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종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Department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9 no.1, 2016년, pp.55 - 63  

이윤정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 ,  문성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남경아 (한림대학교 간호학부.한림대학교 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department in a general hospital located at local city. Method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the medical records of 201 suicide attempters were reviewed with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농복합도시에 소재한 종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특성을 분석하여 도시와 농촌 지역의 자살 관련 특성을 구체적으로 드러내었고, 지역 역학에 적합한 자살관리 전략을 구축하는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본 연구는 소도시 일개 병원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의무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므로 그 정보가 제한될 수 있고,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다.
  • 본 연구는 일정기간 동안 일 종합병원의 응급실에 자살시도를 주호소로 내원한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지를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소도시에 소재한 일 종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 개발에 필요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먼저 본 연구의 결과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중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이는 자살시도자를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들(Kim et al.
  •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정기간 동안 일 지역 종합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의 전수 자료를 수집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자살과 관련된 주요변인인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자료수집이 수행되었던 의료기관은 도농복합도시에 위치해 있고, 지역의 의료시설이 충분하지 않아 자살시도와 같은 위급한 상황의 대상자들이 해당 의료기관으로 내원하거나 전원되는 경향이 높았다.
  • 이는 우리사회에서 나타나는 자살이라는 현상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하여 자살 자체에 관련된 실증적인 자료들이 양적으로 풍부해져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살에 관한 거시적인 관점을 제시하기에 앞서 제한된 범위 내에서 개인의 자살시도 행위를 조사하여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자살관리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시행되었다.

가설 설정

  • 046). 자살시도 장소나 이유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자살시도방법은 도시의 경우 ‘의약품이나 이물 삼킴’이 31명(3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과 관련된 연구는 거시적, 미시적 관점에서 계속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자살과 관련된 특성을 규명한 연구들(Bark & Lee, 2014; Qin, Agerbo, & Mortensen, 2003)에서 자살은 정신질환, 경제상태, 직업, 결혼상태, 가족력, 성별, 거주 지역, 연령 등과 관련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자살은 사회경제적, 개인적 특성뿐만 아니라 그 사회의 가치관, 문화 및 종교, 법 · 제도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자살과 관련된 연구는 거시적, 미시적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만 자살과 관련된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어 자살에 성공한 사람들을 조사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지만 이는 한계가 있으므로 자살시도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자살과 관련된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어 무엇이 가장 정확한 방법인가? 또한 자살은 사회경제적, 개인적 특성뿐만 아니라 그 사회의 가치관, 문화 및 종교, 법 · 제도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므로 자살과 관련된 연구는 거시적, 미시적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만 자살과 관련된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어 자살에 성공한 사람들을 조사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지만 이는 한계가 있으므로 자살시도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자살시도자의 경우 자살시도가 반복되어 결국 자살에 이르는 경우가 많고(Cho, Park, Yoon, Kim, & Lee, 2005; Howson, Yates, & Hatcher, 2008), 실제로 자살시도자의 특성이 자살자의 특성과 상당히 관련되어 있다는 보고(Zhang et al.
효율적인 자살관리에 있어 주요한 인구집단으로 고려되는 자살시도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분석하여 조사한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효율적인 자살관리에 있어 주요한 인구집단으로 고려되는 자살시도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기존의 전국규모 또는 일반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시행한 자살 관련연구와는 달리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성별이나 거주 지역에 따라 자살시도자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기존의 연구결과와 상이하게 중년남성 자살시도자의 특성이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향후 성별, 거주 지역, 연령 등을 고려한 한정적이고 정교한 조사가 확대된다면 자살의 역학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도출되어 자살관리정책의 방향과 효과적인 전략을 설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rk, H. M., & Lee, E. J. (2014). Social factors on suicide in Korea.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Retrieved December 30, 2015, from https://www.kic.re.kr/pubdata/public/List.jsp 

  2. Cho, J. K., Park, I. C., Yoon, Y. S., Kim, S. H., & Lee, K. R. (2005). Psychiatric follow-up after ED discharge in cases of intentional poiso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6(1), 158-163. 

  3. Cho, J., Jeong, S., Lee, M., & Seo, Y. (2008). Survey of the management systems and decision-making.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9(5), 535-540. 

  4. Choi, D. C., Kim, H. R., Kim, C. H., Park, S. H., Kim, S. H., Cho, Y. R., et al. (2000).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room. Korean Journal of Psychopathology, 9(1), 36-49. 

