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전통마을의 경관 특성과 시사점 - 병산촌을 대상 지역으로 -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Suggestions in Chinese Traditional Village - Cases Study of Ping-shan Village -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2 no.2, 2016년, pp.67 - 75  

화이캉 (대구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장병관 (대구대학교 조경학과) ,  윤주철 (대구대학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Chinese village through the landscap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suggestions for improving Korea's traditional village scener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analysis about an important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국의 병산촌의 경관에서 표출되는 특징을 파악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전통마을 경관형성계획에 있어 하나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첫째, 한국전통마을경관과 중국전통마을경관의 차이점을 고찰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은 무엇인가? 전통은 역사성을 가지며 전승되어 내려온 사회적 집단의 정체성이다. 그리고 그 시대의 문화내용을 지배하는 규범적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규범 내지는 가치관이 정주지의 입지환경과 공간조성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동양에세는 마을을 무엇으로 인식하였는가? 동양에서는 인간의 정주지 환경인 마을을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쉼터’로 인식하였다. 또한 전통마을은 지역의 특이성을 나타낼 뿐 아니라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기술적으로 가치가 풍부한 문화재이다(Sin, 2000).
각 나라마다 독특한 경관을 가지고 있는 전통마을을 갖고 있는데, 전통마을의 경관은 어떤 특징을 지니는가? 각 나라마다 전통마을은 독특한 사상, 생활방식과 관습 그리고 문화적 차이 등으로 인하여 독특한 경관을 가지고 있다. 전통마을의 경관이라 함은 자연 속에 위치한 마을로서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경관, 자연과의 조화, 평화롭고 안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통마을 마다 독특한 방법으로 자연에 순응하고 그에 따른 형태, 색채, 질감 등을 표현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ik. J. H., (2014),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s of Cultural Landscape of a Goesi-ri Korean Traditional Village,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2. Chung. Y. C., (2002), A Study on the Landscape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 Research Review Kyungil University 18: 193-207. 

  3. Cho. R. Y., (1994)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Clan Village, Master's Thesis, Kangwon University. 

  4. Choi. M. R., (2014), Analysis of Cultural Village Hwiju of China,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5.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8), Historic Villages of Korea : Hahoe and Yangdong. 

  6. Hu. S., Shu. Y., (2014), Ping Shan-The First Feng Shui Village, HeFei University of Technology Press, China. 

  7. Jeong. K. W., (2009), A Study on Character of the Landscape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8. Kang. T. S., Han. S. G., (2000) A Study on The Landscape Characteristic of the Traditional Villag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2) : 687-690. 

  9. Kim. H. B., (1981) A Study on the Landscape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Village From the View of Symbolic in Cultural Landscape,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0. Kim. H. J., (2008), Study of the Formative Feature of 'Gwangajeong' and 'Hyangdan' of Yangdong Town in Kyungju, Master's Thesis, Korean National University. 

  11. Kim. J. H., (2014)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Landscape at Hangye, Seongju,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12. Lhee. E. H., (1999),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Composition and Location of Traditional Village from the Water of Feng-Shui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0(2) : 1-10. 

  13. Lee. I. H., Kim. H. M., Kang. S. W., (2011), Cognitive Representation on Places and Ways of Traditional Village of South Area of Huangsan Mt. in China,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7) : 97-104. 

  14. Lee. J. O., (2008), Method of Conservation for the Traditional Korean Settlement : Based on the Case Study in Korean and China, A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Hannam University. 

  15. Li. C., (2014), The Ecological Strategy Study of Huizhou Ancient Village, Graduate School of Jianzhu University, China. 

  16. Park. S. J., (2015), A Study in the Interpretation and Representation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in Dukdong Village, Pohang,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17. Shu. D. D., (2011), Study on the Traditional Settlement Landscape in Yi County, Graduate School of Beijing, China. 

  18. Sim. W. K., (2005), Our Traditional Landscape Features and Background,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3(1) : 117-121. 

  19. Sin. S. S., (2000),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Design Principles and Space Organization of Traditional Villages,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8(1) : 20-31. 

  20. Suh J. H., Lee. S. Y., (2000), The Characteristics of Vernacular Landscape Through the Traditional Village,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7(5) : 57-65. 

  21. www.baidu.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