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품질기준설정을 위한 국내 시판 육포의 품질 특성 조사
Investigation of Quality Properties of Commercial Jerky from Korean Market for Establishment of Quality Parameter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6 no.3, 2016년, pp.230 - 236  

박선현 (한국식품연구원 식품표준연구센터) ,  심유신 (한국식품연구원 식품표준연구센터) ,  정승원 (한국식품연구원 식품표준연구센터) ,  이현성 (한국식품연구원 식품수출지원센터) ,  김종찬 (한국식품연구원 식품표준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quality of commercial pork and beef jerky at a market in Korea. The amount of food additives, place of origin, meat content,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46 different jerky samples. Meat contents of pork and beef 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다양한 육포제품의 원산지와 식품첨가물 사용현황 등을 검토하고,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평가를 통한 제품의 품질현황 및 경향을 파악함으로써 육포 시장의 품질 향상을 유도함과 더불어 육포 제조업체의 사내규격 및 국가표준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다양한 국내 시판 돈육포와 우육포 제품의 원산지와 식품첨가물 사용현황 및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품질 특성을 확인하여 육포제품의 품질향상을 유도함과 아울러 제조업체의 사내규격 및 국가표준 설정의 근간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품의 표시사항을 토대로 육함량, 원산지 및 식품첨가물 현황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 돈육포의 육함량은 7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육포란 무엇인가? 육포는 원시 수렵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한국의 대표적인 저장 기호식품으로, 먹고 남은 고기를 높은 곳에 걸어 놓아 건조되면 오랫동안 두고 먹을 수 있다는 것을 터득하면서 부터 유래되었으며(Ryu KL & Kim TH 1992), 지역사회의 관습, 식문화, 종교, 기후 등의 차이에 따라 제조방법을 달리하고 있다(Kim HW 등 2007). 육포는 주로 쇠고기 홍두깨 부위를 얇게 저미거나, 다져서 양념하여 모양을 만들고 햇볕에 말려 두고 먹는 음식으로써,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혼례 시 폐백이나 이바지음식, 또는 고급 술안주 등 최고급 저장음식으로 사용되어 왔으며(Yun SK 1997; Lee YJ 등 2003), 서양에서는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버팔로(buffalo) 고기를 얇게 저며 말려 겨울철 저장식품으로 애용하였다(Yang CY & Lee SH 2002). 현재 육포는 북미에서는 jerky, 남미에서는 charqui, 유럽에서는 koppa, speck 등의 이름으로 생산 및 소비되고 있다(Borch 등 1996).
전통적인 육포의 제조방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오늘날의 육포는 저장이 용이하고 저장기간이 길며, 또한 단백질이 함량에 비해 지방함량이 낮아 영양간식 또는 술안주 등으로 폭넓게 소비되고 있다(Park JH & Lee KH 2005). 전통적인 육포의 제조방법은 천일건조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으나, 현재는 열풍건조 방법 등 새로운 가열건조방법을 도입하여 육포를 신속하게 대량 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졌다(Kim HW 등 2008). 최근에는 국민소득의 증대, 소비자 기호의 다양화, 편리성 및 고급화 추세에 따라 육포의 소비가 점차 증대되는 추세이다(Park JH & Lee KH 2005).
식품공전(KFDA, 2015b)의 미생물시험법에 따른 시료 희석 방법은 무엇인가? 대장균군 및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은 식품공전(KFDA, 2015b)의 미생물시험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시료 25 g에 0.85% 멸균생리식염수 225 mL를 가한 후 스토마커(400circulator, Seward, London, UK)를 이용하여 1분간 균질화한 것을 시험 용액으로 하였으며, 0.85% 멸균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단계별로 희석하였다. 대장균군은 Deoxycholate Lactose Agar(Difico, Franklin Lakes, NJ,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집락수를 계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len K, Cornforth D, Whittier D, Vasavada M, Nummer B (2007) Evaluation of high humidity and wet marinade methods for pasteurization of jerky. J Food Sci 727: C351-C355. 

  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788. 

  3. Beuchat LR (1983) Influence of water activity on growth, metabolic activities, and survival of yeasts and molds. J Food Prot 46: 135-141. 

  4. Borch E, KantMuermans ML, Blixt Y (1996) Bacterial spoilage of meat and cured meat products. Int J Food Microbiol 33: 103-120. 

  5. Choi HJ, Hong IS, Choi YH, Lee YH, Kim CG, Lee DJ, Lee JH (2007) A study on the sorts and dosage of preservatives used in processed meat products and milk products. Korean J Vet Serv 30: 437-443. 

  6. Choi KA, Cho EJ (2005)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prepared with fermented fruit wines. J East Asian Soc Diet Life 15: 171-181. 

