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전기(朝鮮前期)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의 간행과 서지학적 특징
The Publication and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Hyangyak Jipseongbang During Early Joseon Period 원문보기

한국의사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v.29 no.1, 2016년, pp.55 - 69  

옥영정 (한국학중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Hyangyak Jipseongbang that was compiled in the $15^{th}$ century (1433) and continued to publish throughout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Various existing records and the early Joseon printed edition of Hyangyak Jipseongban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약집성방은 언제 편찬이 완료되었는가? 『향약집성방』의 편찬이 완료된 것은 세종 15년(1433) 6월 11일이며 편찬의 시작은 신해년(1431) 가을로 약 1년 반이 넘는 기간 동안 편찬한 것으로 파악된다. 권채의 서문에 의하면 “宣德 신해년 가을에 집현전 직제학 兪孝通, 典醫盧重禮, 副正 朴允德 등에게 명하여 다시 鄕藥方에 대하여 여러 책에서 빠짐없이 찾아내고 종류를 나누고 더 보태어 한 해를 지나서 완성하였다.
향약집성방은 무엇인가? 『향약집성방』은 조선초에 兪孝通, 盧重禮, 朴允德 등이 지은 醫書로 세종 15년(1433)에 편찬이 완성되었다.1) 이 책의 중요도나 후대에 끼친 영향 등을 고려하면 기록유산으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지만 실재로 독립된 형태의 간본 전체가 전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실증적 규모나 모습은 17세기인 1633년의 목활자인본으로 확인할 수밖에 없었다.
세종이 향약집성방의 편찬을 명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향약집성방』의 편찬이 시작된 것은 세종의 명에 의해서였다. 즉 조선개국 이후 정치, 경제, 사회 모든 부문에 기반을 세울 수 있는 체계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각 분야의 기반 문헌이 요구되는 상황이었으며 의약분야는 더더욱 절실 했던 것이다. 권채의 서문에서도 밝혔듯이 백성들의 질병을 치료하는 데 구하기도 어려운 중국산 약재보다도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약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으로 질병치료에 대한 토종 약재의 유용함을 강조한 것이며, 또 세종의 백성을 위한 큰 뜻이 있음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강연석. 鄕藥集成方의 鄕藥醫學에 대한 고찰, 韓國醫史學會誌. 2005;18:277-297. 

  2. 김남일. 鄕藥集成方의 인용문헌에 대한 연구. 진단학보. 1999;87:195-213. 

  3. 金斗鍾. 韓國醫學史. 서울:탐구당. 1981:216-219. 

  4. 金信根. 韓醫藥書攷. 서울:서울대출판부. 1987:41-81. 

  5. 김중권. 鄕藥集成方의 引用文獻 分析. 서지학연구. 2006;35:183-229. 

  6. 김홍균. 鄕藥集成方과 醫林撮要의 比較考察. 韓國醫史學會誌. 2001;14:3-24. 

  7. 三木榮. 朝鮮醫書誌. 大阪:學術圖書刊行會. 1972:17-25. 

  8. 송지청, 금경수, 엄동명.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인용서(引用書)인 집성(集成)에 관한 고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2011;24(6):187-193. 

  9. 안상우. 鄕藥集成方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서울:한국한의학연구원. 2001. 

  10. 옥영정. 元刊本의 조선간행과 유통. 동아세아출판문화 연구 국제학술회의 강연.논문집. 2009.10 

  11. 이경록. 鄕藥集成方의 편찬과 중국 의료의 조선화. 醫史學. 2011;20:225-262. 

  12. 이인영. 淸芬室書目. 서울:보련각. 1968. 

  13. 유호동 등저. 국역향약집성방. 제3책. 평양:과학백과 사전출판사. 1985. 

  14.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search/search01.jsp) 

  15. 문화재청(http://www.cha.go.kr/index.html) 

  16. 유교넷(http://www.ugyo.net) 

  17. 조선왕조실록(http://sillok.history.go.kr/main/main.jsp) 

  18. 한국고전번역원(http://www.itkc.or.kr/MAN/index.jsp) 

  19.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http://www.nl.go.kr/korcis) 

  20.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한국학중앙연구원)(http://yoksa.aks.ac.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