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농촌 경관계획 가이드라인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West Australia의 경관계획 매뉴얼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Analyze and Improvements for Rural Landscape Planning Guideline - Focused on Rural Landscape Planning Guideline in Western Australia -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2 no.2, 2016년, pp.57 - 65  

신재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ndscape elements of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nd elements that have negative impact on landscape due to reckless development teem in rural area. Due to this, local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visual landscape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and content of domestic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호주의 경관계획 매뉴얼은 경관조사를 지형의 패턴, 경관유형, 시각적 특성, 지역민 조사 등으로 분류하고, 각 항목별로 조사내용을 세분한다. 더불어 각 단계별로 도출해야하는 결과물을 제시하여 어느 지역에서나 동일한 경관조사 및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 위의 절차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호주의 경관계획절차는 지역의 경관을 평가하고, 지역사회가 중요시 하는 경관을 보존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경관계획 수립 이후에 건축·조성되는 개발안에 관한 시각평가를 진행함으로 인해서 이미 조성되어 있는 경관의 관리를 수행한다. 더불어 동일한 조건에서 경관 및 개발안을 평가할 수 있도록 조사 및 평가방법을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농촌 경관계획 절차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 및 정책분석을 통해 농촌 경관 계획의 현황에 관하여 고찰하였고, 농촌경관계획의 절차상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농촌경관계획 수립절차를 제시하는 농어촌경관계획 수립요령과 경관계획수립지침을 비교하여 농촌 경관계획의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 농촌경관계획 가이드라인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Western Australia주의 경관계획 매뉴얼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경관계획 수립절차의 한계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농촌경관계획 수립절차를 제시하는 농어촌경관계획 수립요령과 경관계획수립지침을 비교하여 농촌 경관계획의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 농촌경관계획 가이드라인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Western Australia주의 경관계획 매뉴얼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경관계획 수립절차의 한계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형식적 경관계획으로 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효성 있는 농촌경관계획 수립을 위하여 농촌경관계획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농촌경관계획 수립절차의 분석과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의 농촌경관계획 수립절차의 한계점과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경관계획 절차와 호주의 경관계획 매뉴얼 비교를 진행하여 도출한 시사점? 첫째, 양국의 절차는 「경관조사 및 평가→경관계획→실행」의 단계를 거친다는 점에서는 유사하나, 계획수립방식을 제안한 매뉴얼의 구성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국내의 경우 경관계획의 진행순서 및 구성 내용의 설명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호주의 경우 실제 수행해야 하는 조사·평가의 지역적 동일성 확보를 위해 수행 및 결과물 작성 방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둘째, 국내 경관계획 절차의 경우 농촌경관의 “조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추후 건축·조성되는 경관요소는 추상적 조성방안을 제시한다. 하지만 호주의 경관계획 매뉴얼은 새로 조성·건축되는 경관요소의 평가방법과 평가를 위해 사업자가 수행해야할 조건들을 제시함으로써 적극적인 경관관리를 진행하고 있다.
농촌경관계획에 활용할 수 있도록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표한 것은? 8%까지 증가하였다. 더불어 농촌경관계획에 활용할 수 있도록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농촌경관계획수립요령을, 국토교통부에서는 경관계획수립지침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국내 농촌경관계획 가이드라인은 계획수립 절차 진행상의 방법론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아 경관계획이 개발사업의 사업계획과 명확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으며, 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경관의 내용작성에 혼선을 야기하기 쉬운 이유는? Western Australia주의 경관계획 역시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환경보전부(DEC), 도로교통부(DPI) 등 다양한 부처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다. 정부기관, 지자체가 경관계획을 세우는 목적은 그 기관에 따라 각기 다르기 때문에 경관의 내용작성에 혼선을 야기하기 쉬우므로 Western Australia주의 경관계획 매뉴얼은 다부처에서 공동으로 제작하는 형태를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Environment and Sustainability Directorate, Department for Planning and Ingrastructure, 2007, Visual Landscape Planning in Western Australia, Western Australian Planning Commission. 

  2. Visual Landscape Planning in Western Australia, 2007, Western Australian Planning Commission. 

  3. Kilkenny county council, 2013, County kilkenny rural design guide. 

  4.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2, Farming and fishing village landscape planning guideline. 

  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4, landscape planning guideline. 

  6. Kim, S B., Shin, J S., Kim, E J., 2015, Th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Rural Community Facility Remodeling and Management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7(3):63-70. 

  7. Joo, S H., Kim, Y H., 2011 , Analysis of Guidelines and Content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6):1-10. 

  8. Kim, S B., Son, H G., Kim, E J., Lee, D G.,2012 A Study on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Rural Landscape Plann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8(3):35-44. 

  9. Suh, J W., Cho, H S., Lee, J G., 2002, Landscape Valuation by Fabricating Facotrs of Induction in Rural Landscape,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6(4):1-7. 

  10. Choi, J S., Lee, H C., 200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Landscape Management System in terms of Co-relationship with Urban Planning 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7(2):57-72.relationship with Urban Planning 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itute of Korea, 7(2):57-72. 

  11. Shin, J S. Kim, S B., 2014,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ex and Rating system for Remodeling in Rural Community Facility,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4). 

  12. Baek, T K., Yamashita, S., 2013, A Comparative Study on the Landscape Planning System of Asi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26-35. 

  13. Shin, B H., Lee, C H., Lee, Y H., 2009, Landscape Management System by Landscape Agreement in Japan, Urban Design, 10(3):33-48. 

  14. Park, J S., Kim, S K., 2013, Improvement Strategy of Law-System for Rural Landscape Planni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5(3):25-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