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완료지구 시설물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Maintenance Actual Condition and Revitalization of Rural Development Project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2 no.2, 2016년, pp.1 - 8  

최영완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김근호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  은희창 ((주)인포마스터) ,  이영규 ((주)인포마스터) ,  김영주 (경상대학교 애그로시스템공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pare an revitalization plan of region where rural development project is comple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facility operation and maintenance in the region where the project is completed. The results of survey of actual condition of facility ope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농촌지역개발사업의 국내‧외 성공사례와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완료지구 실태와 시설물 운영관리현황을 분석하여 완료지구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사업 완료지구의 활성화 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현재 기 조성된 시설물에 대한 효율성과 활용성 증대를 위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완료지구 현황조사 결과 특정 시설(센터)에 대한 사업비 과다 책정과 시설물 입지선정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시설물의 운영관리 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 이 연구는 크게 문제인식단계, 조사단계(자료조사), 분석단계(시설물 운영관리 현황 및 국외 사례분석), 방안제시단계 등의 단계로 연구를 수행하여 완료지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완료지구의 시설물 운영관리 실태 분석을 통해 완료지구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위주의 정책의 변화는? 2000년 이후 한국의 농업농촌정책은 사회 환경변화 및 지역주민의 요구 증대 등에 따라 지역별 맞춤형 발전 모델로 사업이 고도화되고 있다. 농업위주의 정책에서 농촌공간을 고려하는 통합정책으로 공간의 범위가 확장되고 하향식사업 방식에서 상향식사업으로 추진방식이 변화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농촌지역개발사업들로 인해 농촌 환경이 어느 정도 개선되었다는 긍정적 평가 이면에 지역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일률적 사업추진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세계화의 지역정책 및 농촌정책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 또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농촌지역개발사업들에 대한 비판은? 그러나 이러한 농촌지역개발사업들로 인해 농촌 환경이 어느 정도 개선되었다는 긍정적 평가 이면에 지역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일률적 사업추진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세계화의 지역정책 및 농촌정책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 또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운영주체의 불안전성, 운영관리방안에 대한 주민 갈등, 운영단체의 역량 미흡, 시설관리 및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재원 미확보 등의 이유로 조성된 시설물의 노후화가 심화되고 있다. 또한, 주민을 위한 서비스 제공의 기능 부족 및 운영 단체 및 인력의 지속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농촌지역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고 기존 조성 시설의 효율적 활용과 연계를 통해 농촌지역개발사업 완료지구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완료지구 시설물 운영관리의 공공적 활용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Choi et al, 2011; Seok, 2007; Kim and Lee, 2012, Lee and Lim, 2007; Yoo, 2004; You, 2007).
2000년 이후 한국의 농업농촌정책 현황은? 2000년 이후 한국의 농업농촌정책은 사회 환경변화 및 지역주민의 요구 증대 등에 따라 지역별 맞춤형 발전 모델로 사업이 고도화되고 있다. 농업위주의 정책에서 농촌공간을 고려하는 통합정책으로 공간의 범위가 확장되고 하향식사업 방식에서 상향식사업으로 추진방식이 변화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ai, J. H. and Seo, J. W., 2011, Analysis on the economic achievement factor of the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in Jeollanam-do a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3(3), 107-126. 

  2. Cho, J. S., 2009, Performance and Problem Analysis of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Case Study of the Income Project in Gurye Banggwang Village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Rural Planning, 15(4), 109-124. 

  3. Choi, S. M., Rhee, S. H., Kim, K. S., Hwang, H. C., Kim, D. S., Kim, Y. J., Jung, N. S., 2011, Rural Planning, Dong Myeong Publishers. 

  4. Choi, Y. W., Park, J. W., Yoon, Y. C., Kim, Y. J., 2011,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Resident Satisfaction Degree on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by Rural Territory, Journal of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5(6), 227-235. 

  5. Hwang, H. C., Roh, Y. S., Park, J. S., 2015, Operational Management System and Characteristics Analysis on the Rural Experience Programs: the Case of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Rural Planning, 21(2), 103-114. 

  6. Kim, K. R., Kim, J. Y., Choi, Y. S., 2007, Development of An Interim Evaluation System for Integrated Rural Village Cluster 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Korea Society of Rural Planning, 12(2), 65-73. 

  7. Kim, K., S., Lee, G. C., 2012,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Improving Utilization of Idle Public Facilities in Rural Area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8. Lee, G. J., Lee, H. H., Song, B. H., 2007, Analysis on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Program in Government Support Rural, Mountain Village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Rural Planning, 13(3), 73-82. 

  9. Lee, M. H., Lim, S. S., 2007, Agriculture and Agricultural Policy Trend of EU, Agricultural Outlook,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431-454. 

  10.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MIFAFF), 2011, Manual of Rural Development Project. 

  1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2014, 2015 Sourcebook of Rural Development Project Workshop. 

  12. Park, H. S., Hwang, G. S., Kim, Y. T., 2008, Contents Analysis on th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With Focus on Project Regions during 2004-2007, Journal of Korea Society of Rural Planning, 14(4), 121-128. 

  13. Seok, H. J., 2007, Promoting Direction of Rural Development Policy, Rural Research Institute, Rural Community and Environment, No.94, 18-30. 

  14. Yoo, J. G., 2004, Agriculture and Rural Comprehensive Measures, Rural welfare and Rural Development, Magazine of Korea Advanced Farmers Association, 12-16. 

  15. You, S. G., 2007, Rural Development and Residents' Role, Rural Research Institute, Rural Community and Environment, No.94: 95-1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