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산균 종류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toxified Rhus verniciflua vinegar fermented using different ace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3 no.3, 2016년, pp.347 - 354  

백성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김지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문지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이충환 (건국대학교 생명공학과) ,  박유경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여수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산균 종류에 따른 무독화 옻 추출물을 첨가한 식초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초산균 종류에 따라 pH와 적정 산도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A. pasteurianus로 발효한 옻식초가 가장 빠른 pH 감소와 산도의 증가를 보였다. A. malorum, Glu. entanii로 발효한 옻식초 순으로 pH와 산도의 변화를 보였으며 초산균 3종 모두 초산 발효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산 수율은 78.6%, 85.3%, 85.9%로 A. malorum, Glu. entanii 초산균이 높게 나타났다. 초산균 종류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의 유기산oxalic acid, malic acid, acet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5종이 검출되었으며, 유기산 함량은 69.84~73.83 mg/mL로 검출되었다. 초산균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2,202.70{\sim}2,322.71{\mu}g/mL$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arginine과 alanine이 주요 유리 아미노산으로 분석되었다. 전자코 분석 결과, 초산균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는 뚜렷한 향기패턴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기호도 평가는 초산균 종류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의 색상과 맛은 초산균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A. malorum V5-7로 발효한 옻식초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acetic acid bacteria on qualities of detoxified Rhus verniciflua vinegar (DRV), different DRVs were produced by using three acetic acid bacterial strains including Acetobacter pasteurianus KACC16934 (AP), Acetobacter malorum V5-7 (AM), and Gluconoacetobacter 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pasteurianus 균주 외 초산균을 식초 발효에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다양화와 부가가치 향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보(5)에서 확립된 무독화 옻 추출물을 이용한 발효식초 제조에서, 국내 식초에서 분리한 A. malorum V5-7, Gluconacetobacter entanii RDAF-S 균주를 사용하여 발효 식초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옻은 수포, 가려움, 발진 등의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하는 어떤 성분이 있는가? 1)옻나무는 칠공예품의 원료와 의약 목적으로 약 4, 000년전부터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의 동북아시아에서 사용되었다(1). 옻은 수포, 가려움, 발진 등의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하는 우루시올(urushiol) 성분이 있으나 당뇨병과 위장병 치료를 위해 오래전부터 닭과 오리 등을 조리할 때 첨가하여 섭취해 왔다(2). 이러한 독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루시올은 항산화, 항암 및 면역력 증진 효과가 있어 한방과 민간에서 해열, 구충, 통경, 소염, 어혈, 폐결핵 및 관절염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3).
우루시올의 효능과 한방 및 민간에서의 용도는? 옻은 수포, 가려움, 발진 등의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하는 우루시올(urushiol) 성분이 있으나 당뇨병과 위장병 치료를 위해 오래전부터 닭과 오리 등을 조리할 때 첨가하여 섭취해 왔다(2). 이러한 독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루시올은 항산화, 항암 및 면역력 증진 효과가 있어 한방과 민간에서 해열, 구충, 통경, 소염, 어혈, 폐결핵 및 관절염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3). 그러나 옻나무는 다양한 약리, 생리활성에도 불구하고 접촉성 피부염 유발로 식·의약품으로 사용하기에는 제한적이었다.
초산균의 당류와 알코올과 같은 불완전한 탄소 기질을 빠르게 산화하는 특성은 어디에 이용되는가? 초산균은 특히 당류와 알코올과 같은 불완전한 탄소 기질을 빠르게 산화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은 알코올에서 초산이 생성되는 식초 생산을 포함한 생물공학 기술에 이용되고 있다(8). 식초를 생산함에 있어가장 중요한 요소는 발효미생물로 초산균에 따라 독특한 향과 맛을 결정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im MJ, Hyun JO (1997) Genetic variation in urushiol components of Rhus verniciflua Stokes. Korean J Breed Sci, 29, 115-123 

  2. Jung NC (1998) Biological activity of urushiol and flavonoids from Lac tree (Rhus verniciflua Stokes). Ph 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p 9-21 

  3. Lee SK, Kang SM, Kim YS, Kang CG (2005) Quality comparison of emulsion-type sausages made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fed pork and extract. Korean J Food Sci An, 25, 210-217 

  4. MFDS (2014) Korean Food Standards Codex. Ministry of Food & Drug Safety, Cheongju, Korea, p 56, 165-166 

  5. Baek SY, Lee CH, Park YK, Choi HS, Mun JY, Yeo SH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vinegar prepared with the detoxified Rhus verniciflua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22, 674-682 

  6. Jeoung YJ, Lee MH (2000) A view and prospect of vinegar industry.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 7-12 

  7. Anon (2014) Notification some revision of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food. Notification No. 2014-106 of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8. Gullo M, Giudici P (2008) Acetic acid bacteria in traditional balsamic vinegar: Phenotypic traits relevant for starter cultures selection. Int J Food Microbiol, 125, 46-53 

