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축형 회상기능척도(Reminiscence Function Scale-Short Form) 개발 :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Development of Reminiscence Function Scale-Short Form: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6, 2016년, pp.225 - 235  

차유진 (세명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집단에 총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단축형 회상기능척도(RFS-S)를 개발하고 정상노인 집단과 경도인지장애 집단에게 RFS-S를 시행하여 RFS-S의 내적신뢰도 및 준거타당도 검증과 인구학적 특성이 회상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65세 이상 정상대조군 60명, 경도인지자애군 58명으로 두 집단 간 일반적 특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문항 간 내적신뢰도는 0.63이었고, RFS-S와 이야기회상검사, 치매임상평가척도 박스총점과의 수렴타당도는 각 0.20(p<.05), -0.25(p<.001)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ROC 곡선 아래의 면적을 분석한 준거타당도 결과 0.68(p<.001)로 덜 정확한(less accurate) 검사로 최적 절단점은 17점이었고 이에 따른 민감도는 0.59, 특이도는 0.72였다.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회상기능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FS-S는 정상과 경도인지장애 차이를 판별하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진단 보조 도구이자 회상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는 유용한 도구임을 나타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Reminiscence Function Scale-Short Form(RFS-S) and verifying it as a supplemental diagnosis instrument to judge differences between normal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useful measure to rate effects of reminiscence therapy in the clinical field through internal c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편한 RFS-S를 개발하고 RFS-S의 내적신뢰도, 수렴타당도 및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인구학적 특성이 회상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RFS-S를 개발하고 내적신뢰도, 수렴타당도 및 준거타당도 검증을 통해 임상현장에서 정상 노인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차이를 판별하는 진단 보조 도구이자 회상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는 유용한 척도임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상노인 집단과 경도 인지장애 집단에게 시행하여 RFS-S의 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회상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노인 집단에 사용할 수 있는 RFS-S를 개발하고 내적신뢰도, 수렴타당도 및 준거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인구학적 특성이 회상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RFS-S의 내적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계수, 수렴타당도는 Pearson correlation 분석 그리고 준거타당도 검증은 ROC 곡선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정상노인과 경도인지장애 집단에게 RFS-S를 시행하여 내적타당도, 수렴타당도 및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고, 인구학적 특성이 회상기능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RFS-S를 개발하고 내적신뢰도, 수렴타당도 및 준거타당도 검증을 통해 임상현장에서 정상 노인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차이를 판별하는 진단 보조 도구이자 회상치료의 효과를 평가하는 유용한 척도임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상노인 집단과 경도 인지장애 집단에게 시행하여 RFS-S의 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회상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편한 RFS-S를 개발하고 RFS-S의 내적신뢰도, 수렴타당도 및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인구학적 특성이 회상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 따라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역학 연구나 임상 진료 현장에서 치매 선별 목적으로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는 여러 신경심리학적 검사들이 개발되어 왔다[13][14]. 이러한 신경심리학적 검사들은 그 검사 결과 자체만으로 치매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검사는 아니지만, 치매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기능 저하상태를 정상 기능 상태로부터 비교적 정확히 선별해 내는 것을 목표로 있다[15]. 치매 선별을 위해 전반적인 신경 심리학적 기능을 간편하게 추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도인지장애란? MCI라는 용어는 1991년 Flicker 등이 처음 사용하였는데 GDS=3, 단어회상, 시각-공간 회상능력, 시각재인 능력, 어휘와 이름대기, 물건분류능력 등의 신경심리검사에서 낮은 점수를 보이나 치매 증세는 없는 환자들이 이에 해당되었다[3]. 경도인지장애는 정상 노인에 비해 인지기능 저하가 임상적으로 치매의 기준에는 맞지 않는 상태를 일컫는 것으로, 과도기적 단계의 인지기능장애를 말한다[4][5]. 아직 치매는 아니지만 치매의 위험이 큰 상태로 최진영 등[6]은 경도인지장애가 치매로 발전하는 전조증상이라고 하였고, Summers 등[7]은 알츠하이머 질환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노년기 회상 개선의 기대 효과는? 회상(reminiscence)은 자기의 생을 되돌아보는 정신 과정으로 자기이해(self-understanding)를 증진시키려는 욕망에 의해 동기화되며 과거의 경험 중에서 의미 있는 것에 대해 하거나 이야기하는 것으로 들으려고 하는 사람이 있을 때 그 기전이 일어난다[18]. 노년기 회상의 기능이 주목되는 이유는 이를 개선시킴으로써 분노 및 슬픔, 무기력 등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의 해결을 촉진시키고 심리적 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19].
홍주연의 한국형 회상기능척도의 한계는? 홍주연[21]은 Webster[20] 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60세 이상 295명을 대상으로 매우 엄격한 절차를 거쳐 개발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27문항 9요인(무료함 감소, 자아탐색, 전수, 회한, 대화, 부재자 갈망, 회피, 죽음대비, 문제해결)으로 분류하였지만, 탐색적 요인분석만 실시 하였기 때문에[22] 회상기능척도의 집단 간 차이를 판별하는 준거타당도는 제시되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검사 실시 중 대다수의 노인들이 문항수가 많다는 지적을 하고 있고 지역사회보건 및 치매 분야의 연구에서도 거의 인용되지 않고 있다. 이에 홍주연[21]에 의해 개발된 회상기능척도를 9개의 요인을 유지하면서 문항수를 줄여 각 요인별 점수보다는 총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간편한 척도를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김상윤, "경도인지장애의 임상소견," 대한치매학회지, 제2권, 제2호, pp.96-100, 2003. 

