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공공디자인 연구동향에 대한 메타분석
A Research Trends for Domestic Public Design by Meta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5 no.3 = no.116, 2016년, pp.102 - 111  

황미영 (동양대학교 건축실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various form of public elements in modern urban space. These public elements mingle with sociocultural elements which consist of each city, determining urban environment's image. Especially, since the social value of design becomes important, the social role of public design has been emp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연구들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분석을 함으로써 일정기간 동안 수행된 연구 활동의 현황과 변화추이, 핵심주제 등을 파악하고 새로운 연구방향의 틀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의 밀집한 도시공간 속에서 조우하게 될 공공의 환경을 대상으로 기존 연구의 문헌조사와 분석을 통해 그 동안의 공공디자인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의 공공디자인 관련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공공과 관련한 디자인적 요소들에 대한 구축방향을 모색하는 한 방법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 8%)의 경우는 공공매체 디자인 영역 중에서 비교적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정보적⋅상징적 매체 영역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많았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거시적 관점에서의 도시환경에 대한 관심과 함께 도시의 세련된 이미지 제고를 위해 공공공간 및 공공시설물 전반에 걸쳐 지역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다양한 방안 및 지침을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본 연구는 도시와 지역의 특성은 물론 인간과 환경 간 소통의 인터페이스로서 공공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공공디자인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을 통해 그 추이와 특성을 분석하고 나아가 공공디자인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아래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5개 학회에서 발표된 논문 253편에 대해 종합적 분석이 가능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 본 연구는 최근 일정시기부터 집중적으로 다루어진 공공디자인 관련 연구의 결과물들에 대한 동향 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연구자들의 관심과 의식 및 사회적 변화에 대한 공간적 대응과 제안 등을 파악할 수 있었고, 그에 따른 시사점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공공디자인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의 결과는 향후 도시 및 지역의 재생을 위한 공공디자인 연구의 방향 제시에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현재까지 공공디자인을 주제로 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은 불과 10여년이 채 되지 않아 역사가 비교적 짧고, 다수의 논문이 발표되어왔으나, 이 시점에서 각 발표된 연구논문들에 대한 종합적 판단과 거시적 조망, 향후 전개방향 등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21세기가 되면서 국가와 공공의 지대한 관심 속에서 진화해 온 오늘날의 공공디자인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이루어졌던 공공디자인 관련 연구동향에 대해 종합적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고, 향후 확장 및 발전을 거듭하게 될 공공의 환경을 위한 디자인적 측면의 바람직한 연구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 공공디자인의 영역은 공공 영역의 모든 것들이 다 대상이 될 수 있으며, 그 실행주체에 따라 공공디자인의 분류체계가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공공디자인학회, 서울시 등에서 분류한 공공디자인의 영역과 범위를 분석해보았다.<표 1참조> 각 실행주체들은 공공디자인의 영역과 범위에 대해 공통적으로 물리적 기반의 공공공간분야와 공공시설분야, 그리고 시지각을 통해 전달되는 공공매체(정보)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 공공디자인 연구의 분석대상 지역에 대한 분석은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진 각 지역의 공공환경에 대한 평가와 거시적 방향설정에 의미 부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느 지역을 대상으로 공공디자인의 연구를 진행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각 분석대상 논문에서 제시된 연구대상지를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국내 및 해외, 국내외비교연구, 지역별로 코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 공공디자인의 대상과 영역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매우 광범위한 분야이다. 분석대상의 연구논문에서는 공공디자인 대상 중에서 어떠한 아이템이 주요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논문에 따라 공공디자인의 전반적인 개념과 역할 등을 다루고 있는 경우도 있어, 각 분석대상 논문에서 밝히고 있는 연구 대상 아이템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 분석대상의 연구논문에서는 공공디자인 대상 중에서 어떠한 아이템이 주요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논문에 따라 공공디자인의 전반적인 개념과 역할 등을 다루고 있는 경우도 있어, 각 분석대상 논문에서 밝히고 있는 연구 대상 아이템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2장에서 언급된 공공디자인 영역과 분류체계를 참고하여 연구 대상 아이템을 공공공간, 공공시설물, 공공매체로 구분하여 대분류한 후 연구내용에 따라 세분화하여 코딩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디자인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공공(公共)의 의미는 국가나 사회의 구성원에게 두루 관계되는 것이고, 디자인(design)은 목적 달성을 위해 조형적으로 실체화하는 창조적 활동의 결과물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즉 공공디자인은 사회에 속한 구성원들을 위한 창조적 활동으로 공공영역에서의 여러 장치들을 합리적으로 아름답게 계획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공공영역에서 실행되어지는 공공디자인은 한나 아렌트(Hanna Arendt)가 공공영역에 대해 자유를 위한 장소(place)로 표현했듯이, 대중이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되어 있는 상태의 공간에서의 활동들이라 할 수 있다.
디자인이란? 공공(公共)의 의미는 국가나 사회의 구성원에게 두루 관계되는 것이고, 디자인(design)은 목적 달성을 위해 조형적으로 실체화하는 창조적 활동의 결과물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즉 공공디자인은 사회에 속한 구성원들을 위한 창조적 활동으로 공공영역에서의 여러 장치들을 합리적으로 아름답게 계획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공공디자인은 무엇을 고려해야하는가? 공공디자인은 말 그대로 공공을 위한 디자인이다. 공공(시민)이 속한 영역(도시)에 디자인적 접근을 통해서 기본적으로는 기능성과 심미성을 고려해야 하고, 소통과 배려, 안전, 정체성 등의 의미를 내포하며, 또한 무엇보다도 도시와 인간 그리고 자연이 공존하도록 하는 지속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에너지 부족과 환경오염을 극복 하여 도시가 숲의 일부가 되도록 그린웨이(Greenway)를 조성하거나 그린네트워크를 연결하면서, 환경과 인간을 배려하는 친환경적 접근이 공공디자인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권영걸, 공공디자인산책, 사미헌, 2008 

  2. 김병욱, 메타(Meta) 분석방법, 킴스정보전략연구소, 2015 

  3. 김성태, 국내 내용분석 연구의 방법론에 대한 고찰 및 제언, 커뮤니케이션이론, 2005.12 

  4. 송혜향, 메타분석법, 자유아카데미, 1992 

  5. 최인규, 공공디자인 펀더멘털, 시공문화사, 2008 

  6. 월간디자인361, 디자인하우스, 2008.7 

  7. Earl R. Babbie, 사회조사방법론, 센게이지러닝코리아(주), 2012 

  8. http://www.dbpia.co.kr 

  9.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0825&efYd20160804#0000 

  10. http://sculture.seoul.go.kr/archives/9779 

  1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18670&cid41991&categoryId4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