  9. Sengun IY, Karabiyikli S (2011) Importance of acetic acid bacteria in food industry. Food Control, 22, 647-656 

  10. Gonzalez A, Mas A (2011) Differentiation of acetic acid bacteria based on sequence analysis of 16S-23S rRNA gen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Int J Food Microbiol, 147, 217-222 

  11. Park MH, Lee JO, Lee JY, Yu SJ, Ko YJ Kim YH, Ryu CH (2005)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cetic acid bacteria for persimmon vinegar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51-1257 

  12. Kang SK, Jang MJ, Kim YD (2006) Isolation and culture conditions of Acetobacter sp. for the production of citron (Citrus junos)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13, 357-362 

  13. Han WC, Ji SH, Surh JH, Kim MH, Lee JC, Jang KH (2010) Characterization of vinegar using Rubus crataegifolius and Rosa rugosa Thunb.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582-585 

  14. Kang BH, Shin EJ, Lee SH, Lee DS, Hur SS, Shin KS, Kim SH, Son SM, Lee JM (2011) Optimization of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condition of apple juice. Korean J Food Preserv, 18, 980-985 

  15. Mo HW, Jung YH, Jeong JS, Choi KH, Choi SW, Park CS, Choi MA, Kim ML, Kim MS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fermented using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441-449 

  16. Yi MR, Hwang JH, Oh YS, Oh HJ, Lim SB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immature Citrus unshiu vineg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250-257 

  17. Baek SY, Park HY, Lee CH, Yeo SH (2014) Comparison of the fermented property and isolation of acetic-acid bacteria from traditional Korean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21, 903-907 

  18. Chen XH, Lou WY, Zong MH, Smith TJ (2011)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to produce high yields of active Acetobacter sp. CCTCC M209061 cells for anti-Prelog reduction of prochiral ketones. BMC Biotechnol, 11, 110-121 

  19. NAAS (2013) Quality analysis manual for fermented food. Semyeongmunhwasa,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Wanju, Korea, p 93-94 

  20.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oration. L-8900 Amino Acid Analyzer. (2014) Available from: http://www.hitachi- hitec.com/global/science/lc/l8900.html#jump2. Accessed 

  21. Shin JA, Choi SW, Lee KT (2005) Prediction of kimchi aging using electronic nose system. Korean J Food Preserv, 12, 613-616 

  22. Jo IH, Kim HS, Kim GM, Kim JS, Kim GC (2012) Effects of packaging method on the quality of blanched Namul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9, 328-336 

  23. Yoon HN, Moon SY, Song SH (1998)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odor properties of commercial vineg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99-305 

  24. Yoon SR, Kim GR, Lee JH, Lee SW, Jeong YJ, Yeo SH, Choi HS, Kwon JH (2010)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ercial brown rice vinegars fermented with and without ethanol.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27-532 

  25. Hidalgo C, Torija MJ, Mas A, Mateo E (2013) Effect of inoculation on strawberry fermentation and acetification processes using native strains of yeast and acetic acid bacteria. Food Microbiol, 34, 88-94 

  26. Keum JH (1999) Studies on garlic and pumpkin vinegar. Korean J Food Nutr, 12, 518-522 

  27. Kim KE, Choi OS, Lee YJ, Kim HS, Bae TJ (2001) Processing of vinegar using the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extract. J Life Sci, 11, 211-217 

  28. Woo SM, Yeo SH, Kwon JH, Kim SH, Jeong YJ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gh-acidity vinegar prepared with grape juice. Korean J Food Preserv, 22, 100-107 

  29. Schuller G, Hertel C, Hammes WP (2000) Gluconacetobacter entanii sp. nov., isolated from submerged high-acid industrial vinegar fermentations. Int J Syst Evol Microbiol, 50, 2013-2020 

  30. Moon SY, Chung HC, Yoon HN (1997) Comparative analysis of commercial vinegar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minor components and organoleptic tas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63-670 

  31. Furukawa S, Takenaka N, Ueda R (1973) Conversion of non-volatile organic acids to acetic acid in acetic acid fermentation. J Ferment Technol, 51, 327-334 

  32. Shin JS, Jeong YJ (2003)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acetic acid fermentation of brown rice using raw starch digesting enzy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81-387 

  33. Lee YC, Jang OY, Kim HW, Choi CU, Yoon SK (199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vinegars in Andong province. J Korean Soc Food Cult, 14, 17-20 

  34. Choi HS, Yeo SH, Jeong ST, Choi JH, Kang JE, Kim MK (2012) Effect of the extracts from fermented-Rhus verniciflua stem bark with Fomitella fraxinea on the growth and enzyme activity of soybean productfermenting microorganisms. Kor J Mycol, 40, 235-243 

  35. Seo JH, Park NY, Jeong YJ (2001) Volatile components in persimmon vinegars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153-156 

  36. Hong HK, Shin HW, Park HS, Yun DH, Kwon CH, Lee KC, Kim ST, Moriizumi T (1996) Gas identification using micro gas sensor array and neural-network pattern recognition. Sensors and Actuators, B33, 68-71 

  37. Lee BY, Yuk JS, Oh SR, Lee HK (2000) Aroma pattern analysis of various extracts of Agastache rugosa O. Kuntice by electron nos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