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의 건강 지식의 공유를 위한 포털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ortal for Sharing Health Knowledge in Korean Medicin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6, 2016년, pp.614 - 626  

남보령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김상현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이명구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김상균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 대상의 한의 분야 지식 포털인 KOIN(한의 사람들, http://www.koin.re.kr)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기존의 한의 관련 포털들은 한의사나 한의학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콘텐츠를 제공하고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다. 반면 네이버와 같은 일반 포털들은 일반인이 이해하기 쉬운 콘텐츠를 제공하지만 정보의 일관성이나 신뢰성이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이 필요한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우선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반영해서 포털의 주요 기능을 설계하였으며, 일반인 대상의 한의 콘텐츠를 구축하였다. 향후에는 지속적으로 유용한 한의 건강 지식을 추가로 구축하고 커뮤니티가 활발히 운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인들이 한의 지식을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KOIN(Korean medicine 人, http://www.koin.re.kr), a Korean medicine knowledge portal. While there were several portals in the Korean medicine field, they provided technical contents and communities for doctors and researchers of Korean medicine. The usual p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처방은 구성약재의 가감이나 용량에 따라서 처방명이나 효능이 달라지기 때문에 특정 리스트를 선정하기가 어렵다. 다만 한방 건강보험 기준 처방은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하고 일반인들이 직접 접할 수 있는 처방들이기 때문에 우선 본 연구에서는 이 처방들에 대해서 정보를 구축한다. 또한 국내 시장에 유통되는 약재는 약전에 포함되어 있고 약전에 명시된 규격에 따르도록 되어 있으며, 약전에 포함되지 않은 약재는 의약품으로 사용될 수 없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 대상의 한의 지식을 구축하고 제공하기 위해서 한의 지식 포털인 KOIN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선 일반인들이 한의 포털에서 필요한 요구사항을 수집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약재에 대한 사진과 약용부위에 대한 설명 및 그림등을 추가하였으며 약재로 가능한 음식 정보들도 추가하였다. 또한 참고문헌에서 약재의 각 정보에 대한 출처를 명시하여 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 5]는 우절(연근)에 대해서 구축된 약재 지식 내용으로 본 연구에서 구축한 앱의 화면을 캡처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시스템의 기능과 콘텐츠들에 대해서 다시 일반인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해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 본 연구 수행 이전에 한의 약재 지식을 일반인 대상으로 일부 구축하고 이 약재 지식을 서비스하는 약재 지식 포털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이미 개발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개발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기반으로 KOIN의 기능 및 콘텐츠에 대한 요구사항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 설문조사는 모바일리서치 기관인 ㈜오픈서베이에서 이루어졌다.
  • 일반 포털들과 다르게 차별화된 메뉴들은 약재, 처방, 용어사전과 같은 전문지식 제공과 한의원검색 기능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메뉴들에서 실제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된 실제 사용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 대상의 한의 지식 포털인 KOIN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한의학은 전문 의료 지식을 다루는 분야여서 지금까지 일반인을 위한 한의 콘텐츠나 서비스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제공되지 않았다.
  • 이러한 한의 지식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해 서비스의 콘텐츠와 기능을 설계하고 구축하는 연구 방법을 이용하였다.
  • 한의학은 전문 의료 지식을 다루는 분야여서 지금까지 일반인을 위한 한의 콘텐츠나 서비스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제공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한의 콘텐츠를 가공해 구축하였으며, 한의학에 관심 있는 사용자들이 한의 분야의 지식을 쉽게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가설 설정

  • (1)번의 경우 80%이상이 이용한 적이 없다고 하였고 (2)번에서는 OASIS, 네이버 등을 응답하였다. (3)번과 (4)번의 경우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유용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7)번은 주관식 답변으로 “없음”, “모름”과 같은 응답이 50%를 넘었고 이 외에 50여 페이지가 넘는 아주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 정보 포털이 제공하는 것은? 또한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3]와 한민족과학기술자네트워크(KOSEN, The Global Network of Korean Scientists ngineers)[4]는 한의학 분야 전문 포털은 아니지만 한의학 분야의 정보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연구 정보 포털은 해당 분야의 지식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가공해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용자들 간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다양한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포털의 주 이용자는 연구자들이며 주로 전문 지식을 다루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일반인들이 한의학 지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특히 한의학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들은 전문 의료 용어이고 한자로 된 것도 많기 때문에 한의사나 연구자들은 이해할 수 있지만 일반인들은 읽어도 이해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많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한의학 지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한의학 용어를 일반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쉽게 풀어 제공해야 한다. [표 1]은 현재 일반인들이 한의학 지식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주요 사이트(3.
연구 정보 포털이 가지고 있는 한계는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정보 포털은 해당 분야의 지식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가공해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용자들 간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다양한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포털의 주 이용자는 연구자들이며 주로 전문 지식을 다루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한의학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들은 전문 의료 용어이고 한자로 된 것도 많기 때문에 한의사나 연구자들은 이해할 수 있지만 일반인들은 읽어도 이해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많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한의학 지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한의학 용어를 일반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쉽게 풀어 제공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ttp://www.kmcric.com/ 

  2. 예상준, 김철, 김진현, 장현철, 김상균, 한정민, 송미영, "한의학 정보환경의 변화와 오아시스의 미래전략," 대한한의학회지, 제31권, 제4호, pp.49-62, 2010. 

  3. http://www.ibric.org/ 

  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단계 보고서, 한민족과학기술자네트워크(KOSEN) 운영사업, 2012. 

  5. 한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한의학대사전, 정담, 2010. 

  6. 유석종, 조용성, 이준학, 서동민, 예상준, 김철, "한의학 분야 문헌 분석을 통한 생물학적 네트워크 분석시스템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0호, pp.616-625, 2015. 

  7. 식품의약품안전처, 대한민국약전 제10개정, 식품의약품안전처, 2013. 

  8. 식품의약품안전처,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식품의약품안전처, 2013. 

  9. 한국한의학연구원, 온톨로지 기반 한의학 지능형 정보체계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최종보고서, 2013. 

  10. 전국한의과대학 편찬위원회, 본초학, 영림사, 2008. 

  11. 신민교, 임상본초학, 영림사, 1997. 

  12. 신길구, 신씨본초학, 수문사, 1998. 

  13.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편저, 방제학, 영림사, 2008. 

  14. 윤용갑, (도해증보)동의방제와 처방해설, 의성당, 2007. 

  15. 예상준, 장현철, 김상균, 김철, 송미영, "한의학 웹 사이트의 신뢰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5호, pp.189-196, 2009. 

  16. https://developers.daum.net/services/apis/local/geo/coord2addr/ 

  17. http://www.data.go.kr/ 

  18. http://www.hira.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