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물인터넷(IoT) 환경의 응급실에 있어서 진료테스크 선정 지원 알고리즘 개발
A Study on Priority of Patient's Medicine Task for the Emergency Department in IoT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v.25 no.2, 2016년, pp.51 - 61  

김대범 (Kangnam University, Industrial System Engineering)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응급의료 서비스의 환자 만족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활용한 프로세스 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IoT기술을 응급실 운영에 활용한 스마트 응급실의 핵심 기술을 살펴보고, 의사와 간호사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진료테스크 우선순위 결정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시한 알고리즘은 진료테스크 선정에 따른 책임소재, 환자 불평, 위급환자 진료 지연, 체류시간 길어짐 등의 의사결정 리스크를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의료진의 감정 육체 소진(Burn-out)을 줄이고 친절과 배려가 있는 환자 진료 케어를 가능하게 하여 환자 만족도와 응급실 의료진의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 나아가 간호사의 정체성 제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가상의 응급실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환자 체류시간 측면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high interest in the patient satisfaction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there is a lot of effort into improving the process of Emergency Department(ED) utilizing the technology of Internet of Things(IoT). In this study, the core technologies of smart ED are examined and a decision support alg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에 IoT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진료테스크 선정을 지원하기 위해 우선순위 산정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진료테스크의 여러 속성- 환자 중증도, 진료테스크 중요도, 진료테스크 처리시간, 응급실 도착 후 경과시간, 잔여 진료 총 시간-을 동시에 고려하여 긴급도 값과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 및 절차를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응급의료의 질 개선 노력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IoT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응급실 핵심기술을 살펴보고, 스마트 응급실의 자동화/지능화 기술영역에 해당하는 진료테스크 선정 지원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시된 알고리즘은 의사와 간호사의 진료테스크 선정에 따른 책임소재, 환자 불평, 위급환자 치료 지연, 체류 시간 길어짐 등의 의사결정 리스크 최소화를 위해 진료 테스크의 여러 속성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가설 설정

  • 진료테스크의 긴급도는 환자 차트를 기반으로 계산하며, 환자 차트는 응급환자 유형별 표준 치료 차트를 기초로 하고 치료과정에서 진료테스크를 가감하고 실제 처리 시간을 기록한다. 가령 응급실에서는 열린 상처 환자에 대한 치료/처치 테스크 및 표준시간을 관리한다. 환자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는 각 IoT 단말기 또는 IoT 센서를 통해 중앙컴퓨터로 전달된다.
  • 각 진료테스크는 간호사 간호업무와 환자 스스로 병상에 대기하는 과정을 거쳐서 수행된다. 가령 협진테스크는 간호사가 협진요청을 하고 환자가 기다리는 것으로 완료된다. 응급실 전문의/전공의, 협진의사, 검사실, 수술실, 일반입원실 등의 자원은 별도로 고려하지 않고 환자의 대기시간으로 처리하였다.
  • 각 속성별 측정값을 바탕으로 긴급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각 진료테스크의 속성에 대한 긴급도는 [0, 1]의 값을 부여하며, 값이 클수록 긴급도가 높다.
  • 환자가 도착하면 중증도 분류를 거쳐서 병상이 할당된다. 모든 진료를 마친 환자는 일반병동에 입원하거나 귀가한다. 병상의 환자는 의사의 진료계획에 의해 응급진료, 투약, 협진, 검사, 수술, 입원 등 몇 개의 진료테스크 단계를 거친다.
  • 진료테스크의 중요도는 환자의 개별 진료행위의 중요도를 반영하기 위한 것이다. 진료테스크 중요도는 응급실 간호업무의 표준에 따라 정해진다. 즉 응급실 간호사 설문조사(김복자, 2006) 등을 활용하여 [0, 1]의 값을 부여 한다.
  • 자료 입력을 위해 불필요하게 컴퓨 터로 이동할 필요가 없다. 진료테스크의 중요도는 표준 차트에서 자동으로 입력되고, 환자 치료 단계에서 수시로 수정된다. 진료테스크 처리시간은 표준 처리시간을 기준으로 하며 실제 처리시간을 계속 집계하여 표준 처리시간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한다.
  • 일반적으로 환자의 중증도에 따라 환자 진료 병상을 구분하여 관리하며, 의사는 응급환자의 진료계획을 수립하고, 정해진 각 진료테스크는 순서대로 처리된다. 환자의 중증도는 진료 경과에 따라 계속적으로 수정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보건의료의 패러다임이 공급자 중심에서 무엇을 중심으로 변하였는가? 최근 보건의료의 패러다임이 공급자 중심에서 환자 중심으로 변화됨에 따라 응급의료서비스의 환자 만족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응급실의 경영환경은 응급의료 시설, 인력, 응급장비 확보에 관한 정부의 의무규정을 준수하면서 높아져가는 고객만족도에 대응해야 하는 어려운 환경에 직면해있다.
보건의료의 패러다임이 환자중심으로 변해가는 상황에서 응급실의 경영환경은 어떤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가? 최근 보건의료의 패러다임이 공급자 중심에서 환자 중심으로 변화됨에 따라 응급의료서비스의 환자 만족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응급실의 경영환경은 응급의료 시설, 인력, 응급장비 확보에 관한 정부의 의무규정을 준수하면서 높아져가는 고객만족도에 대응해야 하는 어려운 환경에 직면해있다.
진료테스크 우선순위 결정 알고리즘의 장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IoT기술을 응급실 운영에 활용한 스마트 응급실의 핵심 기술을 살펴보고, 의사와 간호사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진료테스크 우선순위 결정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시한 알고리즘은 진료테스크 선정에 따른 책임소재, 환자 불평, 위급환자 진료 지연, 체류시간 길어짐 등의 의사결정 리스크를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의료진의 감정 육체 소진(Burn-out)을 줄이고 친절과 배려가 있는 환자 진료 케어를 가능하게 하여 환자 만족도와 응급실 의료진의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 나아가 간호사의 정체성 제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가상의 응급실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환자 체류시간 측면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국세, 정문수, 안성수, 이준 (2008), "무선네트워크와 Zigbee시스템을 이용한 생체신호 검출 모니터링 시스템", 한국전자통신학회 학술대회지, Vol. 2, No. 1, pp. 127-131. 

