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라벤더 꽃과 에센셜 오일의 향기 성분 분석 및 재현
Analysis and Reproduction of Fragrance Components of Lavandula Angustifolia Flower and Essential Oil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7 no.2, 2021년, pp.93 - 98  

고은성 (한국콜마 기술연구원 향료연구센터) ,  김형묵 (세명대학교 화장품임상연구지원센터) ,  곽병문 (세명대학교 화장품뷰티생명공학부) ,  이미기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빈범호 (아주대학교 응용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수입에 의존되는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수요 및 재배가 늘고 있는 허브 식물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차별 방안을 찾고자 SPME 법으로 국내 재배 라벤더 꽃의 원물 손상 없이 향기 성분만을 분석 재현해내는 연구를 통해 수입 라벤더 에센셜 오일과의 향기 구성성분 차이를 확인하고 국내 재배 허브 식물의 향기 독창성을 찾고자 한다. 라벤더 에센셜 오일은 총 38 종, 라벤더 꽃은 총 27 종의 향기 성분이 분석되었으며 이들 중 공통성분은 myrcene, d-limonene, 1,8-cineol, ocimene, p-cymene, α-terpinolene, camphor, linalool, linalyl acetate, bornyl acetate, 4-terpineol 및 a-terpineol 으로 총 12 종이 유일하였다. 또한 두 시료의 향기 구성성분 중 국내 재배 라벤더 꽃의 알러젠 종류와 함량이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5 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시행한 결과 국내 재배 라벤더 꽃 재현향이 종래까지 산업에 활용되어져 온 라벤더 에센셜 오일보다 높은 호감도를 나타내어 알러지 유발성분의 함량을 낮춘 라벤더향으로 산업화에 확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find a discriminatory way that can lower the dependence on imports of aroma essential oils and increase the value of herb plants that are growing in domestic demand and cultivation. To this end, through a study that analyzes and reproduces fragrance components without damaging the...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4)

  1. M. Bialon, T. Krzysko-Lupicka, E. Nowakowska-Bogdan, and P. P. Wieczorek, Chemical composition of two different Lavender essential oils and their effect on facial skin microbiota, Molecules, 24(18), 3270 (2019). 

  2. F. Andrei, A. Ersilia, C. Tulcan and A. Dragomirescu, Chemical composition and the potential of Lavandula angustifolia L. oil as a skin depigmentant, Rec. Nat. Prod., 12(4), 340 (2018). 

  3. M. G. Migue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A short review, Molecules, 15(12), 9252 (2010). 

  4. Ray Marsil, Flavor, fragrance, and odor analysis, 280, CRC Press, New York Washington, D.C. (201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