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FLP 마커를 이용한 국내수집 염생식물 번행초 유전다양성 평가
Genetic variation of halophyte New Zealand spinach (Tetragonia tetragonioides) accessions collected in Korea using an AFLP marker 원문보기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식물생명공학회지, v.43 no.2, 2016년, pp.157 - 163  

전용삼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  진용태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  최서희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  박누리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  김인경 (목포대학교 원예과학과) ,  이가연 (한국한의학연구원) ,  최종진 (충남농업기술원 화훼연구소) ,  이긍주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동, 서 및 남해안 바닷가 근처 사구지역에서 자생하는 번행초 55개체를 수집하여 AFLP 마커시스템을 적용하고 이들 유전자원들간의 유전다양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우선 전체 게놈의 특이적 부위를 절단하기 위하여 제한효소로 EcoRI과 MseI 12개 조합을 활용하였고, 그 결과 총 1,279 절편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제한효소 조합당 평균 107개의 절편이 생산된 것으로 이 중 평균 62개(약 58%)가 유전자원간에 다형성을 나타냈다. 이와 같이 유전자원간에 다형성을 보인 게놈 절편을 대상으로 유전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조사된 55개체 번행초 유전자원 집단은 29%의 유전적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해 유전적 차이를 보이는 그룹을 분류한 결과 국내 자생 번행초 유전자원은 총 7개의 집단으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국내외 최초의 번행초 유전 다양성 평가 정보는 향 후 품종 육성을 위한 교배친의 선발에 적용하여 다양한 유전적 차이를 보이는 분리집단을 확보하는 데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use of New Zealand spinach (Tetragonia tetragonioides) as a new vegetable crop which will be cultivated in salt-affected soils such as reclaimed areas. New Zealand spinach ecotypes native to Korea were collected across the Southern, Western and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수집된 번행초 유전자원들의 유전적 특성을 비교하고, 향후 유용한 내염성 유전자와 형질연관 분자마커가 개발될 경우 새로운 품종의 개발을 위한 분자육종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기후변화에 따른 새로운 대체작물의 개발과 염류지역에 적용이 가능한 염생식물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국내 자생 염생식물 중 일부지역의 민간에서 엽채류로 오랫동안 활용이 되어왔던 번행초의 재배 작물로서의 가능성은 크다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는 국내 동, 서 및 남해안 바닷가 근처 사구지역에서 자생하는 번행초 55개체를 수집하여 AFLP 마커시스템을 적용하고 이들 유전자원들간의 유전다양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우선 전체 게놈의 특이적 부위를 절단하기 위하여 제한효소로 EcoRI과 MseI 12개 조합을 활용하였고, 그 결과 총 1,279 절편을 확보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FLP 마커는 RAPD와 비교했을 때 어떤 장점이 있는가? 2001). AFLP 마커는 유사한 기능의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에 비하여 1 bp 정도의 짧은 길이 차이의 DNA 단편도 검출이 가능하고 재현성이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최근의 유전체 정보가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자생 또는 야생식물의 유전적 다양성을 평가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Blears et al. 1998).
AFLP를 이용한 군집분석 결과 번행초는 몇 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였는가? 2). 그 결과 수집 자생 번행초는 7개의 유전적 다양성 집단으로 나눌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군집 1, 2, 3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여수, 완도, 남해, 신안지역에서 수집한 번행초가 다른 지역 수집종에 비해 유전적으로 매우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Kim et al.
번행초가 간척지 후보 자생식물로 선정된 이유는? 본 연구실에서 간척지 후보 신규 자생식물로 연구를 해 오고 있는 번행초에 대한 농업적 측면의 재배 연구결과, 자생지는 비록 해안가 사구 또는 모래토양에서 자라고 있는 염생식물이지만(Myeong et al. 2011), 종자를 파종한 이후 약 2개월 동안 염농도 1.0%의 바닷물로 지속해서 관수를 하는 토양지역에서도 생육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Kim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oki T, Takagi K, Hirata T, Suga T (1982) Two naturally occurring acyclicditerpene and norditerpene aldhydes from Tetragonia tetragonoides. Phytochemistry 21(6):1361-1363 

