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래 입자의 형상과 내부마찰각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Shear Resistance of Sandy Soils Depending on Particle Shape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2 no.6, 2016년, pp.41 - 48  

서형석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조유민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윤태섭 (연세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김광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Geo-인프라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영상처리 기법을 이용해 총 9개의 모래 시료의 형상을 정량화하여 전단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시료는 6개의 자연모래 시료와 3개의 부순모래 시료이며 이를 고해상도 3차원 X-ray CT 촬영하여 그로부터 개별 입자 영상을 분리하고 구형도(Sphericity) 및 이완도(Elongation)와 같은 형상 계수를 통해 모래 시편의 형상을 정량화 하였다. 또한 시료의 상대밀도를 다르게 조성하여 직접전단시험을 수행해 첨두내부마찰각(Peak friction angle)과 극한내부마찰각(Critical state friction angle)을 획득하였다. 시료의 구형도가 감소하고 이완도가 증가할수록, 첨두내부마찰각과 극한내부마찰각은 유사한 기울기를 보이며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두 내부마찰각 사이 절댓값 차이는 입자 형상보다는 상대밀도 차이로부터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esents the correlations between quantified particle shape parameters and internal friction angles for nine sand specimens including six natural sands and three crushed sands. Specimens are subjected to 3D X-ray computed tomographic imaging and their particles are segmented through th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9개의 사질토 시료의 입자 형상과 전단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3차원 X-ray CT와 영상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입자의 형상계수 SP와 EG를 계산해 입자 형상을 정량화하였으며, 충분히 큰 해상도를 갖는 임의의 입자 50개의 형상계수의 산술평균을 해당 시료의 대표 형상계수로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부피 V, 외접구의 지름을 Dc로 갖는 어떠한 입자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그 입자가 타원체일 경우 EG는 최소가 된다. 해당 타원체의 장, 중, 단축의 길이를 각각 2L, 2I, 2S라고 가정하면, 부피 V=(4π/3)・L・I・S로 표현된다.
  • 첨두내부마찰각(Peak friction angle, Φp’)과 극한내부마찰각(Critical state friction angle, Φc’)은 3가지 수직응력 조건에 대한 첨두전단응력 및 극한전단응력에 대하여 최소제곱법을 통해 계산하였으며, 이때 시료의 점착력은 없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료의 입자 형상 정량화에 쓰이는 형상계수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재료의 입자 형상의 정량화는 구형도(Sphericity), 원마도(Roundness), 볼록성(Convexity), 이완도(Elongation), 편평도(Flatness) 등과 같은 형상계수를 통해 가능하며(Wadell, 1932; Wadell, 1933; Krumbein, 1941; Krumbein and Sloss, 1963; Mora and Place, 1998; Zunic and Rosin, 2004; Blott and Pye, 2008; Kim et al., 2016), 이는 대부분 광학 및 전자현미경 등을 통한 2차원 분석에 국한되거나 차트에 의존하여 이루어져 왔다(Folk, 1955; Krumbein andSloss, 1963; Barrett, 1980; Pons et al.
입자 형상일 불규칙할수록 지반재료에서는 어떤 특성이 나타나는가? , 2012).특히 입자의 형상이 불규칙할수록 재료의 최대, 최소간극비(emax, emin) 및 그 차이는 증가하며(Jia and Williams, 2001; Yasin and Safiullah, 2003), 큰 전단강도(Miura etal., 1998; Cho et al., 2006; Kim et al., 2016), 큰 압축성(Yasin and Safiullah, 2003; Cavarretta et al., 2010; Shin and Santamarina, 2012), 낮은 열전도도(Yun and Santamarina, 2008)를 갖는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는 입자 형상이 해당 지반재료의 중요한 특성으로써 인식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loufi, M. and Santamarina, J. C. (1995), "Low and High-strain Macrobehavior of Grain Masses - the Effect of Particle Eccentricity", Transcation of the ASAE, Vol.38, No.3, pp.877-887. 

  2. ASTM D 3080 (1998), "Standard Test Method for Direct Shear Test of Soils under Consolidated Drained Conditions", 

  3. ASTM D 421 (2007), "Standard Practice for Dry Preparation of Soil Samples for Particle-size Analysis and Determination of Soil Constant",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ASTM. 

  4. ASTM D 4253 (2002), "Standard Test Method for Maximum Index Density and Unit Weight for Soils Using a Vibratory Table",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ASTM. 

  5. ASTM D 4254 (2002), "Standard Test Method for Minimum Index Density and Unit Weight for Soils and Calculation of Relative Density",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ASTM. 

  6. ASTM D 854 (2014), "Standard Test Methods for Specific Gravity of Soils by Water Pycnometer",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ASTM. 

  7. Barrett, P. J. (1980), "The Shape of Rock Particles, a Critical Review", Sedimentology, Vol.27, No.3, pp.291-303. 

  8. Blott, S. J. and Pye, K. (2008), "Particle Shape: A Review and New Methods of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Sedimentology, Vol.55, No.1, pp.31-63. 

  9. Bolton, M. D. (1986), "The Strength and Dilatancy of Sands", Geotechnique, Vol.36, No.1, pp.65-78. 

  10. Bolton, M. D. (1987), "The Strength and Dilatancy of Sands. Discussion", Geotechnique, Vol.37, No.2, pp.219-226. 

  11. Cavarretta, I., Coop, M., and O'Sullivan, C. (2010), "The Influence of Particle Characteristics on the behaviour of Coarse Grained Soils", Geotechnique, Vol.60, No.3, pp.413-423. 

