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근해 식물플랑크톤-동물플랑크톤-멸치-고등어 영양단계에서 210Pb과 210Po의 생물농축
Bio-accumulation of 210Pb and 210Po within the Trophic Level of Phytoplankton-Zooplankton-Anchovy-Mackerel in the Coastal Water of the Jeju Island, Korea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8 no.2, 2016년, pp.139 - 148  

조보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환경방사능연구센터) ,  김석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환경방사능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ctivity concentrations of $^{210}Po$ and $^{210}Pb$ within phytoplankton-zooplankton-anchovy-mackerel in the coastal water of the Jeju Island were determined to understand their distribution and bio-accumulation along the trophic level. In the surface water, the total a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014년 5월제주 북서 연안의 식물플랑크톤-동물플랑크톤-멸치-고등어로 이어지는 영양단계에서 각 생물들의 210Po과 210Pb 농도 분석을 통하여 이들 방사성 핵종들의분포와 생물농축 특성을 파악하였다. 제주 연안 해수에서 측정된 총 210Po과 210Pb 농도는 0.
  • Pb 농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생 시료 상태에서 고등어는 근육, 껍질, 내장, 간으로 분리하였고, 멸치는 머리, 근육, 내장으로 분리하였다. 각생물의 개체에 따른 분석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약10 kg의 원시료를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각 부위들을 모아분쇄한 후 고르게 섞이도록 하였다. 이들 각 부위를 3등분으로 분할한 후 분할한 시료들 각각을 취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실험하였다.
  • Po은 각각의 계수값이 1000이상 되도록 PIPS 알파검출기(Canberra series 35 MCA, Canberra corporation, USA)로 계수하였다. 동일한 기기조건에서 시료측정시간과 동일한 시간 동안 계수된 배경농도를 제외하여 순 계수 값을 구하였다. 계측된 210Po 농도( )는 아래의 식 (1)과 같이 계산하였다(Cutter et al.
  • 2010). 본 연구는 제주도 서북연안 해역을 대상으로 식물플랑크톤-동물플랑크톤-멸치-고등어영양단계에서 각 생물들의 210Pb과 210Po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들의 농도로부터 영양단계에 따른 농도 분포 및 생물농축 특성을 파악하였다.
  • 2013). 본 연구에서는 고등어를 근육, 껍질, 내장, 간으로 분리하고, 각각 부위별 210Po과 210Pb 농도를 분석하였다. 고등어 부위들 중 간에서 210Po과 210Pb 농도가66 ± 22 Bq kg−1-w.
  • 분해된 시료에 잔존하는 질산을 70oC에서 천천히 증발시켰고, 잔류물을 6 mol L−1염산으로 녹여 70oC에서 증발시키는 과정을 3회 이상 반복하였다.
  • 망간공침을 테플론 비커에 옮긴 후8 mol L−1 질산을 가해 90oC에서 분해시켰다. 생물 시료는 테플론 비커에 각각의 생물 시료(플랑크톤: 0.3 g-w.w;어류의 근육과 껍질시료: 3 g-w.w; 내장시료: 0.1 g-w.w)를 담은 후 회수율 추적자인 17 mBq의 209Po, 0.6 mg의Stable Pb을 첨가하여 분석하였다. 시료에 8 mol L−1 질산을 가해 90oC에서 분해 시켰다.
  •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은 부유생물채집망을 이용하여 채취하였으며,20−300 µm 크기는 식물플랑크톤, 300 µm 보다 큰 크기는 동물플랑크톤으로 구분하여 약 5 g씩 채취하였다.
  • 은판에 정착된 210Po과 209Po은 각각의 계수값이 1000이상 되도록 PIPS 알파검출기(Canberra series 35 MCA, Canberra corporation, USA)로 계수하였다. 동일한 기기조건에서 시료측정시간과 동일한 시간 동안 계수된 배경농도를 제외하여 순 계수 값을 구하였다.
  • 각생물의 개체에 따른 분석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약10 kg의 원시료를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각 부위들을 모아분쇄한 후 고르게 섞이도록 하였다. 이들 각 부위를 3등분으로 분할한 후 분할한 시료들 각각을 취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실험하였다. 시료 건조는 시행하지 않았으며 일반적으로 해수대비 생물의 210Po과 210Pb 농도가 약1000배 이상 높은 것을 감안하면(Aoun et al.
  • , USA)를 이용하여 Po 동위원소들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한 시료는 6개월 이상 보관한 뒤 210Pb에서 붕괴되어 생성된 210Po을 위의 210Po 분석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Church et al. 2012). 시료 채취 시 210Pb 농도(AIPb)는 아래의 식 (2)와 같이 계산하였다.
  • 제주 연안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동물플랑크톤-멸치고등어로 이어지는 영양단계에서 210Po과 210Pb에 대한 생물농축을 비교하였다. 식물플랑크톤에서 210Po의 CF는1.
  • 채수지역의 SPM(suspendedparticulate matter)을 알기 위해 4 L 멸균 채수통에 여과하지 않은 해수시료를 담아 0.4 µm 필터로(NucleporeTrack-Etch Membrane Filtration Products, Whatman®,UK) 채수지역의 SPM을 측정하였다.
  • ηC는 Stable Pb의 회수율을 의미하며 평균 88 ± 24%로 나왔다. 회수율은 이온교환수지통과 후 남아있는 Stable Pb를 ICP-MS(X Series II ICPMS, Thermo Fisher Scientific Inco., USA)로 측정하여 구하였다(Cutter et al. 2014).

