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정유물질에 금속산화물을 첨가한 탈취제의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제거에 관한 연구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of Deodorant by Adding a Metal Oxide to the Essential Oils 원문보기

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v.22 no.2, 2016년, pp.96 - 105  

임유영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이민호 (현대자동차 환경방재팀) ,  전수빈 (부산대학교 하이브리드소재 솔루션 국가핵심연구센터) ,  양경순 (윈테크) ,  정해은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오광중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양한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은 대기를 오염시키고 인체에 악취 물질로 작용하게 된다. 이를 제어하기 위해 기존의 악취 방지시설을 이용하여 배출가스를 처리하고 있지만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제거의 경우 기술적인 한계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별 실험을 통해 식물정유 물질 및 금속산화물의 종류를 선정하고 최적 혼합 비율을 결정함으로써 분사형 탈취제를 개발하였다. 식물정유물질 및 금속 첨가제의 종류와 혼합비율의 경우 각각 라벤더 45%, 편백나무 45%, 이산화티타늄 10%로 결정하였다. 또한 최적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제거 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희석배수, 분사량, 온도에 따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희석배수의 감소, 분사량 및 온도의 증가에 따라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제거 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경제성을 고려하여 반응가스 25 L에 대한 탈취제 최적 희석배수의 경우 200배, 분사량은 6 mL로 결정하였다. 또한 반응속도 상수활성화 에너지를 예측함으로써 혼합탈취제의 우수성과 현장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도출된 반응 속도식을 이용하여 기존의 탈취제와 비교한 결과 활성화에너지가 약 3~4배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Cs emissions from industries cause the air pollution and odor. In the industrial facilities, the existing odor treatment techniques have limits and problems. In this study, the optimum essential oil and metal oxide selected by screening test. lavender oil, cypress oil and TiO2 were determined by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연구에서 악취 물질 중 황화합물과 아민계열에 대한 악취 처리 효과가 입증됐지만 휘발성유기화합물질에 대한 연 구가 부족하고, 정유물질별 정량적인 효율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제거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식물정유 물질들을 대상으로 최적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제거 및 탈취제 제조를 위한 기초 실험을 수행하였다.
  • 기존 연구에서 악취 물질 중 황화합물과 아민계열에 대한 악취 처리 효과가 입증됐지만 휘발성유기화합물질에 대한 연 구가 부족하고, 정유물질별 정량적인 효율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제거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식물정유 물질들을 대상으로 최적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제거 및 탈취제 제조를 위한 기초 실험을 수행하였다.
  • 식물정유물질의 경우 고유의 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농도 가 높을 경우 인체에 또 다른 악취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 를 고려하여 희석배수 범위를 결정해야 한다. 따라서 본 절에 서는 인체가 감지하기 어려운 수준인 100배 이상으로 탈취제 를 희석함으로써 최적 희석배수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 식물정유물질의 경우 고유의 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농도 가 높을 경우 인체에 또 다른 악취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 를 고려하여 희석배수 범위를 결정해야 한다. 따라서 본 절에 서는 인체가 감지하기 어려운 수준인 100배 이상으로 탈취제 를 희석함으로써 최적 희석배수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한 탈취제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반응속도 및 활성화 에너지를 산정하고 기존 문헌과 비 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간에 따른 반응기 내 농도 변 화를 이용하여 악취가스의 반응 속도 상수를 계산하였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한 탈취제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반응속도 및 활성화 에너지를 산정하고 기존 문헌과 비 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간에 따른 반응기 내 농도 변 화를 이용하여 악취가스의 반응 속도 상수를 계산하였다.
  • 이와 함께 탈취제 희석배수에 따른 개별 휘발성유기화합물 질 물질에 대한 제거 효율을 파악하였다. Figure 5에서와 같이 희석배수별 아세트알데히드, 에틸벤젠, 자일렌, 뷰틸 아세테 이트, 톨루엔의 제거 효율을 측정한 결과 희석배수 200배를 기준으로 아세트알데히드 39.
  • 탈취제 분사량은 악취가스 제거 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 소 중 하나로서, 분사량에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제거 영향을 알 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분사 유량은 반응조 25 L를 기준으로 탈취제를 2 ~ 8 mL를 분사하였고, 시간에 따른 휘 발성유기화합물질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Figure 6에 나타냈 다.
  • 탈취제 분사량은 악취가스 제거 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 소 중 하나로서, 분사량에 휘발성유기화합물질 제거 영향을 알 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분사 유량은 반응조 25 L를 기준으로 탈취제를 2 ~ 8 mL를 분사하였고, 시간에 따른 휘 발성유기화합물질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Figure 6에 나타냈 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im, H. N., Bong, C. K., Kim, Y. G., and Jeon, J. M., “The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HAPs and PM from the Motor Vehicle Paint Facility,” J. Korean Soc. Atmos. Environ., 29(6), 713-721 (2013). 

  2. Kwon, S. M., Choi, Y. R., Lee, Y. M., Shin, J. H., Eo, S. M., Kim, J. H., and Kim, M. Y., “The Estimation on the Concentrations of Odorants (VOCs) from Automobile Coating Facilities in Seoul,” Report of Seoul (2006). 

  3. Song, B. J., Lee, S. M., Cho, G. J., Cho, J. G., You, P. J., and Kim, G. G., “VOC/HAPs Emission Characteristics & Adsorption Evaluation for Paint Products in Busan Area,” Report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st. Health & Environ., 34(5), 316-325 (2012). 