  12. Cho, G. C., Dodds, J., and Santamarina, J. C. (2006), "Particle Shape Effects on Packing Density, Stiffness and Strength: Natural and Crushed Sands",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32, No.5, pp.591-602. 

  13. Cubrinovski, M. and Ishihara, K. (2002), "Maximum and Minimum Void Ratio Characteristics of Sands", Soils and Foundations, Vol.42, No.6, pp.65-78. 

  14. Dyskin, A. V., Estrin, Y., Kanel-Belov, A. J., and Pasternak, E. (2001), "Toughening by Fragmentation - How Topology Helps", Advanced Engineering Materials, Vol.3, No.11, pp.885-888. 

  15. Feda, J. (2002), "Notes on the Effect of Grain Crushing on the Granular Soil behaviour", Engineering Geology, Vol.63, No.1, pp.93-98. 

  16. Folk, R. L. (1955), "Student Operator Error in Determination of Roundness, Sphericity, and Grain Size",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Vol.25, No.4, pp.297-301. 

  17. Fonseca, J., O'Sullivan, C., Coop, M. R., and Lee, P. D. (2012), "Non-invasive Characterization of Particle Morphology of Natural Sands", Soils and Foundations, Vol.52, No.4, pp.712-722. 

  18. Fredlund, M. D., Fredlund D. G., and Wilson, G. W. (2000), "An Equation to Represent Grain-size Distribution",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37, No.4, pp.817-827. 

  19. Guimaraes, M. (2002), "Crushed Stone Fines and Ion Removal from Clay Slurries - Fundamental Studies", PhD thesis,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20. Jia, X. and Williams, R. A. (2001), "A Packing Algorithm for Particles of Arbitrary Shapes", Powder technology, Vol.120, No.3, pp.175-186. 

  21. Kim, K. Y., Suh, H. S., Yun, T. S., Moon, S. W., and Seo, Y. S. (2016), "Effect of Particle Shape on the Shear Strength of Fault Gouge", Geosciences Journal, pp.1-9. 

  22. Krumbein, W. C. (1941), "Measurement and Geological Significance of Shape and Roundness of Sedimentary Particles",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Vol.11, No.2, pp.64-72. 

  23. Krumbein, W. C. and Sloss, L. L. (1963), "Stratigraphy and sedimentation", W. H. Freeman and Company, San Francisco. 

  24. Liao, L., Meneghini, R., Nowell, H. K., and Liu, G. (2013), "Scattering Computations of Snow Aggregates from Simple Geometrical Particle Models",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Vol.6, No.3, pp.1409-1417. 

  25. Matsushima, T., Katagiri, J., Uesugi, K., Tsuchiyama, A., and Nakano, T. (2009), "3D Shape Characterization and Image-based DEM Simulation of the Lunar Soil Simulant FJS-1", Journal of Aerospace Engineering, Vol.22, No.1, pp.15-23. 

  26. Miura, K., Maeda, K., Furukawa, M., and Toki, S. (1998),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ands with Different Primary Properties", Soils and foundations, Vol.38, No.4, pp.159-172. 

  27. Mora, P. and Place, D. (1998), "Numerical Simulation of Earthquake Faults with Gouge: Toward a Comprehensive Explanation for the Heat Flow Paradox",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Vol.103, No.B9, 21067-21089. 

  28. Pons, M. N., Vivier, H., and Dodds, J. (1997), "Particle Shape Characterization Using Morphological Descriptors", Particle & particle systems characterization, Vol.14, No.6, pp.272-277. 

  29. Roussilloln, T., Piegay, H., Sivignon, I., Tougne, L., and Lavigne, F. (2009), "Automatic Computation of Pebble Roundness Using Digital Imagery and Discrete Geometry", Computers & Geosciences, Vol.35, No.10, pp.1992-2000. 

  30. Santamarina, J. C. and Cho, G. C. (2004), "Soil behaviour: The Role of Particle Shape", Proc., Advance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The skempton conference, Thomas Telford, pp.604-617. 

  31. Shin, H. and Santamarina, J. C. (2012), "Role of Particle Angularity on the Mechanical behavior of Granular Mixtures",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39, No.2, pp.353-355. 

  32. Simoni, A. and Houlsby, G. T. (2006), "The Direct Shear Strength and Dilatancy of Sand-gravel Mixtures", Geotechnical & Geological Engineering, Vol.24, No.3, pp.523-549. 

  33. Suh, H. S., Han, E. S. H., Yun, T. S., and Kim, K. Y. (2014), "Evaluation of Shape Parameters for Rock Fragments by x-ray Computed Tomography and Image Processing", International Symposium-8th Asian Rock Mechanics Symposium, International Society for Rock Mechanics. 

  34. Yasin, S. and Safiullah, M. (2013), "Effect of Particle Characteristics on the Strength and Volume Change behaviour of Sand",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31, No.2, pp.127-148. 

  35. Yun, T. S. and Santamarina, J. C. (2008), "Fundamental Study of Thermal Conduction in Dry Soils", Granular matter, Vol.10, No.3, pp.197-207. 

  36. Wadell, H. (1932), "Volume, Shape, and Roundness of Rock Particles", The Journal of Geology, Vol.40, No.5, pp.443-451. 

  37. Wadell, H. (1933), "Sphericity and Roundness of Rock Particles", The Journal of Geology, Vol.41, No.3, pp.310-331. 

  38. Zunic, J. and Rosin, P. L. (2004), "A New Convexity Measure for Polygons",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26, No.7, pp.923-9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