대상 데이터

  •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을 크기로 분리하였으므로 작은 크기의 동물플랑크톤이 식물플랑크톤 범위에 일부 혼합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멸치와 고등어는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의 도움을 받아 플랑크톤과 해수를 채취한 장소와 시기가 비교적 가까운 것을 제주도 한림항 위판장에서 구매하였다. 해수를 제외한 모든 시료는 −20oC로 냉동 보관하여 실험실로 운반하였다.
  • 은판(99.9% Ag,Φ 24.1 mm × 0.15 mm)을 준비된 시료에 담고, 실온상태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여 Po을 은판에 정착시켰다(Church et al. 2012; Lee et al. 2014).
  • 1). 제주도에서 서북쪽으로 1 km 이상 떨어진 해역에서 해수를 채수하였다. 여과하지 않은 해수와0.
  • 해수 20 kg에 210Po 회수율 추적자인 209Po 17 mBq과 210Pb 회수율 추적자인 Stable Pb (Lead(III) Sulfide,99.9% tracer metal, Sigma-Aldrich chemical, USA) 0.6mg mL−1을 1 mL 넣었다.
  • 해수와 생물 시료들의 210Po과 210Pb을 분석하기 위하여2014년 5월 제주도 서북연안 해역에서 시료들을 채취하였다(Fig. 1). 제주도에서 서북쪽으로 1 km 이상 떨어진 해역에서 해수를 채수하였다.

이론/모형

  • 해수 중 210Po과 210Pb 농도로부터 식 (4)를 이용하여 210Po과 210Pb농축계수(Concentration factor, CF)를 구하였다(IAEA200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육상으로 유입된 210Pb의 방사송 핵종들이 해양으로 유입되고, 해양으로 유입되는 방사성 핵종들이 해저로 유입되는 과정은? 금속원소인 210Pb은 대기 중 에어로졸에 흡착되어 강수 및 낙진을 통하여 육상과 해양표면으로 유입된다. 육상으로 유입된 방사성 핵종들은 식물의 증산작용 등으로 인해 대기로 재 부유 하거나 하천을 통해 해양으로 유입되며, 해양으로 유입된 방사성 핵종들은 해수 중 부유물질에 흡착하여 해저 퇴적물로 유입된다(Karali et al. 1977; Preiss etal.
210Pb과 210Po이란 무엇인가? 210Pb과 210Po은 238U 붕괴사슬에 속하는 자연방사성 핵종이다. 해양환경에서 210Pb과 210Po은 해수 중에 존재하는 226Rn(반감기: 1,600년)의 방사성 붕괴와 지각으로부터 대기로 방출된 불활성기체인 222Rn(반감기: 3.
해양환경에서 210Pb과 210Po는 어떻게 생성되는가? 210Pb과 210Po은 238U 붕괴사슬에 속하는 자연방사성 핵종이다. 해양환경에서 210Pb과 210Po은 해수 중에 존재하는 226Rn(반감기: 1,600년)의 방사성 붕괴와 지각으로부터 대기로 방출된 불활성기체인 222Rn(반감기: 3.8일)의 딸핵종들의 낙하에 의하여 생성된다. 대기 중으로 방출된 222Rn(반감기: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kozcan S (2013) Levels of $^{210}Po$ in some commercial fish species consumed in the Aegean Sea coast of Turkey and the related dose assessment to the coastal population. J Environ Radioactiv 118:93-95 

  2. Akozcan S, Ugur A (2013) Activity levels of $^{210}Po$ and $^{210}Pb$ in some fish species of the Izmir Bay (Aegean Sea). Mar Pollut Bull 66:234-238 

