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각질형성세포에서 왕불유행 헥산 분획물이 Laminin-332 발현에 미치는 효과
Hexane Fraction of Melandrium firmum Extract Induces Laminin-332 Expression in Human Keratinocyte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2 no.2, 2016년, pp.173 - 181  

송혜진 ((주)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김미선 ((주)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이홍구 ((주)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진무현 ((주)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이상화 ((주)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피부 기저막(basement membrane, BM)이란 표피와 진피 사이에 존재하는 특별한 구조물로 표피와 진피를 단단히 고정시켜 피부 구조를 유지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노화 및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기저막의 구조적 변화와 파괴는 피부 주름 형성과 탄력 저하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현상의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Laminin-332 (LN-332)는 피부 기저막을 구성하는 주성분으로 피부에서 표피와 진피를 단단히 고정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왕불유행 헥산 분획물(Melandrium firmum hexane fraction, MFHF)이 각질형성세포에서 LN-332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정량적 real-time PCR (RT-PCR)과 단백질 발현 분석을 통해서 MFHF가 LN-332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MFHF가 어떤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LN-332 발현을 조절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p38 MAPK 억제제인 SB202190과 ERK1/2 억제제인 U0126을 처리한 결과, p38 MAPK 억제제에 의해서 LN-332 발현이 완벽히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부 기저막을 구성하고 있는 콜라겐 타입 VII과 integrin ${\alpha}6$의 mRNA 발현 역시 MFHF에 의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MFHF가 각질형성세포에 작용하여 피부 기저막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는 소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저막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에 의해 나타나는 피부노화 현상의 개선을 위해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kin basement membrane (BM) is a specialized structure that binds dermis and epidermis of the ski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skin structure. Structural change and destruction of BM is reported to appear due to UV exposure and aging, which may contribute to skin aging including wrin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내인성 및 외인성 요인에 의한 피부 기저막의 파괴 및 손상에 의해 주름 형성, 탄력 감소와 같은 피부노화가 유발될 수 있으므로 피부 기저막을 구성하고 있는 LN-332, 콜라겐 타입 VII, 콜라겐 IV와 같은 성분들의 생성을 촉진하여 기저막을 회복시켜주기 위한 물질들을 항노화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6,18,19]. 우리는 본 연구에서 피부 진피와 표피 사이의 부착 및 고정에 있어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LN-332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성분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왕불유행 분획물 중 헥산 분획물(MFHF)이 HaCaT 세포에서 LN-332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라미닌은 현재까지 어떠한 종류들이 밝혀졌는가? 라미닌(laminin, LN)은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heterotrimeric glycoprotein으로 α, β, γ 세 개의 chain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까지 보고된 바에 의하면, 5종의 α chain, 3종의 β, γ chain이 각각 존재하며, 세 가지 chain의 조합에 의해 적어도 16종의 다른 LN isoform이 존재한다. 이 중 LN-332는 피부 기저막을 이루는 주요 구성 성분으로서 표피와 진피를 단단히 고정시켜 표피와 진피 사이에 안정성을 부여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22].
피부 기저막의 구조적 형태 및 기능적 변화의 원인은 무엇인가? 나이든 사람의 피부에서는 피부 기저막의 손상 및 파괴가 보고되었으며, 20대 젊은 사람의 피부에서도 자외선에 노출된 얼굴과 같은 피부에서는 기저막이 손상된 것이 보고되었다[12,13]. 피부 기저막의 구조적 형태 및 기능적 변화는 피부 기저막의 구성 성분들을 분해시키는 plasmin과 MMPs와 같은 단백질 분해 효소 들의 활성이 자외선에 의해서 증가하여 기저막 구성성분들이 파괴되기 때문이며[6,12-14],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기저막 구성 성분들의 발현 또한 감소하기 때문이다[5]. 구체적으로, 콜라겐 타입 IV의 발현은 태아 섬유아세포에서는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고 있지만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며[15], 콜라겐 타입 VII 역시 사람 피부 세포에서 나이에 따라 발현이 감소되어 TGF-β와 같은 콜라겐 생성을 유도하는 자극원에 의해서도 더 이상 반응하지 않는 등 생성 촉진이 저하 됨이 보고되었다[16].
피부 기저막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성분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그 이외에 표피와 진피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세포 사이나 세포와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 사이의 물리적인 장벽 역할, 표피와 진피 두 층 간의 선택적인 투과 기능 및 커뮤니케이션의 조절, 그리고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4-10]. 피부 기저막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성분으로는 콜라겐 타입 IV, laminin-332 (LN-332), 콜라겐 타입 VII, 퍼레칸(perlecan), 니도겐(nidogen) 등이며, 이런 성분들이 서로 그물 형태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11,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J. H. Chung, Photoaging in asians, Photodermatol. photoimmunnol. photomed., 19(3), 109 (2003). 