  5. Doshi, A., Boudreaux, E. D., Wang, N., Pelletier, A. J., & Camargo, C. A. (2005). National study of US emergency department visits for attempted suicide and self-inflicted injury, 1997-2001.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46(4), 369-375. http://dx.doi.org/10.1016/j.annemergmed.2005.04.018 

  6. Hakko, H., Manninen, J., Karvonen, K., Sarkioja, T., Meyer-Rochow, V. B., Rasanen, P., et al. (2008).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illnesses and depressive symptoms requiring hospitalization in suicide victims. Psychiatry Research, 160(3), 271-277. http://dx.doi.org/10.1016/j.psychres.2007.07.025 

  7. Howson, M. A., Yates, K. M., & Hatcher, S. (2008). Re-presentation and suicide rates in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who self harm. Emergency Medicine Australasia, 20(4), 322-327. http://dx.doi.org/10.1111/j.1742-6723.2008.01104.x 

  8. Jung, S. H. (2005). The socioeconomic burden of suicide and depression in South Korea. Seoul: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Research and Education. 

  9. Kang, M. S., Chun, Y. J., & Sohn, T. H. (2008). Work and family related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middle-aged married men in Korea.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3(1), 105-134. 

  10. Kawashima, Y., Yonemoto, N., Inagaki, M., & Yamada, M. (2014). Prevalence of suicide attempters in emergency departments in Japa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63, 33-39. http://dx.doi.org/10.1016/j.jad.2014.03.025 

  11. Kim, J., Seo, W. S., Lee, J. H., Kim, H., Lee, K., & Won, S. (2015).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admit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s of university hospitals-demographic and psychosocial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1(2), 95-104. 

  1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n. d). 2014 Suicide rate. Retrieved December 30, 2015, from http://kosis.kr/ups/ups_01List.jsp?pubcodeYD 

  13. Kwon, J. W., Ko, Y. H., Han, C. S., Lee, M. S., Yoon, H. K., & Lee, H. (2013).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referral to psychiatric care in the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center.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21 (2), 106-113. 

  14. Lim, M., Kim, S. W., Nam, Y. Y., Moon, E., Yu, J., Lee, S., et al. (2014). Reasons for desiring death: Examining causative factors of suicide attempters treated in emergency rooms in Korea.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68, 349-356. http://dx.doi.org/10.1016/j.jad.2014.07.026 

  15. Lopez-Castroman, J., de las Mercedes Perez-Rodriguez, M., Jaussent, I., Alegria, A. A., Artes-Rodriguez, A., Freed, P., et al. (2011). Distinguishing the relevant features of frequent suicide attempters.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45(5), 619-625. http://dx.doi.org/10.1016/j.jpsychires.2010.09.017 

  16. Moscicki, E. K. (2001). Epidemiology of completed and attempted suicide: Toward a framework for prevention. Clinical Neuroscience Research, 1(5), 310-323. http://dx.doi.org/10.1016/s1566-2772(01)00032-9 

  17. Nam, Y., & Lee, H. (2008). Understanding and prevention of suicide. Seoul: Hakjisa. 

  18. O'Dea, D., & Tucker, S. (2005). The cost of suicide to society. Wellington: Ministry of Health. Retrieved December 30, 2015, from http://www.health.govt.nz/system/files/documents/publications/thecostofsuicidetosociety.pdf 

  19. OECD(2015). Health at a glance 2015: OECD indicators. Paris: OECD Publishing. http://dx.doi.org/10.1787/health_glance-2015-en 

  20. Park, H. N., Jun, S., & Byun, E. K. (2014). The psychiatric treatment link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room.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2), 93-102. http://dx.doi.org/10.14370/jewnr.2014.20.2.93 

  21. Qin, P., Agerbo, E., & Mortensen, P. B. (2003). Suicide risk in relation to socioeconomic, demographic, psychiatric, and familial factors: A national register-based study of all suicides in Denmark, 1981-1997.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0(4), 765-772. http://dx.doi.org/10.1176/appi.ajp.160.4.765 

  22. Vishnuvardhan, G., & Saddichha, S. (2012). Psychiatric comorbidity and gender differences among suicide attempters in Bangalore, India. General Hospital Psychiatry, 34(4), 410-414. http://dx.doi.org/10.1016/j.genhosppsych.2012.03.017 

  23. Weisman, A. D., & Worden, J. W. (1972). Risk-rescue rating in suicide assessment.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6(6), 553-560. http://dx.doi.org/10.1001/archpsyc.1972.01750240065010 

  24. Zhang, J., Sun, L., Conwell, Y., Qin, P., Jia, C. X., Xiao, S., et al. (2015). Suicides and medically serious attempters are of the same population in Chinese rural young adult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76, 176-182. http://dx.doi.org/10.1016/j.jad.2015.0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