  2. 김복자, 이은남, 강경희, 김성숙, 김순애, 성영희, 신덕신, 이광옥, 이희정 (2006), "응급실 간호사의 업무 규명을 위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Vol. 12. No. 1, pp. 81-95. 

  3. 김정희, 안혜영, 엄미란, 이미영 (2010),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 업무수행, 전문직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간호학회지, Vol. 19, No. 1, pp. 50-59. 

  4. 김은아, 김광수, 임춘성, 이충현 (2015),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류체계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 20, No. 2, pp. 107-123. 

  5. 김은주, 임지영 (2010), "응급실 환자의 응급의료센터 체류시간 단축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가정간호학회지, Vol. 17, No. 1, pp. 21-27. 

  6. 김원희, 최혁중, 임태호, 강보승, 강형구 (2009), "응급실 협진의뢰의 자동화가 응급실 체류시간에 미치는 영향", 대한응급의학회지, Vol. 20, No. 2, pp. 155-162. 

  7. 김혜옥, 서봉화, 남문희, 박은아 (2013), "간호 대학생의 응급실 관찰 경험",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12, pp. 589-598. 

  8. 모창우, 최성훈 (2009), "응급진료센터 운영 개선을 위한 시뮬레이션", 한국시뮬레이션학회지, Vol. 18, No. 3, pp. 35-45. 

  9. 박종현, 방효찬, 김세한, 김말희, 이인환, 최병철, 이강복, 강성수, 김호원 (2014), 사물인터넷의 미래,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전자신문사, 서울. 

  10. 박아름, 전정호, 이경전 (2015), "IoT기반의 의료서비스 모델개발 및 구축 사례연구: NFC/iBeacon 중심의 K병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통합학술대회, pp. 263-275. 

  11. 박홍진 (2011), "스마트 응급의료 시스템 구현", 한국항행학회 논문지, Vol. 15, No. 4, pp. 646-654. 

  12. 오영호 (2014), "응급의료 만족도 실태와 개선방향", 보건복지포럼, Vol. 216, pp. 83-93. 

  13. 유인술 (2010), "응급의료체계의 현황과 발전방안", 보건복지포럼, Vol. 169, pp. 45-57. 

  14. 임호근, 서민수, 김미정 (2016.3.3), 2015년 응급의 료기관 평가결과, 보도자료,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과. 

  15. 이형훈, 임강섭, 이지연 (2015.12.29), 2016년 의료관련감염 예방.관리대책 중점 추진, 보도자료, 보건복지부 응급의료정책과. 

  16. 최종수, 김동수 (2010),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실시간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사례 연구", 산업공학(IE interfaces), Vol. 23, No. 3, pp. 246-256. 

  17. 한승주, 김혜정, 서한영, 백자연, 김소연, 김민영 (2010), "응급의료센터 내원환자의 중증도와 체류시간에 관한 연구", 중앙간호논문집, Vol. 14, pp. 63-68. 

  18. Ishivashi, K., Morishima, N., Kanabara, M., Sunahara, H. and Imanishi, M. (2009), "Toward Ubiquitous Communication Platform for Emergency Medical Care", Special Section on Internet Technology and its Architecture for Ambient Information Systems, pp. 1077-1085. 

  19. Kim, D. (2009), "A Task Assignment Rule for the Registered Nurses of the Emergency Department of Hospital Using Multiple System Attributes",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Vol. 18, No. 4, pp. 107-116. 

  20. Medeiros, D. J., Swenson, E., DeFlitch, C. (2008), "Improving Patient Flow in a Hospital Emergency Department", Proceedings of the 2008 Winter Simulation Conference, pp. 1526-1531. 

  21. Park, E. H., Park, J., Ntuen, C., Kim, D., and Johnson, K. (2008), "Forecast Driven Simulation Model for Service Quality Improvement of the Emergency Department in the Moses H. Cone Memorial Hospital", The Asian Journal on Quality, Vol. 9, No. 3, pp. 1-14. 

  22. Sneha, S. and Varshney, U. (2009), "Enabling ubiquitous patient monitoring: Model, decision protocol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Decision Support Systems, Vol. 46, No. 3, pp. 606-6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