  7. Choi YS, Jeong JY, Choi JH, Han DJ, Kim HY, Lee Hy, Lee MA, Paik HD, Kim CJ (2007) Effects of packag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Korean style beef and park jerky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 Sci 235: 579-588. 

  8. Han DJ, Jeong JY, Choi JH, Choi YS, Kim HY, Lee MA, Lee ES, Paik HD, Kim CJ (2007) Effects of drying conditions on quality properties of pork jerky. Koran J Food Sci Ani Resour 271: 29-34. 

  9. Holly RA (1985) Beef jerky: Viability of food-poisoning microorganisms on jerky during its manufacture and storage. J Food Protect 48: 100-106. 

  10. Hwang EG, Oh DY, Kim BK, Kim SJ (2014) Effects of storage and supplementation with ginger and ginseng powder on volatile basic nitrogen, aerobic plate and sensory evaluation of pork jerky. Korean J Food nutr 27: 240-248. 

  11.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08) Microbiology of food and animal feeding stuffs - Horizontal method for the enumeration of yeasts and moulds - Part 1: Colony count technique in products with water activity greater than 0, 95, Geneva, Switzerland. ISO 21527-1:2008. 

  12. Jeon MR, Choi S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added with seaweed powder.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21: 77-83. 

  13. KFDA (2015a)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77-79. 

  14. KFDA (2015b)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201-205, 205-209, 211-213. 

  15. Kim HW, Lee EK, Han DJ, Choi JH, Kim CJ, Paik HD (2007)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slice beef jerky.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 42-46. 

  16. Kim HW, Kim HJ, Kim TH, Kim TI, Lee JY, Kim CJ, Paik HD (2008) The distribution of indicator organisms and incidence of pathogenic bacteria in raw pork material used for Korean pork jerky.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 76-81. 

  17. Lee HK (2012) Consumers' awareness of food additives. J Fd Hyg Safety 72: 21-25. 

  18. Lee SJ, Park GS (2004)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prepared with various spices. Koran J Food Cook Sci 205: 489-497. 

  19. Lee YJ, Lee SY, Han JS (2003)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use and necessity for Korean traditional pyebaeck foods in Deagu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13: 343-352. 

  20. Oh JS, Park JN, Kim JH, Lee JW, Byun MW, Chun S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jerky added with Capsicum annuum L. and Prunus mume Sieb. et Zucc.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1-86. 

  21. Oh JS, Han IJ, Lee JW, Chun SS, Kim YH, Ryu HS (2008) Nutritional quality of restructured pork jerky with electron beam and gamma ray irradiation. J East Asian Soc Diet Life 18: 1056-1062. 

  22. Park GH, Kwak EJ, Lee YS, Lee KH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made with beef meat of various origin places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 Life 171: 81-88. 

  23. Park HJ, Min KJ, Park NY, Cho JI, Lee SH, Hwang IG, Heo JJ, Yoon KS (2013) Estimation on the consumption patterns of potentially hazardous foods with high consumer risk percep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59-69. 

  24. Park JH, Lee KH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made with beef meat of various places of origin. Korean J Food Cook Sci 2: 528-535. 

  25. Park KS, Lee KS, Park HS, Choi YJ, Kang SJ, Yang JB, Hyon JS, Jung IC, Moon YH (2011) Qaulity characteristics and free amino acid content of seasoning pork meat aged by red wine. J Life Sci 211: 74-80. 

  26. Ryu KL, Kim TH (1992) The historical study of beef cooking - II. Cookery of dried beef based on beef-. Korean J Dietary Culutre 7: 237-244. 

  27. Seo K, Cho B, Gang G, Kim J, Yang Y, Hong S, Moon Y, Kim E (2010) A survey on safety of dried foods. J Fd Hyg Safety 25: 310-319. 

  28. So YJ, Kim S, Lee JH, Park EY, Kim HJ, Kim JS, Kim JW (2013) A survey on the perceptions of consumer organizations to promote risk communication for food additives. Korean J Food Cook Sci 29: 105-113. 

  29. Yang CY, Lee SH (2002) A evaluation of quality of the marketing jerky in domestic - 1. Investigation of outward additives, food additives, nutrient content and sanitary state. Korean J Food Nutr 153: 167-202. 

  30. Yun SK (1997) The food culture of marriage ceremony. Korean J Dietary Culture 12: 227-244. 

  31. Virgili R, Parolari G, Schivazappa C, Bordini CS, Borri M (1995) Sensory and texture quality of dry-cured ham as affected by endogenous cathepsin B activity and muscle composition. J Food Sci 60: 1183-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