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부 표면에서의 수분산 바이오셀룰로오스 미세섬유의 특성에 대한 연구
Characterizations of Water-dispersed Biocellulose Nanofibers on the Skin Surface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4 no.1, 2018년, pp.89 - 94  

전승현 ((주)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김서연 ((주)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박선규 ((주)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이천구 ((주)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이설훈 (동덕여자대학교 응용화학과 화장품과학 전공) ,  강내규 ((주)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산화 촉매인 2,2,6,6-tetramethyl-1-piperidine-N-oxy radical(TEMPO)을 이용해 카복실기로 치환된 수분산 바이오셀룰로오스 미세섬유(TC)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수분산 바이오셀룰로오스는 수용액 및 에멀젼에서도 그 구조를 유지하였다. 피부 표면에 미세섬유 구조로 안착된 수분산 바이오셀룰로오스는 바이오셀룰로오스의 고유의 물성인 물리적 강도, 수분 흡수능을 유지하였다. 모델 피부인 젤라틴 젤에 수분산 바이오셀룰로오스를 코팅 후 경도 측정 시, 바이오셀룰로오스 미세섬유가 피부 표면을 잡아주기 때문에 코팅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약 20%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분 흡수능을 측정하기 위해 돼지피부에 수분산 바이오셀룰로오스를 도포 후 접촉각을 측정하였을 때, 낮은 초기 접촉각을 가지면서도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O/W 제형에서도 수분산 바이오셀룰로오스가 함유된 O/W 제형에서 시간에 따른 접촉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C에 대한 연구는 피부 위에서의 미세섬유의 기능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fiber-cosmetics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화장품 제형 연구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ater-dispersed biocellulose nanofibers (TC) were prepared via an oxidation reaction using 2,2,6,6-tetramethyl-1-piperidine-N-oxy radical (TEMPO) as a catalyst. The TC retained their unique structure in water as well as in emulsion. TC adhered to the skin surface while maintaining n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2,6,6-Tetramethyl-1-piperidine-N-oxy radical (TEMPO)는 상온, 상압의 온화한 조건에서 셀룰로오스의 알코올기를 알데하이드, 케톤, 카복시기로 치환할 수 있는 산화 촉매로, TEMPO 처리된 셀룰로오스는 물리적인 섬유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물에 분산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제지, 맴브레인 필터, 중금속 제거, 세포 전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6-9].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물성을 가진 바이오셀룰로오스를 TEMPO를 이용해 산화 반응시켜 수분산이 가능한 바이오셀룰로오스 미세섬유(TEMPO 셀룰로오스, TC)를 합성하고, 이를 피부 표면에 적용했을 때, 박테리아 셀룰로오스가 가진 장점인 수분 흡수 능력과 미세섬유 구조체가 피부 표면에 안착되면서 갖는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A) Schematic diagram of the TEMPO-oxidation of BC. (B) Dispersion states of the TC and original BC with increased tim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이오셀룰로오스의 단점은 무엇인가? 바이오셀룰로오스는 식물유래 셀룰로오스에 비해 섬유의 높은 물리적 강도, 수분 흡수 및 유지 능력, 균일한 섬유 네트워크 형성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2-5].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3세대 마스크 시트로 주목받고 있으나 젤이나 시트 형태로만 합성되기 때문에 화장품 제형 적용에 어려운 단점이 있다.
TEMPO는 무엇인가? 2,2,6,6-Tetramethyl-1-piperidine-N-oxy radical (TEMPO)는 상온, 상압의 온화한 조건에서 셀룰로오스의 알코올기를 알데하이드, 케톤, 카복시기로 치환할 수 있는 산화 촉매로, TEMPO 처리된 셀룰로오스는 물리적인 섬유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물에 분산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제지, 맴브레인 필터, 중금속 제거, 세포 전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6-9].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물성을 가진 바이오셀룰로오스를 TEMPO를 이용해 산화 반응시켜 수분산이 가능한 바이오셀룰로오스 미세섬유(TEMPO 셀룰로오스, TC)를 합성하고, 이를 피부 표면에 적용했을 때, 박테리아 셀룰로오스가 가진 장점인 수분 흡수 능력과 미세섬유 구조체가 피부 표면에 안착되면서 갖는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셀룰로오스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그중에서도 셀룰로오스는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바이오 고분자일 뿐만 아니라 나무, 식물, 미생물 등의 종류에 따라 고유한 물성이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에 사용되는 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 마이크로 입자, 셀룰로오스 유도체, 박테리아 셀룰로오스가 있다[1]. 수십 마이크로미터 크기를 갖는 셀룰로오스 마이크로 입자는 물에 녹지 않고 분산성이 낮기 때문에 물리적 박리 용도로 사용이 제한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D. Klemm, B. Heublein, H. Fink, and A. Bohn, Polymer science cellulose: fascinating biopolymer and sustainable raw material, Angew. Chem. Int. Ed., 44, 3358 (2005). 

