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부 마찰 소음 측정을 통한 피부 상태 연구
A Study on Skin Status with Acoustic Measurements of Skin Friction Noise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2 no.2, 2016년, pp.103 - 109  

장윤희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서대훈 (KAIST 기계공학과) ,  고아름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김선영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임준만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한종섭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이상화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박선규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김양한 (KAIST 기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장품 사용 전후의 피부 상태는 주로 시각과 촉각 및 피부 구조에 기초한 정성적, 정량적 방법에 의해 평가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할 때 문지름으로 인한 마찰 소음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피부 문지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여 청각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피부 상태 평가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우선 무향 조건에서 고감도의 계측용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피부를 문질렀을 때 발생하는 소리를 계측하였으며, 주파수 영역(1/3 옥타브 스펙트럼) 해석법을 이용하여 세정 전, 세정 후, 화장품 도포 후의 세 가지 피부 조건에 따른 소리의 스펙트럼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정 전보다 세정 후에 피부 문지름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세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화장품 도포 후에는 문지름 소음의 총 세기가 가장 작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장품 도포 후는 도포 전과 비교해볼 때, 2 kHz 미만의 저주파 대역의 에너지는 증가하며 반대로 2 k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의 에너지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변곡점이 발생하였다. 화장품 도포 후에 변곡점 근처에서 에너지 차이가 반전되는 이러한 현상은 피부의 물리적 모델인 풍선으로 해석되며, 저주파 영역에서의 소리 세기의 증가를 설명하기 위해 "유연함 지표"를 도입하고, 고주파 영역에서의 소리 세기의 감소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부드러움 지표"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소리 측정을 통한 유연함 증가와 부드러움 증가는 각각 cutometer와 primos을 사용한 피부 유연함 측정과 피부 거칠기 측정 결과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유연함과 부드러움 지표를 사용하는 청각에 기초한 평가 방법은 새로운 피부 상태 평가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icacy of cosmetics has been mainly evaluated b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based on visual sense, tactile sense and skin structure until now.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novel evaluation method for skin status based on sound; measuring and analyzing the rubbing noise generated by ap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청각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피부 상태 평가법을 개발하고자, 음향 측정법을 활용하여 세정 전, 세정 후, 화장품 도포 후의 문지름 소리를 분석하고, 화장품 사용 전후의 피부 성능 개선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새로운 음향적 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피부 문지름 소리의 변화를 측정 및 분석하여 소리를 이용한 새로운 피부 상태 평가법 및 피부 상태 지표를 창안하고자 하였다. 고감도의 계측용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샘플링 주파수로 계측하였으며, 주파수 영역(1/3 옥타브 스펙트럼) 해석법을 이용하여 스펙트럼 변화 유의를 관찰하고 차단 주파수가 100 Hz인 고역 통과 필터링을 통한 평균화된 스펙트럼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의 피부 상태 및 화장품 사용 후의 변화를 측정하는 인체 시험 항목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개인의 피부 상태 및 화장품 사용 후의 변화를 측정하는 인체시험 항목에는 피부의 보습, 탄력, 결, 부드러움 및 피부색 측정 등이 있다. 피부 보습 즉 피부 수분량의 경우 corneometer을 사용하여 수분 함량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피부 각질층내의 수분량을 측정하며, 피부 탄력은 cutometer을 사용하여 피부에 음압(negative pressure)을 발생시킨 후, 음압이 제거되었을 때 피부가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측정하며, 피부 결과 부드러움은 피부 영상을 촬영하는 장비인 primos나 피부의 본(replica)으로 피부 표면의 이미지를 확보하여 측정하거나, 마찰 계수(friction coefficient)를 측정하여 평가한다.
피부 수분량은 어떠한 원리를 이용하여 각질층의 수분을 측정하는가? 개인의 피부 상태 및 화장품 사용 후의 변화를 측정하는 인체시험 항목에는 피부의 보습, 탄력, 결, 부드러움 및 피부색 측정 등이 있다. 피부 보습 즉 피부 수분량의 경우 corneometer을 사용하여 수분 함량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피부 각질층내의 수분량을 측정하며, 피부 탄력은 cutometer을 사용하여 피부에 음압(negative pressure)을 발생시킨 후, 음압이 제거되었을 때 피부가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측정하며, 피부 결과 부드러움은 피부 영상을 촬영하는 장비인 primos나 피부의 본(replica)으로 피부 표면의 이미지를 확보하여 측정하거나, 마찰 계수(friction coefficient)를 측정하여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피부 색은 색차계(colorimeter)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의 밝기를 측정한다.
기존의 피부측정과는 달리 최근의 피부측정 방법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이와 같은 기존의 피부측정은 인간의 오감 중 주로 시각 및 촉각에 기반한 평가방법이다. 그러나, 최근 피부의 상태에 따라, 피부에서 발생하는 소리가 변화하고, 그 변화를 피부 마찰 소리의 전체 크기 레벨(sound pressure level, SPL)로 나타내고자 하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하였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H. Zahouani, R. Vargiolu, G. Boyer, C. Pailler-Mattei, L. Laquize, and A. Mavon, Friction noise of human skin in vivo, Wear, 267(5), 1274 (2009). 

  2. E. J. Jin and G. S. Cho, Sound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aekwondo uniform fabrics, J. Kor. Soc. Cloth. Ind., 14(3), 486 (2012). 

  3. J. Y. Cho and G. S. Cho, Properties influencing the fabric sound sensibility evoked by the similar sound pressure of fabric sounds, Ergonomics in Safety and Health, Pusan, 108 (2005). 

  4. Y. H. Kim, Sound propagation: an impedance based approach, 93, John Wiley & Sons, Hoboken, Singapore (2010). 

  5. E. Zwicker and H. Fastl, Psychoacoustics-facts and models, 2, Springer-Verlag, New York, Washington D.C. (1999). 

  6. Y. H. Kim and K. W. Nam, Lecture notes on acoustics, 67, Cheongmoongak, Seoul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