  2. Arroyo-Garcia R, Martinez-Zapater JM, Fernandes Prieto JA (2001) AFLP evaluation of genetic similarity among laurel populations (Laurus L.). Euphytica 122:155-164 

  3. Blears MJ, de Grandis SA, Lee H, Trevors JT (1998)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a review of the procedure and its applications. Indian J Microbiol Biotechnol 21:99-114 

  4. Choi HJ, Kang JS, Jeong YK, Choi YW, Joo WH (2008) Inhibitory activity on the diabetes related enzymes of Tetragonia tetragonioides. Korean J Biotechnol Bioeng 23(5):419-424 

  5. Grubben GJH, Denton OA (2004) Plant resources of tropical Africa 2. Vegetables. Backhuys Publishers, Wageningen, The Netherlands 

  6. Kang SY, Lee GJ, Lim KB, Lee HJ, Park IS, Chung SJ, Kim JB, Kim DS, Rhee HK (2008) Genetic diversity among Korean bermudagrass ecotypes characterized by morphological and cytological and molecular approaches. Mol Cell 25:163-171 

  7. Keim P, Olson TC, Shoemaker RC (1988) A rapid protocol for isolating soybean DNA. Soybean Genetics Newsletter 15:150-152 

  8. Kim JH, SS Park, CK Song (2008) Cultivation limit of Vitex rotundifloia, Tetragonia tetragonoides and Glehnia littoralis at coastal area and physiological vitality of RAW 264.7 cell and HL-60 cell. Korean J Med Crop Sci 16(1):44-50 

  9. Kim SK, Kim IK, Lee GJ (2011) Growth responses of New Zealand spinach [Tetragonia tetragonioides (Pall.) Kuntze] to different soil texture and salinity. CNU J Agric Sci 38:631-639 

  10. Kim IK, Lee KY, Kim SK, Kim BW, Choi WY, Lee GJ (2012) Preliminary screening of leafy vegetable New Zealand spinaches (Tetragonia tetragonioides) native to Korea. CNU J Agric Sci 39:515-523 

  11. Kumar S, Tamura K, Dudley J, Nei M (2007) MEGA4: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MEGA) software version 4.0. Mol Biol Evol 24:1596-1599 

  12. Kurukulasuriya P, Rosenthal S (2003) Climate change and agriculture. A review of impacts and adaptations. Climate change series No.91. The World Bank Environment Department 

  13. Muse SV, Liu KJ (2005) Powermarker: An integrated analysis environment for genetic marker analysis. Bioinformatics 21:2128-2129 

  14. Myeong HH, Lee JS, Jeon JY, Song MS (2011) Study on creation method of green space for port ecosystem using the halophytes. Kor J Soc Coastal Ocean Engineers 23(1):50-56 

  15. Nei M (1978) Estimation of average heterozygosity and genetic distance from a small number of individuals. Genet 89:583-590 

  16. Rohlf FJ (1989) NTSYS-pc numerical taxonomy and multivariate analysis system, version 1.50. Exeter Publications. New York, USA 

  17. Sampaio BL, Bara MTF, Ferri PH, Santos SC, Paula JR (2011)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concentr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leaves of Lafoensia pacari. Revista Brasileira de Farmacognosia 21:1127-1137 

  18. Sathyanarayana N, Leelambika M, Mahesh S, Jaheer M (2011) AFLP assessment of genetic diversity among Indian Mucuna accessions. Physiol Mol Biol Plants 17:171-180 

  19. Zhang L, Jeon YJ, Kang SY, Lee GJ (2012) Genetic diversity of natural and artificial populations of model grass Brachypodium species evaluated by AFLP markers. Hort. Environ. Biotechnol 53:143-1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