  4. Kim, K. R., Choi, Y. R., Lee, Y. M., Jeong, E. G., Gwon, S. M., Kim, H. K., Lee, C. H., Shin, J. H., Lee, S. C., Eo, S. M., Shin, J. S., and Kim, M. Y., “The Characteristics of Emission Gas from Automobile Coating Facility Atmospheric,” Report of Seoul Metropolitan City Inst. Health & Environ., 41, 322-328 (2005). 

  5. Yu, M. S., Hwang, S. I., and Yang, S. B., “Analysis of VOC and Odor Abatement Effect by Application of Microbes to Painting Process in Automotive Industry,” Korean J. Odor Res. Eng., 7(2), 105-113 (2008). 

  6. Sorial, G. A., Smith, F. L. Smith, P. J., Suidan, M. T., Biswas, P., and Brenner, R. C., “Biofilterstreat Contaminated Air,” Water Environ. Technol., 50-54 (1994). 

  7. Izumo, M., “VOC Regulations and Off-gas Treatment Technology,” J. Japan Assoc. Odor Environ., 35, 142-145 (2004). 

  8. Martha, J. M., and Allen, D. G., “Biodegradation of α-Pinene in Model Biofilms in Biofilters,” Environ. Sci. Technol., 39(15), 5856-5863 (2005). 

  9. Kim, S. H., Han, K. S., and Mang., J. Y., “Evaluations on the Deodorization Effec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hmaecyparis Obtuse Essential Oil,” Korean J. Odor Res. Eng., 8, 111-117, (2009). 

  10. McCrory, D. F., and Hobbs, P. J., “Additives to Reduse Ammonia and Odor Emissions from Livestock Wastes: A Review,” J. Environ. Qual., 30, 345-355 (2001). 

  11. Jeong, Y. J., Lee, J. D., and Lee, L. H., "Deodorant Composition," Korean Patent No. 2003-0056740 (2003). 

  12. Huh, K., "Production of Wood (bamboo) Vinegars-deodorant for Removing of Air Pollutant (Foul Odor) and using Methods and Systems," Patent 10-0481202 (2005). 

  13. Kim, O. K., "An Antobiotic Deodorant using Refined Oil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an Antobiotic Deodorant using this," Korean Patent No. 10-0481202 (2005). 

  14. Piddock, L. J., “The Effect of the Phytoncide in Decreasing the Mouse Odor,” J. Oral Maxilofac. Surg., 32, 151-156 (1990). 

  15. Park, Y. G., Kim, H. J., and Choi, K. Y.,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Chemicals for the Removal of Toxic Gases using Wasted Woods:, Ministry of Environment(2005). 

  16. Moon, B. H., You, K. S., and Park, Y. K., “Study on the Extraction of Essential Oil for Odor Control,” Korean Soc. Atmos. Environ., 4, 193-194 (2006). 

  17. Kim, H. S., Han, S. G., and Maeng, J. Y., “Evaluations on the Deodorization Effec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hamaecyparis obtusa Essential Oil,” J. Korean Soc. Odor Res. Eng., 8(3), 111-117 (2009). 

  18. Hwang, H. J., Yu, J. S., Lee, H. Y., Kwon, D. J., Han, W., Heo, S. I., and Kim, S. Y., “Evaluations on Deodorization Effect and Anti-oral 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Pinus koraiensis,” Korean J. Plant Resour., 27(1), 1-10 (2014). 

  19. Katsunori, Y., and Masamichi, I., “Recent Progress in Environmental Catalytic Technology,” Catal. Surveys from Japan, 4, 83-90 (2000). 

  20. Anass, M., Satu, O., Laurenece, P. R., Mohammed, B., Ritta, K., and Rachid, B., “Catalytic Partial Oxidation of Methanol and Methyl Mercaptan: Studies on the Selectivity of TiO 2 and CeO 2 Supported V 2 O 5 Catalysts,” Springer Science Business Media New York (2013). 

  21. Li, X. Z., Hou, M. F., Li, F. B., and Chua., H., "Photocatalytic Oxidation of Methyl Mercaptan in Foul Gas for Odor Control," Guangdong Institute of Eco-Environment and Soil Science, Guangzhou, China (2009). 

  22. Lee, S. C., and Kim, D. J., “Odorous Gas Removal in Biofilter with Powdered Activated Carbon and Zeolite Coated Polyurethane Foam,” The Korean Soc. Clean Technol., 18(2), 209-215 (2012). 

  23. Seo, S. G., Yoon, H. S., Ma, Z. K., and Liu, Y., “Odors Removal by using Manganese Oxide Catalysts,” J. Korean Soc. Atmos. Environ., 26(4), 443-448 (2010). 

  24. Chin, P., Yang, L. P., and Ollis, D. F., “Formaldehyde Removal from Air via a Rotating Adsorbent Combined with a Photocatalyst Reactor: Kinetic Modeling,” J. Catal., 237(1), 29-37 (2006). 

  25. Song, G. H., and Bu, J. Y., "Offensive Mixed Odor Treatment System of Low Concentration and Mid Concentration by using Catalytic Oxidizing Water," Patent 1020110130276 (2011). 

  26. James, R. K., and Das, K. C., “Wet Scrubber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 Removal in the Rendering Industry,” J. Air & Waste Manage. Assoc., 52(4), 459-469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