  2. G. J. Fisher, S. Kang, J. Varani, Z. Bata-Csorgo, Y. Wan, S. Datta, and J. J. Voorhees, Mechanism of photoaging and chronological skin aging, Arch. Dermatol., 138(11), 1462 (2002). 

  3. P. U. Giacomoni and G. Rein, Factors of skin ageing share common mechanisms, Biogerontology, 2(4), 219 (2001). 

  4. T. Nishiyama, S. Amano, M. Tsunenaga, K. Kadoya, A. Takeda, E. Adachi, and R. E. Burgeson, The importance of laminin 5 in the dermal-epidermal basement membrane, J. Dermaltol. Sci., 25, S51 (2000). 

  5. C. Reymermier, A. Guezennec, J. E. Branka, J. Guesnet, and E. Perrier, In vitro stimulation of synthesis of key DEJ constituents in a reconstructed skin model: a quantitative study, Int. J. Cosmetic Sci., 25(1-2), 55 (2003). 

  6. S. Amano, Possible involvement of basement membrane damage in skin photoaging,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14(1), 2 (2009). 

  7. M. C. Ryan, A. M. Christiano, E. Engvall, U. M. Wewer, J. H. Miner, J. R. Sanes, and R. E. Burgesoni, The functions of laminins: lessons from in vivo studies, Matrix Biol., 15(6), 369 (1996). 

  8. F. M. Watt, Selective migration of terminally differentiating cells from the basal layer of cultured human epidermis, J. Cell BIol., 98(1), 16 (1984). 

  9. A. Bohnert, J. Hornung, I. C. Mackenzie, and N. E. Fusenig, Epithelial- mesenchymal interactions control basement membrane production and differentiation in cultured and trasplanted mouse keratinocytes, Cell Tissue Res., 244(2), 413 (1986). 

  10. Y. Barrandon and H. Green, Three clonal types of keratinocyte with different capacities for multiplication, Proc. Natl. Acad. Sci. USA, 84(8), 2302 (1987). 

  11. K. Muta-Takada, T. Terada, H. Yamanishi, Y. Ashida, S. Inomata, T. Nishiyama, and S. Amano, Coenzyme Q10 protects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cell death and enhances the synthesis of basement membrane components in dermal and epidermal cells, Biofactors, 35(5), 435 (2009). 

  12. S. Amano, Basement membrane damage, a sign of skin early aging, and laminin 5, a key player in basement membrane care, SCCJ., 35(1), 1 (2001). 

  13. S. Amano, Y. Ogura, N. Akutsu, Y. Matsunaga, K. Kadoya, E. Adachi, and T. Nishiyama, Protective effect of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s against epidermal basement membrane damage: skin equinalents partially mimic photoageing process, Br. J. Dermatol., 153(S2), 37 (2005). 

  14. Y. Ogura, Y. Matsunaga, S. T. Nishiyama, and S. Amano, Plasmin induces degradation and dysfunction of laminin 332 (laminin 5) and impaired assembly of basement membrane at the dermal-epidermal junctions, Br. J. Dermatol., 159(1), 49 (2008). 

  15. D. Olsen and J. Uitto, Differntial expression of type IV procollagen and laminin genes by foetal vs adult skin fibroblasts in culture; determination of subunit mRNA steady state level, J. Invest. Dermatol., 93(1), 127 (1989). 

  16. Y. Chen, A. Mauviel, and J. Rynanen, Type VII collagen gene expression by human fibroblasts and keratinocytes in culture: influence of donor age on cytokine response, J. Invest. Dermatol., 102(2), 205 (1994). 

  17. T. Karttunen, J. Risteli, H. Autio-Harmainen, and L. Risteli, Effect of age and diabetes on type IV collagen and laminin in human kidney cortex, Kidney Int., 30(4), 586 (1986). 

  18. M. Y. Seo, S. Y. Chung, W. K. Choi, Y. K. Seo, S. H. Jung, J. M. Park, M. J. Seo, J. K. Park, J. W. Kim, and C. S. Park, Anti-aging effect of rice wine in cultured human fibroblasts and keratinocytes, J. Biosci. Bioeng., 107(3), 266 (2009). 