  3. Aoun M, Samad OE, Khozam RB, Lobinski R (2015) Assessment of committed effective dose due to the ingestion of $^{210}Po$ and $^{210}Pb$ in consumed Lebanese fish affected by a phosphate fertilizer plant. J Environ Radioactiv 140:25-29 

  4. Bacon MP, Belastock RA, Tecotzky M, Turekian KK, Spencer DW (1988) Lead-210 and polonium-210 in ocean water profiles of the continental shelf and slope south of New England. Cont Shelf Res 8:841-853 

  5. Carvalho FP (1988) $^{210}Po$ in marine organisms: a wide range of natural radiation dose domains. Radiat Prot Dosim 24:113-117 

  6. Carvalho FP (2011) Polonium ( $^{210}Po$ ) and lead ( $^{210}Pb$ ) in marine organisms and their transfer in marine food chains. J Environ Radioactiv 102:462-472 

  7. Carvalho FP, Oliveira JM, Malta M (2011) Radionuclides in deep-sea fish and other organisms from the North Atlantic Ocean. ICES J Mar Sci 68(2):333-340 

  8. Catal EM, Ugur A, ozden B, Filizok I (2012) $^{210}Po$ and $^{210}Pb$ variations in fish species from the Aegean Sea and the contribution of $^{210}Po$ to the radiation dose. Mar Pollut Bull 64:801-806 

  9. Cherry RD, Heyraud M, James AG (1989) Diet Prediction in Common Clupeoid Fish Using Polonium-210 Data. J Environ Radioactiv 10:47-65 

  10. Cherry RD, Shannon LV (1974) The alpha radioactivity of marine organisms. Atom Energy Rev 12:45 

  11. Church T, Rigaud S, Baskaran M, Kumar A, Friedrich J, Masque P, Puigcorbe V, Kim G, Radakovitch O, Hong G, Choi H, Stewart G (2012) Intercalibration studies of $^{210}Po$ and $^{210}Pb$ in dissolved and particulate seawater samples. Limnol Oceanogr-Meth 10:776-89 

  12. Connan O, Germain P, Solier L, Gouret G (2007) Variations of $^{210}Po$ and $^{210}Pb$ in various marine organisms from Western English Channel: contribution of $^{210}Po$ to the radiation dose. J Environ Radioactiv 97:168-188 

  13. Cutter G, Andersson P, Codispoti L, Croot P, Francois R, Lohan M, Obata H, Loeff MR (2014) Sampling and sample-handling Protocols for GEOTRACES Cruises. In: GEOTRACES, London, pp 28-36 

  14. Fowler SW (2011) $^{210}Po$ in the marine environment with emphasis on its behavior within the biosphere. J Environ Radioactiv 102:448-461 

  15. Holtzman RB (1996) Natural levels of lead-210, polonium-210 and radium-226 in humans and biota of the Arctic. Nature 210:1094-1097 

  16. Hong G-H, Kim Y-I, Baskaran M, Kim S-H, Chung C-S (2008) Distribution of $^{210}Po$ and export of organic carbon from the euphotic zone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Sea of Japan). J Oceanogr 64:277-292 

  17. Hong G-H, Park S-K, Baskaran M, Kim S-H, Chung C-S, Lee S-H (1999) Lead-210 and Polonium-210 in the winter well-mixed turbid waters in the mouth of the Yellow Sea. Cont Shelf Res 19:1049-1064 

  18. IAEA (2004) Sediment Distribution Coefficients and Concentration Factors for Biota in the Marine Environment.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Vienna, Technical Reports Series No. 422, 92 p 

  19. Karali T, Nozaki Y, Benninger LK (1977) Geochemistry of atmospheric radon and radon products. Annu Rev Earth Pl Sc 5:227-255 

  20. Khan MF, Wesley SG (2012) Radionuclides in resident and migratory fishes of a wedgy bank region: Estimation of dose to human beings, South India. Mar Pollut Bull 64:2224-2232 

  21. Kim T-H, Kim I (2014) Importance of colloidal $^{210}Pb$ and $^{210}Po$ in groundwater of subterranean estuary. The Sea 19(2):125-130 (in Korean) 

  22. Kim Y, Yang H-S (2004) Scavenging of $^{234}Th$ and $^{210}Po$ in surface water of Jinhae Bay, Korea during a red tide. Geochem J 38:505-513 

  23. Kim MJ, Youn SH, Kim J-Y, Oh C-W (2013) Feeding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a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s of Souther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1(4):275-287 (in Korean) 