  2. 홍정민, "치매와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0권, 제2호, pp.25-30, 2012. 

  3. R. C. Petersen, R. Doody, A. Kurz, R. C. Mohs, J. C. Morris, P. V. Rabins, K. Ritchie, M. Rossor, L. Thal, and B. Winblad, "Current concepts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rchives of Neurology, Vol.58, No.12, pp.1985-1992, 2001. 

  4. 최경규, 경도, "인지기능장애의 신경병리-노화, 알쯔하이머병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대한치매학회지, 제2권, 제2호, pp.101-107, 2003. 

  5. R. C. Petersen, G. E. Smith, S. C. Waring, R. J. Ivnik, E. Kokmen, and E. G. Tangelos, "Aging, memory,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9, No.1, pp.65-69, 1997. 

  6. 최진영, 문석우, 남범우, "경도인지장애에서 알츠하이머병의 경과와 연관된 신경정신학적 증상의 고찰," 정신병리학, 제18권, 제1,2호, pp.15-20, 2009. 

  7. M. J. Summers and N. L. J. Saunders, "Neuropsychological measures predict decline to Alzheimer's dementia from mild cognitive impairment," Neuropsychology, Vol.26, No.4, pp.498-508, 2012. 

  8. 국민건강보험공단 치매로 가기 전 경도인지장애, 최근 5년 진료환자수 4.3배 증가, 보건복지부, 서울, 2015. 

  9. A. Wimo and B. Winblad, Health economics of severe dementia, John Wiley & Sons, 2006. 

  10. 김지웅,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인지기능장애의 등급판정. 경북대학교 정책정보대학원, 대구, 2012. 

  11. 권용철, 박종한,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 신경정신의학회지, 제28권, 제1호, pp.125-135, 1989. 

  12. J. C. Morris, Handbook of Dementing Illness, Marcel Dekker, 1994. 

  13. R. Katzman, A. Peck, R. Schechter, P. Fuld, R. Schechter, and H. Schimmel, "Validation of a short orientation-memory-concentration test of cognitive impairment,"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 No.40, pp.734-739, 1983. 

  14. D. Robertson, K. Rockwood and P. Stolee, "A short mental status questionnaire," Canadian Journal on Aging, Vol.1, No.1-2, pp.16-20, 1982. 

  15. R. H. Fletcher, S. W. Fletcher and G. S. Fletcher, Clinical epidemiology: The essential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2. 

  16. M. C. Reid, M. S. Lachs, and A. R. Feinstein, "Use of methodological standards in diagnostic test research: Getting better but still not good,"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274, No.8, pp.645-651, 1995. 

  17. D. R. Gilford and J. L. Cummings, "Evaluating dementia screening test," Neurology, Vol.52, No.2, pp.224-227, 1999. 

  18. S. W. Quackenbush and M. A. Barnett, "Correlates of reminiscence activity among elderly individuals,"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Vol.41, No.2, pp.169-181, 1995. 