  19. J. Sok, N. Pineau, M. Dalko-Csiba, L. Breton, and F. Bernerd, Improvement of the dermal epidermal junction in human reconstructed skin by a new c-xylopyranoside derivative, Eur. J. Dermatol., 18(3), 297 (2008). 

  20. M. Yamaguchi, N. Ebihara, N. Shima, M. Kimoto, T. Funaki, S. Yokoo, A. Murakami, and S. Yamagami, Adhesion, migration and proliferation of cultured human corneal endothelial cells by laminin-5, Invest. Ophthalmol. Vis. Sci., 52(2), 679 (2011). 

  21. S. Amano, N. Akutsu, Y. Ogura, and T. Nishiyama, Increased of laminin 5 synthesis in human keratinocytes by acute wound fluid, inflammatory cytokines and growth factors, and lysophospholipids, Br. J. Dermatol., 151(5), 961 (2004). 

  22. P. Rousselle, G. P. Lunstrum, D. R. Keene, and R. E. Burgeson, Kalinin: an epithelium-specific basement membrane adhesion molecule that is a component of anchoring filament, J. Cell Biol., 114(3), 567 (1991). 

  23. M. Aumailley, A. E. Khal, N. Knoss, and L. Tunggal, Laminin 5 processing and its integration into the ECM, Matrix Biol., 22(1), 49 (2003). 

  24. M. F. Champliaud, G. P. Lunstrum, P. Rousselle, T. Nishiyama, D. R. Keene, and R. E. Burgeson, Human amnion contains a novel laminin variant, laminin 7, which like laminin 6, covalently associates with laminin 5 to promote stable epithelial-stromal attachment, J. Cell Biol., 132(6), 1189 (1996). 

  25. L. Pulkkinen, A. M. Christiano, T. Airenne, H. Haakana, K. Tryggvason, and J. Uitto, Mutations in the gamma 2 chain gene (LAMC2) of kalinin/laminin 5 in the junctional forms of epidermolysisi bullosa, Nat. Genet., 6(3), 293 (1994). 

  26. D. F. Aberdam, J. Galliano, J. Vailly, L. Pulkkinen, J. Bonifas, A. M. Christiano, K. Trygvasson, J. Uitto, E. J. Epstein, J. P. Ortonne, and G. Menneguzzi, Herlitz's junctional epidermolysis bullosa is linked to mutations in the gene for gamma 2 subunit of nicein/kalinin (laminin-5), Nat. Genet., 6(3), 299 (1994). 

  27. A. Takeda, K. Kadoya, N. Shioya, M. Tsunenaga, T. Nishiyama, S. Amono, and R. E. Burgeson, Pretreatment of human keratinocyte sheets with laminin 5 improves their grafting efficiency, Invest. Dermatol., 113(1), 38 (1999). 

  28. K. H. Lee and S. I. Lee, Comparison of pharmacological effects of melandrii herba and semen in Korea, Kyunghee Univ. Oriental. Med. J., 7(1), 353 (1984). 

  29. M. H. Lee, H. S. Han, and Y. J. Lee, Comparison studies on the hyperlipidemia of melandrii herba and vaccariae semen, Kor. J. Herbology., 25(3), 81 (2010). 

  30. Y. K. Lee, B. O. Jung, and S. J. Chung,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soluble chitosan with Melandrium firmum extract, J. Chitin. Chitosan., 19(3), 201 (2014). 

  31. N. Nagai, A. Klimava, W. H. Lee, K. Izumi-Nagai, and J. T. Handa, CTGF is increased in basal deposits and regulates matrix production through the ERK (p42/p44 mapk) MPAK and the p38 MAPK signaling pathways, Invest. Ophthalmol. Vis. Sci., 50(4), 1903 (2009). 

  32. M. Yamada and K. Sekiguchi, Molecular basis of laminin-integrin interactions, Curr. Top. Membr., 76, 197 (2015). 

  33. M. Chen, M. P. Marinkovich, A. Veis, X. Cai, C. N. Rao, E. A. O'Toole, and D. T. Woodley, Interaction of the amino-terminal noncollagenous (NC1) domain of type VII collagen with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s. A potential role in epidermal-dermal adherence in human skin, J. Biol. Chem., 272(23), 14516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