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provide the public with nutritional information on consumption types of garlic, we evaluated the influence of heat treatment method on the nutritional contents of different species of garlic. Methods: We determined the content of general components, minerals, vitamins, and fatty acid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마늘의 산지 및 열처리 방법에 대한 검토가 개별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으로 두 요인을 동시에 비교 · 분석한 연구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 방법에 따른 한지형과 난지형 마늘의 영양성분 차이와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열처리 과정에 의한 한지형 및 난지형 마늘의 영양성분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원분산분석 결과 마늘의 영양성분 함량은 품종, 열처리방법 및 교호작용 모두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열처리방법 보다 품종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은 무엇인가? 마늘(Allium sativum)은 한국인의 1인당 연간 마늘 섭취량이 약 7 kg로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소비가 많을 정도로 우리의 식생활에서 필수적인 향신료이다(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5). 마늘은 항산화, 항혈전, 항균 및 항암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Nishimura H 등 1988, Sheo HJ 1999, Rho SN & Han JH 2000, Chung KS 등 2003), 이러한 다양한 기능성은 allicin과 같은 황 화합물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Koch HP & Lawson LD 1996).
우리나라 각지에서 재배되는 마늘 중 한지형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국내에서 재배되는 마늘의 77%를 차지하는 난지형 마늘은 비교적 따뜻한 남쪽 지방인 제주, 고흥, 남해, 해남, 무안 등이 주산지이고, 한지형 마늘은 상대적으로 추운 지방인 의성, 태안, 삼척, 단양, 서산 등에서 주로 재배된다. 한지형 마늘은 조직이 단단하고 저장성이 좋으며 매운 맛이 강한 반면, 난지형 마늘은 구가 크고 인편이 많으며 저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Shin DB 등 1999). 이처럼 마늘은 토양 및 기후와 같은 자연환경과 마늘의 품질 특성간의 상관관계가 높기 때문에 마늘의 영양학적 구성성분에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마늘은 어떤 기능이 있는가? 마늘(Allium sativum)은 한국인의 1인당 연간 마늘 섭취량이 약 7 kg로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소비가 많을 정도로 우리의 식생활에서 필수적인 향신료이다(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5). 마늘은 항산화, 항혈전, 항균 및 항암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Nishimura H 등 1988, Sheo HJ 1999, Rho SN & Han JH 2000, Chung KS 등 2003), 이러한 다양한 기능성은 allicin과 같은 황 화합물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Koch HP & Lawson LD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788. 

  2. Chang KM, Lee MS. 1999. A study on mineral contents of the underground vegetables produced in Korea harvested in different times. Korean J Soc Food Sci 15(5):545-549. 

  3. Chung KS, Kim JY, Kim YM. 2003. Comparis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arlic juice and heat-treated garlic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3):540-543. 

  4. Cortes CF, de Santa Olalla FM, Urera RL. 2003. Production of garlic (Allium sativum L.) under controlled deficit irrigation in semi-arid climate. Agric Water Manag 59(2):155-167. 

  5. DeVries JW, Rader JI, Keagy PM, Hudson CA. 2005. Microbiological assay-trienzyme procedure for total folates in cereals and cereal foods: Collaborative study. J AOAC Int 88(1):5-15. 

  6. Gorinstein S, Jastrzebski Z, Namiesnik J, Leontowicz H, Leontowicz M, Trakhtenberg S. 2007. The atherosclerotic heart disease and protecting properties of garlic: Contemporary data. Mol Nutr Food Res 51(11):1365-1381. 

  7. Ji SH, Jang MY, Choi JY, Choi YM, Kim YG. 2015. A study on contents of vitamin D in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s. Food J Food Nutr 28(1):143-152. 

  8. Kim GP, Lee J, Ahn KG, Hwang YS, Choi Y, Chun J, Chang WS, Choung MG. 2014. Differential responses of B vitamins in black soybean seeds. Food Chem 153:101-108. 

  9. Kim JY, Park SR, Shin JA, Chun JY, Lee JS, Yeon JY, Lee WY, Lee KT. 2013. ${\beta}$ -Carotene and retinol contents in Bap, Guk (Tang) and Jjigae of eat-out Koreans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2):1958-1965. 

  10. Kim MB, Oh YJ, Lim SB.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from Daejeong Jeju and major cultivation areas in Korea. Korean J Culin Res 15(1):59-66. 

  11. Kim YD, Seo JS, Kim KJ, Kim KM, Hur CK, Cho IK. 2005. Component analysis by different heat treatments of garlic (Allium sativum L.). Korean J Food Preserv 12(2):161-165. 

  12. Koch HP, Lawson LD. 1996. Garlic: The science and therapeutic application of Allium sativum L. and related species. 2nd ed. Williams & Wilkins, Baltimore, MD, USA. pp 1-223. 

  13. Kwon OC, Woo KS, Kim TM, Kim DJ, Hong JT, Jeong HS.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3):331-336. 

  14. Lee JJ, Lee HJ. 2011.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baked garlic. Korean J Food Preserv 18(4):575-583. 

  15. Lee YK, Sin HM, Woo KS, Hwang IG, Kang TS, Jeong HS. 2008.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quality of garlic and soil compos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0(1):31-35. 

  16. Hwang JM, Lee BY. 1990.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on rooting and sprouting of garlic. J Kor Soc Hort Sci 31(1):15-21. 

  1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5.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s. MAFRA, Sejong, Korea. p 311. 

  1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a. Korean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40-49.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b. Korean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55-63. 

  2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a. Korean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95-99. 

  2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b. Korean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102-107. 

  22. Nishimura H, Wijaya CH, Mizutani J. 1988.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antithrombotic agent: Vinyldithiins from Allium victorialis L. J Agric Food Chem 36(3):563-566. 

  23. Rho SN, Han JH. 2000. Cytotoxicity of garlic and onion methanol extract on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5):870-874. 

  24. Sheo HJ. 1999. Effects of garlic on the blood lipids and other serum component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6):1339-1348. 

  25. Shin DB, Seog HM, Kim JH, Lee YC. 1999. Flavor composition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1(2):293-300. 

  26. Shin JH, Ju JC, Kwon OC, Yang SM. Lee SJ, Sung NJ. 2004.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Korean J Food Sci Nutr 17(3):237-245. 

  27. Shin JH, Lee SJ, Jung WJ, Kang MJ, Sung NJ. 201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collected from the different regions. J Agric Life Sci 45(2):103-114. 

  28. Tsukamoto C, Shimada S, Igita K, Kudou S, Kokubun M, Okubo K, Kitamura K. 1995. Factors affecting isoflavone content in soybean seeds: Changes in isoflavones, saponins, and composition of fatty acids at different Temperatures during Seed Development. J Agric Food Chem 43(5):1184-1192. 

  29.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5.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release 28 nutrient lists. Available from: https://ndb.nal.usda.gov/ndb/nutrients/index. Accessed April 8, 2016. 

  30. Wolf RB, Cavins JF, Kleiman R, Black LT. 1982. Effect of temperature on soybean seed constituents: Oil, protein, moisture, fatty acids, amino acids. J Am Oil Chem Soc 59(5):230-232. 

  31. Yang KY, Shin HS. 1982. Lip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garlic (Allium sativum Linnaeus). Korean J Food Sci Technol 14(4):388-3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