 70, 84-1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Shin, J.Y. and Lee, J.J., 2014, Status and regional differences in the subsistence patterns of Baekje people: stable isotope evidence recorded in human bone collagen from Baekje stone-cist coffins. Journal of the Honam Archaeological Society (Honam Gogohakbo), 48, 103-1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Ugan, A. and Coltrain, J., 2011, Variation in collagen stable nitrogen values in black-tailed jackrabbits (Lepus Californicus) in relation to small-scale differences in climate, soil, and topograph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8, 1417-1429. 

  20. van Klinken G.J., 1999, Bone Collagen Quality Indicators for Palaeodietary an Radiocarbon Measurement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26, 687-695. 

  21. van Klinken, G.J. and Hedges, R.E.M., 1998, Chemistry strategies for organic 14C samples. Radiocarbon, 40, 51-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