  24. KIOST (2005)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marine ranching program in the East, West and Jeju Coast of Korea: Buk-Jeju marine ranching. KIOST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BSPM33000-1710-3, 42-114 p (in Korean) 

  25. Lazorenko GE, Polikarpov GG, Boltachev AR (2002) Natural radioelement polonium in primary ecological groups of black sea fishes. Russ J Mar Biol 28(1):52-56 

  26. Lee HM, Hong GH, Baskaran M, Kim SH, Kim YI (2014) Evaluation of plating condition for the recovery of $^{210}Po$ on a Ag planchet. Appl Radiat Isotopes 90:170-176 

  27. Musthafa MS, Krishnamoorthy R (2012) Estimation of $^{210}Po$ and $^{210}Pb$ and its dose to human beings due to consumption of marine species of Ennore Creek, South India. Environ Monit Assess 184:6253-6260 

  28. NFRDI (2010) Korean Coastal and Offshore Fishery Census. NFRDI (Natioan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Korea, 328 p (in Korean) 

  29. Nozaki Y, Tsubota H, Kasemsupaya V, Yashima M, Ikuta N (1991) Residence times of surface water and particlereactive $^{210}Pb$ and $^{210}Po$ in the East China and Yellow seas. Geochim Cosmochim Ac 55:1265-1272 

  30. Preiss N, Melieres M-A, Pourchet M (1996) A compilation of data on lead-210 concentration in surface air and fluxes at the air-surface and water-sediment interfaces. J Geophys Res 12:75-143 

  31. Rani LM, Jeevanram RK, Kannan V, Govindaraju M (2014) Estimation of Polonium-210 activity in marine and terrestrial samples and computation of ingestion dose to the public in and around Kanyakumari coast, India. J Radiat Res Appl Sci 7:207-213 

  32. Ro?mari? AM, Rogi? M, Benedik L, Strok M, Barisic D, Ivsic AG (2012) $^{210}Po$ and $^{210}Pb$ activity concentrations in Mytilus galloprovinvialis from Croatian Adriatic coast with the related dose assessment to the coastal population. Chemosphere 87:1295-1300 

  33. Sarin MM, Krishnaswami S, Ramesh R, Somayajulu BLK (1994) $^{238}U$ decay series nuclides in the northeastern Arabian Sea: scavenging rates and cycling processes. Cont Shelf Res 14:251-265 

  34. Scott BR (2007) Health risk evaluations for ingestion exposure of humans to Polonium-210. Dose-Response 5:94-122 

  35. Stewart GM, Fowler SW, Teyssie J-L, Cotret O, Cochran JK, Fisher NS (2005) Contrasting transfer of polonium-210 and lead-210 across three trophic levels in marine plankton. Mar Ecol-Prog Ser 209:27-33 

  36. Stewart GM, Moran SB, Lomas MW (2010) Seasonal POC fluxes at BATS estimated from $^{210}Po$ deficits. Deep-Sea Res Pt I 157:113-124 

  37. Strady E, Harmelin-Vivien M, Chiffoleau JF, Veron A, Tronczynski J, Radakovitch O (2015) $^{210}Po$ and $^{210}Pb$ trophic transfer within the phytoplankton-zooplanktonanchovy/sardine food web: a case study from the Gulf of Lion (NW Mediterranean Sea). J Environ Radioactiv 143:141-151 

  38. strok M, Smodis B (2011) Levels of $^{210}Po$ and $^{210}Pb$ in fish and molluscs in Slovenia and the related dose assessment to the population. Chemosphere 82:970-976 

  39. Suh H-L, Kim S-S, Go Y-B, Nam K-W, Yun SG, Yoon Y-H, Jo S-G, Hong J-S (1995) $^{210}Po$ Accumulation in the Pelagic Community of Yongil Bay, Korea. J Korean Fish Soc 28(2):219-226 (in Korean) 

  40. Suriyanarayanan S, Brahmanandhan GM, Samivel K, Ravikumar S, Hameed PS (2010) Assessment of $^{210}Po$ and $^{210}Pb$ in marine biota of the Mallipattinam ecosystem of Tamil Nadu, India. J Environ Radioactiv 101:1007-1010 

  41. Tateda Y, Carvalho FP, Fowler SW, Miquel J-C (2003) Fractionation of $^{210}Po$ and $^{210}Pb$ in coastal waters of the NW Mediterranean continental margin. Cont Shelf Res 23:295-316 

  42. Yoon S-J, Kim D-H, Baeck G-W, Kim J-W (2008) Feeding habits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as) in the South Sea of Korea. J Korean Fish Soc 41(1):26-31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