  19. M. I. Lewis and R. N. Butler, "Life-review therapy: Putting memories to work in individual and group psychotherapy," Geriatrics, Vol.29, No.11, pp.165-173, 1974. 

  20. J. D. Webste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the Reminiscence Functions Scale," Journal of Gerontology, Vol.48, No.5, pp.P256-P262, 1993. 

  21. 홍주연, "노년기 회상 (reminiscence) 기능에 관한 성차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5권, 제2호, pp.117-129, 2000. 

  22. 남향자, 노인 회상기능척도 및 회상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대구대학교 대학원, 경산, 2012. 

  23. K. J. Christensen, K. S. Multhaup, S. Nordstrom, and K. Voss, "A cognitive battery for dementia: Development and measurement characteristic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3, No.2, pp.168-174, 1991. 

  24. M. J. Baek, H. J. Kim, H. J. Ryu, S. H. Lee, S. H. Han, H. R. Na, Y. Chang, J. Y. Chey, and S. Kim, "The usefulness of the story recall test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Aging, Neuropsychology, and Cognition, Vol.18, No.2, pp.214-229, 2011. 

  25. P. Eslinger, A. R. Damasio, and A. L. Benton, The Iowa screening battery for mental decline, University of Iowa, 1984. 

  26. R. C. Petersen, "Mild cognitive impairment as a diagnostic entity,"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Vol.256, No.3, pp.183-194, 2004. 

  27. 신민영, 기억 감퇴 노인의 특징 및 치매 환자와 의 인지 기능 변화 양상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3. 

  28. 안효정, 최진영, "노인용 이야기 회상 검사의 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3권, 제2호, pp.435-454, 2004. 

  29. J. C. Morris, "The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Current version and scoring rules," Neurology, Vol.43, No.11, pp.2412-2414, 1993. 

  30. 우종인, 김기웅, 김성윤, 김주한, 우성일, 윤종철, 이강욱, 이군희, 한국판 CERAD 평가집,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31. Y. H. Choi and S. E. Kim,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ealth behavior practice of the aged,"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19, No.1, pp.119-130, 1999. 

  32. S. E. O'Bryant, S. C. Waring, C. M. Cullum, J. Hall, L. Lacritz, P. J. Massman, P. J. Lupo, J. S. Reisch, and R. Doody, "Staging dementia using Clinical Dementia Rating Scale Sum of Boxes scores: A Texas Alzheimer's research consortium study," Archives of Neurology, Vol.65, No.8, pp.1091-1095, 2008. 

  33. J. A. Hanley and B. J. McNeil, "The meaning and use of the area under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Radiology, Vol.143, No.1, pp.29-36, 1982. 

  34. C. E. Metz Basic principles of ROC analysis, Elsevier, WB Saunders, 1978. 

  35. 송상욱,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를 이용한 민감도와 특이도 측정," 가정의학회지, 제30권, 제11호, pp.841-842, 2009. 

  36. 박혜연, 최진영, 김상은, "이야기회상 검사의 신경학적 타당성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32권, 제3호, pp.465-480, 2013. 

  37. J. A. Hanley and B. J. McNeil, "A method of comparing the areas under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derived from the same cases," Radiology, Vol.148, No.3, pp.839-843, 1983. 

  38. 신경림, 강윤희, 정덕유, 김미영, 김정수, 김미정, 김민정, "지역사회 거주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유병율과 정상 노인과의비교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23권, 제1호, pp.40-49, 2011. 

  39. L. Thorgrimsen, P. Schweitzer, and M. Orrell, "Evaluating reminiscence for people with dementia: A pilot study," Arts in Psychotherapy, Vol.29, No.2, pp.93-97, 2002. 

  40. 김영란, "회상치료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노인의료복지연구, 제7권, 제1호, pp.19-36, 2015. 

  41. A. Bozoki, B. Giordani, J. L. Heidebrink, S. Berent, and N. L. Foster, "Mild cognitive impairments predict dementia in nondemented elderly patients with memory loss," Archives of Neurology, Vol.58, No.3, pp.411-416, 2001. 

  42. J. D. Webster, "The reminiscence functions scale: A repl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44, No.2, pp.137-148, 1997. 

  43. 김영숙,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회상치료법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9권, 단일호, pp.95-124, 2000. 

  44. 박광희, 김혜순, 이여진, "우울정상노인과 우울노인의 인지기능저하에 미치는 위험요인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301-310,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