  2. A. Svensson, E. Nicklasson, T. Harrah, B. Panilaitis, D. L. Kaplan, M. Brittberg, and P. Gatenholm, Bacterial cellulose as a potential scaffold for tissue engineering of cartilage, Biomaterials, 26, 419 (2005). 

  3. N. Tahara, M. Tabuchi, K. Watanabe, H. Yano, Y. Morinaga, and F. Yoshinaga, Degree of polymerization of cellulose from Acetobacter xylinum BPR2001 decreased by cellulase produced by the strain, Biosci. Biotechnol. Biochem., 61, 1862 (1997). 

  4. T. Naritomi, T. Kouda, H. Yano, and F. Yoshinaga, Effect of lactate on bacterial cellulose production from fructose in continuous culture, J. Ferment. Bioeng., 85, 89 (1998). 

  5. J. Lee, F. Deng, W. G. Yeomans, A. L. Allen, R. A. Gross, and D. A. Kaplan, Direct incorporation of glucosamine and N-acetylglucosamine into exopolymers by Gluconacetobacter xylinus (5 Acetobacter xylinum) ATCC 10245: production of chitosan-cellulose and chitin-cellulose exopolymers, Appl. Environ. Microbiol., 67, 3970 (2001). 

  6. J. Shah and R. M. Brown, Towards electronic paper displays made from microbial cellulose, Appl. Microbiol.Biot., 66, 352 (2005). 

  7. Q. Tarres, H. Oliver-Ortega, M. Llop, M. A. Pelach, M. Delgado-Aguilar, and P. Mutje, Effective and simple methodology to produce nanocellulose-based aerogels for selective oil removal, Cellulose, 23, 3077 (2016). 

  8. R. A. de Carvalho, G. Veronese, A. J. F. Carvalho, E. Barbu, A. C. Amaral, and E. Trovatti, The potential of TEMPO-oxidized nanofibrillar cellulose beads for cell delivery applications, Cellulose, 23, 3399 (2016). 

  9. Q. Tarres, M. Delgado-Aguilar, M. A. Pelach, I. Gonzalez, S. Boufi, and P. Mutje, Remarkable increase of paper strength by combining enzymatic cellulose nanofibers in bulk and TEMPO-oxidized nanofibers as coating, Cellulose, 23, 3939 (2016). 

  10. T. Saito, Y. Nishiyama, J. L. Putaux, M. Vignon, and A. Isogai, Homogeneous suspensions of individualized microfibrils from TEMPO-catalyzed oxidation of native cellulose, Biomacromolecules, 7, 1687 (2006). 

  11. T. Saito, S. Kimura, Y. Nishiyama, and A. Isogai, Cellulose nanofibers prepared by TEMPO-mediated oxidation of native cellulose, Biomacromolecules, 8, 2485 (2007). 

  12. L. Fu, J. Zhang, and G. Yang, Present status and applications of bacterial cellulose-based materials for skin tissue repair, Carbohydr. Polym., 92, 1432 (2013). 

  13. J. D. Fontana, A. M. De Souza, C. K. Fontana, I. L. Torriani, J. C. Moreschi, B. J. Gallotti, S. J. De Souza, G. P. Narcisco, J. A. Bichara, and L. F X Farah, Acetobacter cellulose pellicle as a temporary skin substitute, Appl. Biochem. Biotechnol., 24-25, 253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